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6 1부 • ‘돈 되는 교육’, ‘돈을 위한 교육’은 당연한가 ‘돈 되는 교육’과 ‘돈을 위한 교육’을 넘어 | 김형성 14 - 투자와 재테크의 시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계속 탐욕적 인간을 길러 낸다면 미래는 잿빛일 것이다 | 서부원 31 - 돈이 전부라는 아이들, 개인의 성공만 가르쳐 온 학교 ‘초라한 경제교육’을 위하여 | 하금철 48 - ‘세금 내는 아이들’ 말고 ‘복지 급여 받는 아이들’ 지금의 경제교육 논의가 놓치고 있는 것 | 진냥(희진) 62 - 금융, 투자가 아닌 경제시민교육을 위해 2부 • 자본주의 교육이 아닌 다른 경제교육은 가능한가 자본주의 교육을 넘어선 경제교육은 가능한가 | 채효정 82 - 생태와 돌봄의 대안적 경제교육을 상상하다 이런 경제 교과서로는 시민이 탄생할 리 없다 | 서재민 103 - 자본의 관점을 넘어, 비판 교육으로서의 노동교육으로 학교에서 제대로 된 노동교육은 가능할까 | 장윤호 120 - 학교 노동교육이 넘어야 할 산 사회적경제교육이 자본주의 교육의 대안이 되려면 | 진냥(희진) 141 - 연대와 상호성, 호혜를 배우는 교육이 필요하다 3부 • 학교는 어떤 곳이어야 하는가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고 부끄러움 없이 말하고 싶다 | 이윤승 158 - 학교 안 노동의 위계를 없애는 것이 출발점이 되어야 학교라는 반노동적인 공간에 대한 탐구 | 이영주 168 - 교사 노동자로서의 성찰을 중심으로 막아도 들려오는 ‘돈벌이’ 소리 | 이윤승 186 - 학교와 교사에게 ‘투자’와 ‘돈’에 대한 고민 한두 번 교육한다고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될까 | 박내현 203 - 학생들이 존중받는 경험과 문화가 곧 노동인권교육이다 저자 소개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