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서론: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제2장 산업화와 노동자의 출현
제3장 한국 기업에서의 노동과 권의
제4장 순교자, 여성노동자와 교회
제5장 노동자와 학생
제6장 노동자 정체성과 의식
제7장 거대한 노동공세
제8장 기로에 선 노동계급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 책은 미국 코넬대학출판부(Cornell University Press)에서 2001년에 출간된 하와이대학 구해근 교수의 을 중앙대학교 신광영 교수가 번역한 것이다. 10여년에 걸친 자료수집 및 노동운동가들과의 방대한 인터뷰에 기초해 씌어진 이 책은, 계급론에 있어 고전이 된 <영국 노동 계급의 형성>을 쓴 E.P.Thompsom의 '계급형성론'을 통해 한국의 노동계급과 노동운동을 분석한 시도이다. 이러한 계급형성론에 의한 계급분석은 생산관계 내에서 차지하는 노동자들의 위치적 동일성 뿐만 아니라 그들이 공유하는 생활경험, 전통, 언어, 가치체계에도 주목한다. 이 책은 1960년 최초의 도시 임금노동자가 등장하여 노동현실에 순응하고, 불의를 인식하게 되고, 막연한 저항과 몸부림에서 점차 정치적으로 의식화되어가는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