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필사, 살기 위하여
첫 번째 걸음, 어휘와 친해지기
1.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해서 느낌 있는 글쓰기
미하엘 엔데 소설 《모모》
박경리 소설 《토지 5》
황지우 시 〈너를 기다리는 동안〉
프랑수아즈 사강 소설 《패배의 신호》
[나의 글쓰기] 쿵쿵! 쿵!
김유정 소설 《봄봄》
신형건 시 〈봄날〉
권대웅 산문 〈두근거림〉
[나의 글쓰기] 당신의 고동 소리
박목월 시 〈기계 장날〉
문순태 시 〈멸치〉
김승희 시 〈새벽밥〉
크리스티앙 보뱅 소설 《가벼운 마음》
권여선 소설 〈삼인행〉
산도르 마라이 소설 《결혼의 변화(상)》
유선경 산문 〈통각 편 감정어휘〉
[나의 글쓰기] 어떤 어휘가 당신에게 들어오나요?
2. 말맛 체험하기 : 언어적 직관을 터득하기
윤동주 시 〈소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시 〈진심이다〉
다니엘 글라타우어 소설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
윌리엄 셰익스피어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
가와바타 야스나리 소설 《설국》
한강 소설 《희랍어 시간》
정지용 시 〈별똥〉
추사 김정희 시 〈봄빛 짙어 이슬 많고〉
막심 고리키 소설 《어머니》
동파 소식 시 〈거문고의 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소설 〈갓파〉
빅토르 위고 소설 《레 미제라블》
유선경 산문 〈서로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라〉
3. 승자독식의 어휘를 대체하기
승자독식의 어휘 대신 쓸 수 있는 다양한 어휘들
오스카 와일드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박완서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전혜린 산문 〈긴 방황〉
아멜리 노통브 소설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
에밀 아자르 소설 《자기 앞의 생》
장영희 산문 〈‘특별한’ 보통의 해〉
칼릴 지브란 시 〈결혼에 대하여〉
김애란 산문 〈부사副詞와 인사〉
미야시타 나츠 소설 《양과 강철의 숲》
유선경 산문 〈관점을 이동시키면 생각의 그릇이 넓어진다〉
두 번째 걸음, 어휘력을 기르는 비결
1. 관계의 시작, 관심
이효석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다자이 오사무 산문 〈나태라는 트럼프〉
김애란 소설 〈벌레들〉
새 눈으로 관계를 맺게 해준 어휘들
김남극 시 〈은행나무꽃〉
이태준 산문 〈가을꽃〉
정지용 산문 〈꾀꼬리와 국화〉
이문재 시 〈파꽃〉
최윤 소설 〈속삭임, 속삭임〉
박완서 산문 〈흔들리지 않는 전체〉
파트릭 모니아노 소설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소설 〈인어공주〉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시 〈창문들〉에서 일부
미셸 투르니에 산문 〈뒤쪽이 진실이다〉
프랑시스 잠 시 〈식당〉
사이하테 타히 산문 〈I like it〉
2. 제대로 보기의 시작, 관찰
다비드 르 브르통 산문 〈침묵〉
알랭 드 보통 산문 〈시골과 도시에 대하여〉
호프 자런 산문 〈뿌리와 이파리〉
황정은 소설 〈명실〉
현기영 소설 〈아내와 개오동〉
올가 토카르추크 소설 《태고의 시간들》
3. 관점의 변화를 이끄는 전환점, 묘사
김화영 산문 〈프로방스의 아침 시장과 카바용 멜론의 향기〉
룰루 밀러 산문 〈민들레〉
델리아 오언스 소설 《가재가 노래하는 곳》
박목월 시 〈봄비〉
우숙영 산문 〈낙엽과 단풍〉
김훈 산문 〈제주에서〉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산문 〈카르데냐 성 베드로 수도원〉
장석남 산문 〈물 긷는 소리〉
한승원 소설 〈그러나 다 그러는 것만은 아니다〉
귀스타브 플로베르 소설 《마담 보바리》
카렌 블릭센 소설 《아웃 오브 아프리카》 204
박경리 소설 《토지 9》 206
F. 스콧 피츠제럴드 소설 《위대한 개츠비》 208
백석 시 〈야반夜半〉 212
자크 프레베르 시 〈아침식사〉 214
세 번째 걸음, 어휘가 주는 힘
1. 공감력 : 타인의 세계에 응답하고 그 세계로 들어가다
페터 빅셀 소설 〈책상은 책상이다〉
나쓰메 소세키 소설 《마음》
은희경 소설 《새의 선물》
하이타니 겐지로 소설 〈외톨이 동물원-서문〉
백석 시 〈산숙山宿〉
천명관 소설 《나의 삼촌 브루스 리 1》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소설 〈귤〉
문태준 산문 〈쓰다듬는 것이 열애입니다〉
김사인 시 〈조용한 일〉
메리 셸리 소설 《프랑켄슈타인》
빅터 프랭클 산문 〈비통과 환멸〉
정끝별 시 〈밀물〉
[나의 글쓰기] 공감의 이야기
2. 이해력 : 이분법적 구도에서 탈피해 입체적으로 해석하다
김현 산문 〈1987.7.1.〉
마거릿 애트우드 산문 〈어떻게 세상을 바꾸죠?〉
니코스 카잔차키스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
신영복 산문 〈희망의 언어, 석과불식〉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산문 〈습관, 자발적 복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