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창의성에 대하여

퀸시 존스 · Essay
24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3(10)
0.5
3
5
Rate
3.3
Average Rating
(10)
Comment
More

퀸시 존스는 프랭크 시나트라, 마이클 잭슨, 스티븐 스필버그, 오프라 윈프리 등 유명 인사들과 일을 해온 음악가, 작곡가, 프로듀서이자 선구적인 기업가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그는 단순히 작품뿐만 아니라 미국의 문화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지금도 그는 수많은 예술가들의 멘토이자, 한 사람의 예술가로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삶과 창의성에 대하여』는 그가 아흔에 가까운 나이에 출간한 자전적 에세이로서, 자신의 인생을 통해 삶과 창의성에 대해 얘기하는 책이자, 국내에 최초로 소개되는 퀸시 존스의 책이기도 하다. ‘기네스북 선정 가장 인기 있는 가수’인 더 위켄드(The Weekend)가 헌사를 바쳐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가 70년 넘게 일하면서 겪어온 다양한 경험들과 삶과 창의성에 도움이 될 조언들을 양장본으로 만날 수 있다. 또한, 퀸시 존스는 삶에 조언이 필요한 이들뿐만 아니라, 창작을 꿈꾸는 이들을 위해서도 이번 책을 썼다. 그는 자신의 삶과 작업들을 되돌아보며, 현재 창작에 몸담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뼈와 살이 되어줄 조언들을 정리했다. 흥미롭게도, 음악이 12음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빗대어, 그 역시도 자신의 조언들 각 음계에 짝지었다. 슬픔을 힘으로 바꾸는 법, 이정표를 만들어 차근차근 나아가는 법, 언제든 찾아올 기회를 위해 준비하는 법 등의 조언들은 거대한 창작의 세계에서 길을 잃었거나, 아직 길을 발견하지 못한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3(10)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헌사 서론 A 고통을 목적으로 승화하라 A# 볼 수 있다면 이룰 수 있다 B 도전해야 알 수 있다 C 이정표를 그려라 C# 중대한 기회를 위해 언제나 준비되어 있어라 D 좌뇌를 연마하라 D# 분석을 두려워하지 마라 E 저평가 당하는 데서 나오는 힘 F 남들이 시도하지 않은 걸 하라 F# 관계의 가치를 이해하라 G 아는 것을 나누어라 G# 삶의 가치를 인식하라

