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세계, 세계의 몸

조광제
453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0(17)
0.5
4
5
Rate
4.0
Average Rating
(17)
Comment
More

이 책은 1993년 '현상학적 신체론 : 후설에서 메를로-퐁티에로의 길'이라는 논문을 시작으로 꾸준히 국내에 메를로-퐁티의 철학을 소개해온 지은이가 '철학아카데미'에서 최근 3년간 진행해온 '메를로-퐁티 몸의 현상학'이라는 강의의 내용을 토대로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새롭게 해석, 정리한 것이다. <지각의 현상학>은 의식 일변도이던 서양 철학의 관심을 몸으로 돌려놓은 역작으로 평가받지만, 그 분량과 내용의 난해함으로 인해 선뜻 집어들긴 어려운 책이었다. 지은이는 <지각의 현상학>의 핵심 내용과 사상을 인용하면서, 이를 '해설' 형식으로 풀어쓰며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책에서 인용된 원전의 번역은 앞서 출간된 번역본과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더러 있다. 지은이는「교수신문」을 통해 번역본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어, 독자 입장에선 두 책의 비교·대조를 통해 긍정적 상호보완을 할 수 있다. 또한 현행 맞춤법에는 없는 '몸스러운(corporel)' '몸됨(E^tre corps)'과 같은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번역한 점도 흥미롭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Rating Graph
Avg 4.0(17)
0.5
4
5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현상의 세계 1. 인사 2. 현상의 장을 되찾기 위한 예비 논의 3. 현상의 장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기 제2장 현상의 몸 1. 객관적 세계로부터의 몸 해방 2. '세계에의-존재'인 몸 제3장 몸 자신의 공간성과 몸 자신의 운동성 1. 몸틀에 대한 예비적 고찰 2. 몸틀과 몸 공간 3. 구체적인 운동과 추상적인 운동 4. 몸 운동에 대한 경험주의적인 해석과 그에 대한 비판 5. 몸 운동에 대한 지성주의적인 해석과 그에 대한 비판 6. 메를로-퐁티의 세계 이해와 그에 따른 몸 운동의 이해 제4장 몸 자신의 지향궁과 종합 1. 지각과 의미 2. 몸 자신의 종합 제5장 성적 존재인 몸 1. 성과 실존 2. 성으로 본 철학적 구도 제6장 표현으로서의 몸과 언어 1. 몸의 실존적 자세인 언어활동 2. 몸에 관한 중간 결론 제7장 감각 1. 몸 이론은 이미 지각론이다 2. 감각은 몸 자신과 더불어 살아 있다 3. 생동적-실존적 감각론은 철학 개념들의 의미를 바꾼다 제8장 공간 1. 예비적 ㅗ찰 2. 감각적인 현출과 구성하는 의식을 넘어서 있는 제3의 공간성 3. 깊이와 거리에 관한 고찰 4. 공간성과 주체의 삶 5. 인간학적 공간과 기하학적 공간의 대결 제9장 자연과 사물 1. 자연과 인간의 교직 2. 자연과 선인칭적 실존 제10장 타인과 인간세계 1. 타인의 문제 2. 제3의 존재인 현상의 몸과 타인 3. 타인과 상호주체성 4. 타인의 문제는 과연 해결되었는가? 제11장 코기토 1. 데카르트의 유아론적 코기토 2. 코기토와 기하학 그리고 코기토와 언어 제12장 시간성 1. 시간에 대한 사유의 실마리 2. 시간과 주체 그리고 세계의 통일 제13장 자유 강해를 마치면서 찾아보기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