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이 끝나는 곳

Riku Onda · Novel
28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4(9)
0.5
3.5
5
Rate
3.4
Average Rating
(9)
Comment
More

유곽 ‘추월장’에 사는 ‘나’에게는 세 명의 엄마가 있다. 하루 종일 새장만 바라보는 나를 낳아준 엄마 가즈에. 공부와 생활에 필요한 것을 가르쳐주며 나를 키워준 엄마 사야코. 무표정으로 여관 카운터를 보는 호적상 엄마 후미코. 어느 날 밤 나는 거미집무늬 기모노를 입고 춤을 추는 남자를 목격하고 그에게 첫눈에 반한다. 그러나 그것은 유혈이 낭자한 참극의 시작이었다. 온다 리쿠는 “실화에서 영감을 얻고” 15년에 걸쳐 이 작품을 완성했다. 출간 즉시 “그녀의 새로운 대표작”이라는 호평을 받으며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랭크됐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Rating Graph
Avg 3.4(9)
0.5
3.5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Description

《둔색환시행》의 핵심이 되는 그 저주받은 소설! 베일에 싸인 작가 메시아이 아즈사가 집필했다는 설정과 리버시블 커버까지, 장르소설 독자들을 사로잡는 온다 리쿠의 완벽한 세계관! 새로운 대표작!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 TOP 30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 이 미스터리가 읽고 싶다 TOP 10 “나는 세 명의 엄마와 함께 밝아오지 않는 밤을 살아간다.” 베일에 싸인 작가 메시아이 아즈사가 집필했다는 설정으로 쓰여진 온다 리쿠의 아름답고도 참혹한 환상담! 수수께끼 많은 작가 메이아이 아즈사가 남긴 환상 같은 소설, 그리고 저주가 내리는 소설 《밤이 끝나는 곳》은 《둔색환시행》의 등장인물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아름답고도 참렬한 환상담이다. 《밤이 끝나는 곳》의 무대는, 쇼와 초기의 산간부에 있는 유곽 추월장이다. 주인공인 ‘나(비짱)’는 자신이 언제 추월장에 왔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누군가의 손에 이끌려 차를 타고 왔지만, 그때 몇 살이었는지 누구와 함께 왔는지는 전혀 모른다. 유곽의 어른들은 지금 내가 열 살에서 열두 살쯤 되었다고 한다. 나는 고타쓰가 설치된 방에서 시노부라는 노부인과 함께 지낸다. 나는 매일 사야코의 방에서 몇 시간씩 공부를 배우고, 그 외에는 거의 혼자 지낸다. 추월장을 탐험하고 다니거나, 혼자 방에서 책을 읽고 그림을 그리거나, 정원 나무에 숨어 사람들을 구경한다. 손님들과 마주치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에 해가 지고 손님들이 올 시간이 되면 방에 들어가야 한다. 어느 날 밤, 잠에서 깬 나는 남자의 노랫소리에 이끌려 복도를 걷는다. 어떤 방에서 거미집무늬 기모노를 걸친 남자가 부채를 들고 춤을 추고 있었다. 나는 꿈이라도 꾸는 줄 알았다. 걸치고 있던 기모노를 벗은 그는 카키색 군복 차림이었다. 나는 그에게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그의 이름은 구가하라. 그날 이후 나는 손님들 틈에서 구가하라의 모습을 찾게 됐고, 신기하게도 구가하라는 내 이름을 알고 있다. 구가하라의 정체가 점점 명확해지면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주인공의 의문은 ‘지금 나는 어디로 흘러가는가’라는 질문으로 확대된다. 시공간을 넘나드는 듯한 설정, 미스터리 요소, 애틋함, 생각의 여백을 주는 풍자와 날카로운 문체가 돋보이는 환상 소설이다. 실화에서 영감을 얻은 새로운 대표작 온다 리쿠는 쓰지나카 고의 소설 《유곽의 소년》(1988년 출간)을 재미있게 읽었다. 그 책 띠지에는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 영화화 단념!”이라고 적혀 있었다. 왜 단념했는지는 모르지만, 그 문구에 마음이 끌렸다. 이번 두 작품은 이 책을 모델로 했다. 《유곽의 소년》을 오마주한 것이 《밤이 끝나는 곳》이고, 그 책을 영화화하려다 단념했다는 에피소드를 《둔색환시행》에 담아냈다. 《둔색환시행》의 제5장에는 《밤이 끝나는 곳》의 제1장과 제2장이 그대로 들어 있다. 온다 리쿠는 이 두 작품을 동시에 진행시킬 계획이었다. 그러나 《둔색환시행》의 제5장으로서 《밤이 끝나는 곳》의 서두를 쓰고 있을 때, 먼저 《밤이 끝나는 곳》을 완성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둔색환시행》 연재를 일단 중단하고 《밤이 끝나는 곳》을 완성시킨 뒤 연재를 재개했다. 온다 리쿠는 예전에도 액자식 구성으로 작품을 쓴 적이 있지만, 한 작품 안에 독립적인 다른 작품을 통째로 연관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본격적으로 메타 픽션을 써보고 싶다는 작가의 도전이 결실을 맺었다. 일본의 역사를 연상하게 하는, 정체성에 관한 모두의 이야기 추월장은 산속에 위치한 폐쇄된 공간인데도 불구하고 왠지 시공간을 넘나드는 느낌을 준다. 주인공 비짱은 추월장에서 유일한 어린아이다. 그리고 유일하게 비짱의 눈에만 죽은 사람들이 보인다. 비짱은 그들의 모습을 스케치북에 그리기도 한다. 정작 가장 그리고 싶은 구가하라의 얼굴은 아무리 시도해도 그리지 못하지만, 죽은 자들의 모습은 비교적 쉽게 그린다. 주인공 비짱에게 숨겨진 복잡한 사연이 엿보이는 가운데, '나'는 엄마를 찾고, 첫사랑을 찾고, 자아를 찾는다. 자기가 누구인지, 몇 살인지, 성별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자신의 진짜 모습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의심하고 불안해한다. 이 과정에서 놓인 '나'의 감상의 미세한 묘사가 아름답다. 정념의 싹도 엿보이고 이야기의 색조는 선명하면서도 어둡다. 소설의 끝에서 추월장은 역사의 물결에 휩쓸려 파멸을 맞는다. 독자 중에는 일본의 2·26 사건과 5·15 사건을 연상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이야기를 읽다 보면 《둔색환시행》의 등장인물들이 빠져드는 이유도 잘 알 수 있다. 모두가 자기와 관계되는 무엇, 정체성, 삶과 관련된 정의 정의를 찾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즉 두 개의 장편은 줄거리가 분명 다른 것이지만 ‘정체성’이라는 주제로 겹친다. 두 소설의 등장인물들이 공명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놀라운 사실, 예상 밖의 전개, 날카로운 풍자를 사용하면서 독자에게 생각의 여백을 만든다. 온다 리쿠의 새로운 대표작이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