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론 하버마스, 로티 그리고 두 종류의 대화 철학 | 7 제1장 현대성과 비판이론 | 27 1.1 계몽주의와 그 이후: 마르크스, 루카치, 아도르노 | 29 1.2 마르크스의 소외이론 | 31 1.3 루카치와 헤겔화된 마르크시즘 | 35 1.4 계몽의 변증법: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 42 제2장 계몽주의에 대한 하버마스의 옹호: 합리성과 합리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 53 2.1 하버마스와 프랑크푸르트 학파: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 | 55 2.2 해석학과 비판이론: 하버마스의 해석학과 민속방법론 비판 | 65 2.3 심리치료모형과 비판이론:『지식과 이해 관심』에서 『의사소통 행위이론』으로 | 75 2.4 보편 화용론 | 88 2.5 이해와 진리의 대화 모형: 가상적 참여와 의사소통 행위이론 | 97 제3장 현대성과 계몽주의에 대한 리처드 로티의 포스트모던 비판 | 115 3.1 로티의 반플라토니즘과 인식론 비판 | 117 3.2 로티, 다윈 그리고 적응도구로서의 언어 | 127 3.3 적응도구로서의 언어와 상대주의 | 136 3.4 철학과 사회 이론의 역할 | 138 3.5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언어와 문화 변동에 관한 로티의 관점 | 145 제4장 현대성, 합리성, 문화 변동에 대한 하버마스와 로티의 논쟁 | 163 4.1 사적/공적 영역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논쟁: 주관성의 철학 대 상호주관성의 철학 | 170 4.2 이론의 역할에 대한 논쟁: 이론에 의한 이데올로기 비판은 가능한가? | 175 4.3 특정 공동체 기준과 보편적 기준에 대한 논쟁 | 186 제5장 하버마스-로티 논쟁에 대한 비판적 평가 | 201 결론 논증의 공간에서 연행의 공간으로 | 223 후기 하버마스-로티 논쟁에 대한 또 다른 논쟁 | 251 감사의 글 | 265 찾아보기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