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추천의 말 프롤로그 1장 상암동 사람들 ◆ 한국 드라마 주인공들은 ‘연세대’를 졸업하고 상암에 취직한다 ◆ 철이 좀 늦게 드는 상암동 사람들 ◆ 시스템이 없는 곳 ◆ PD 본인이 시스템이다 ◆ 장인과 기성품 ◆ 죽이든 밥이든 60분은 채워야 한다 ◆ 방송은 기다려주지 않아, 아마 인생도 ◆ 이름을 붙일 수 없는 일들 ◆ 우리는 모두 인정이 필요하다 ◆ “너 같은 PD도 필요하지!” ◆ 그거 다 대본 아니에요 ◆ 스물다섯 스물하나 2장 뭐라도 있으면 발을 디딘다 ◆ 끝까지 가본 경험이 바꾸는 것 ◆ 반짝반짝 빛나는 아이디어, 그 다음은 ◆ “주로 어디서 영감을 얻나요” ◆ 삶으로 답해야 하는 질문 ◆ 새로운 맛과 아는 맛 ◆ 레퍼토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정교해진다 ◆ 세상이 좁은 게 아니에요 ◆ 기름진 피의 겸손 ◆ 인생에는 상수가 필요하다 3장 “왜 만나서 카톡을 해요” ◆ 뭐 하나, 새로운 것 하나 ◆ ‘어떻게’가 먼저 정해진 기획 ◆ 기획의 화신, MC ◆ 인터뷰의 기술 ◆ “왜 만나서 입 놔두고 톡으로 이야기해요” ◆ 가로막히지 않는 말들 ◆ 예능이 할 수 있는 일 ◆ 어떤 자막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그냥 이렇구나, 끝. 이래도 만족이에요” ◆ 생각에도 로케이션이 필요하다 ◆ 박수칠 때 못 떠난다, 원래는 ◆ 인터뷰: 타협도 결국, 함께 하는 것 4장 본격 예능 제작 전문용어(은어) 가이드 ◆ 이 바닥 사람들만 쓰는 말 ◆ 야마(명사) ◆ 마(명사)/마가 뜨다(동사) ◆ 시바이(명사)/시바이 치다(동사) ◆ 니쥬(명사)/니쥬 깔다(동사) ◆ 오도시(명사)/오도시 터지다(동사) ◆ 니마이(명사)/쌈마이(명사), 나까(명사) ◆ 바레(명사)/바레 시키다(동사), 바레 나다(동사) ◆ 데꼬보꼬(형용사) ◆ 나래비(형용사) ◆ 와꾸(명사)/와꾸 짜다(동사)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