Description

당신 삶의 주머니 속으로 침투한 괴로움이 당신의 삶 전체를 잠식하게 할 필요는 없다. 고통이나 기쁨, 당신이 무엇으로부터 창작하든, 우리는 당신이 필요하고, 당신의 재능과 능력이 필요하다. 마이클 잭슨, 프랭크 시나트라, 스티븐 스필버그… 타임지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재즈 뮤지션’ 퀸시 존스의 자전적 에세이 퀸시 존스는 프랭크 시나트라, 마이클 잭슨, 스티븐 스필버그, 오프라 윈프리 등 유명 인사들과 일을 해온 음악가, 작곡가, 프로듀서이자 선구적인 기업가이다.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그는 단순히 작품뿐만 아니라 미국의 문화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지금도 그는 수많은 예술가들의 멘토이자, 한 사람의 예술가로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삶과 창의성에 대하여』는 그가 아흔에 가까운 나이에 출간한 자전적 에세이로서, 자신의 인생을 통해 삶과 창의성에 대해 얘기하는 책이자, 국내에 최초로 소개되는 퀸시 존스의 책이기도 하다. ‘기네스북 선정 가장 인기 있는 가수’인 더 위켄드(The Weekend)가 헌사를 바쳐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가 70년 넘게 일하면서 겪어온 다양한 경험들과 삶과 창의성에 도움이 될 조언들을 양장본으로 만날 수 있다. 또한, 퀸시 존스는 삶에 조언이 필요한 이들뿐만 아니라, 창작을 꿈꾸는 이들을 위해서도 이번 책을 썼다. 그는 자신의 삶과 작업들을 되돌아보며, 현재 창작에 몸담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뼈와 살이 되어줄 조언들을 정리했다. 흥미롭게도, 음악이 12음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빗대어, 그 역시도 자신의 조언들 각 음계에 짝지었다. 슬픔을 힘으로 바꾸는 법, 이정표를 만들어 차근차근 나아가는 법, 언제든 찾아올 기회를 위해 준비하는 법 등의 조언들은 거대한 창작의 세계에서 길을 잃었거나, 아직 길을 발견하지 못한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가난한 동네의 트럼펫 연주자에서 70년 넘게 일하는 음악가가 되기까지 그 여정을 담은 퀸시 존스의 이야기 퀸시 존스는 현재 그 누구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멋진 작품을 만들어낸 예술가이지만, 그것이 어렸을 때의 환경 때문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부유한 집안이 아니라 시카고의 가난한 동네에 살고 있었고, 심지어 그의 어머니는 조현병을 앓아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당시의 분위기에 의하면, 퀸시 존스가 택할 수 있는 길은 많이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과거를 회상하며 당시의 그에게 ‘음악’이 어머니가 되어주었다고 밝힌다. 안정적인 집안에서 레슨을 받거나 할 수는 없었지만, 그는 우연한 계기로 특출난 음악가인 클라크 테리(Clark Terry)에게 트럼펫을 배우게 되었다. 어린 나이의 퀸시 존스는 매일 같이 그를 찾아가 트럼펫을 불었고, 그의 첫 스승으로부터 음악뿐만이 아니라 삶의 희망을 배우게 되었다.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이 경험을 통해 그는 고통을 견디며 노력하는 법을 배웠고, 이후 고통을 목적으로 승화하는 철학을 마음속 깊이 품게 되었다. “나는 매일 같이 올바른 선택을 해야 했다. 나를 무너뜨리는 게 아닌, 그 에너지의 방향을 바꿔서 노래와 편곡, 음반, 영화에 담았다.” - 「A: 고통을 목적으로 승화하라 」에서 온갖 결핍과 도전으로 가득했던 삶의 과정에서, 퀸시 존스는 삶의 희망을 믿고 나아갔다. 그렇기에 그는 프랭크 시나트라와 일할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마이클 잭슨과 [Thriller]를 만들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아흔 살이 넘은 지금에도 신나게 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느끼는 괴로움과 과거에 얽매일 때의 고통을 안다. 그리고 그 고통 속에서 우리가 나쁜 방향이 아닌 좋은 방향으로 고통을 승화시킬 때, 어떤 놀라운 일들이 일어날 수 있는지 우리에게 얘기하고 있다. 이처럼 『삶과 창의성에 대하여』는 삶과 창의성 사이에서 조화를 탐구하는 과정을 담은 흥미진진한 에세이이다. 위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퀸시 존스는 삶과 창의성과 예술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또 우리가 그 관계들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생동감 있게 적었다. 그의 생각은 깊이 있으면서도 삶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있기에,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줄 것이다. “미움보다는 사랑을 나누자. 특히나 지금처럼 인류애를 시험하는 시대에는 더욱 그래야 한다.” 분노와 고통을 이겨낼, 인류애를 담은 유대의 이야기 우리는 지금 분노와 고통이 침투한 시대를 살고 있다, 퀸시 존스 역시 그런 시대 속에서 자라온 인물로서, 우리가 서로에게 연대해야 한다는 진실을 설파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 그는 ‘음악’을 택하고 있다. 그는 음악을 삶의 맥박이라고 믿는데, 그것이 피부색이나 출신지와 상관없이 다양한 유형의 사람을 대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악을 통해 분노와 고통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뜻이다. 1980년대 초, 당시 미국에서 힙합은 폭력적인 성향을 지닌 문화로 여겨지곤 했다. 당시 ‘갱스터 랩’이라는 이름도 그 이유 중 하나였지만, 더 큰 이유는 미디어들이 그런 자극적인 부분만을 강조해서 더욱 그런 인식이 퍼져나갔다. 그래서 나중에는 일상적인 삶을 표현한 힙합 음악도, 폭력적인 맥락으로 몰리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비록 재즈 뮤지션이었지만 퀸시 존스는 힙합 및 랩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일을 해야겠다고 느꼈다. 폭력적인 맥락으로 몰리게 된 힙합 문화가 실제로 사람들을, 특히 젊은이들을 죽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1995년 8월 24일, 퀸시 존스는 뉴욕의 페닌슐라 호텔에서 말콤 엑스(Malcom X)의 딸인 아탈라 샤바즈(Attallah Shabazz), 마야 안젤루(Maya Angelou)를 비롯한 사상 선도자들과 닥터 드레(Dr. dre)를 비롯한 힙합 음악가들이 함께 모여 왜곡된 힙합 문화가 만들어내는 폭력에 대한 책임감을 얘기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불에 기름을 들이부을 기회만을 기다리는 미디어들은 빼고 말이다. 물론 이 자리 한 번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퀸시 존스 본인 역시 기대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분명 일부 참석자들에게 깨우침을 주었다. “이건 ‘나, 나의, 나의 것’에 관한 것이 아닌 ‘우리, 우리의, 우리의 것’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수준에서 변화를 이루려고 하면 우리는 결국 자신을 넘어 다른 사람들에게도 변화를 야기한다.” - 「F: 남들이 시도하지 않을 걸 하라」에서 우리의 감정과 경험은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된다. 퀸시 존스의 경우에는 ‘음악’이었지만 어떤 이들에게는 또 다른 예술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고, 다른 이들에게는 예술이 아닌 다른 형식으로 드러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다양한 표현 방식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유대해야 한다. 그는 말한다. 분노와 고통이 우리의 삶을 뒤흔들어도, 우리는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며 함께 걷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이것이 우리가 인류로서 이루어낼 수 있는 참된 힘이라고. 그는 음악가로서도 뛰어난 업적을 보여주었지만, 그는 항상 음악가로서의 전문성보다 인간으로서의 도덕성을 우선시했다. 그리고 우리도 역시 그러길 바란다. 이러한 맥락에서『삶과 창의성에 대하여』는 단순히 퀸시 존스라는 인물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우리가 스스로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 분명하다. “욜로 코코. 인생은 단 한 번 사는 것, 그러니 계속 나아갈 것!(YOLO KOKO. You Only Live Once, so Keep On Keepin’ On!” 사랑과 존경이 담긴 퀸시 존스의 말들이 더욱 많은 이들에게 닿기를 바란다. 당신 삶의 주머니 속으로 침투한 괴로움이 당신의 삶 전체를 잠식하게 할 필요는 없다. 고통이나 기쁨, 당신이 무엇으로부터 창작하든, 우리는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