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장 나의 어휘력을 위한 필사 노트

유선경 · Humanities
37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7(18)
0.5
4
5
Rate
3.7
Average Rating
(18)
Comment
More

《어른의 어휘력》으로 대중에게 어휘력과 문해력이라는 화두를 던진 유선경 작가의 첫 필사 책이다. 전작에서 ‘어휘력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통찰을 제공’했다면 이 책에서는 어휘력과 문장력, 문해력을 끌어올리는 구체적인 방법 ‘필사’를 소개한다. 특히 어휘력은 책 읽기만으로 향상되기 힘들다고 지적하며, 어휘력을 기르는 구체적인 방법과 그에 따른 필사 가이드를 단계별로 세세하게 공유한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Rating Graph
Avg 3.7(18)
0.5
4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5

Table of Contents

서문 ? 필사, 살기 위하여 첫 번째 걸음, 어휘와 친해지기 1.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해서 느낌 있는 글쓰기 미하엘 엔데 소설 《모모》 박경리 소설 《토지 5》 황지우 시 〈너를 기다리는 동안〉 프랑수아즈 사강 소설 《패배의 신호》 [나의 글쓰기] 쿵쿵! 쿵! 김유정 소설 《봄봄》 신형건 시 〈봄날〉 권대웅 산문 〈두근거림〉 [나의 글쓰기] 당신의 고동 소리 박목월 시 〈기계 장날〉 문순태 시 〈멸치〉 김승희 시 〈새벽밥〉 크리스티앙 보뱅 소설 《가벼운 마음》 권여선 소설 〈삼인행〉 산도르 마라이 소설 《결혼의 변화(상)》 유선경 산문 〈통각 편 감정어휘〉 [나의 글쓰기] 어떤 어휘가 당신에게 들어오나요? 2. 말맛 체험하기 : 언어적 직관을 터득하기 윤동주 시 〈소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시 〈진심이다〉 다니엘 글라타우어 소설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 윌리엄 셰익스피어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 가와바타 야스나리 소설 《설국》 한강 소설 《희랍어 시간》 정지용 시 〈별똥〉 추사 김정희 시 〈봄빛 짙어 이슬 많고〉 막심 고리키 소설 《어머니》 동파 소식 시 〈거문고의 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소설 〈갓파〉 빅토르 위고 소설 《레 미제라블》 유선경 산문 〈서로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라〉 3. 승자독식의 어휘를 대체하기 승자독식의 어휘 대신 쓸 수 있는 다양한 어휘들 오스카 와일드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박완서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전혜린 산문 〈긴 방황〉 아멜리 노통브 소설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 에밀 아자르 소설 《자기 앞의 생》 장영희 산문 〈‘특별한’ 보통의 해〉 칼릴 지브란 시 〈결혼에 대하여〉 김애란 산문 〈부사副詞와 인사〉 미야시타 나츠 소설 《양과 강철의 숲》 유선경 산문 〈관점을 이동시키면 생각의 그릇이 넓어진다〉 두 번째 걸음, 어휘력을 기르는 비결 1. 관계의 시작, 관심 이효석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다자이 오사무 산문 〈나태라는 트럼프〉 김애란 소설 〈벌레들〉 새 눈으로 관계를 맺게 해준 어휘들 김남극 시 〈은행나무꽃〉 이태준 산문 〈가을꽃〉 정지용 산문 〈꾀꼬리와 국화〉 이문재 시 〈파꽃〉 최윤 소설 〈속삭임, 속삭임〉 박완서 산문 〈흔들리지 않는 전체〉 파트릭 모니아노 소설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소설 〈인어공주〉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시 〈창문들〉에서 일부 미셸 투르니에 산문 〈뒤쪽이 진실이다〉 프랑시스 잠 시 〈식당〉 사이하테 타히 산문 〈I like it〉 2. 제대로 보기의 시작, 관찰 다비드 르 브르통 산문 〈침묵〉 알랭 드 보통 산문 〈시골과 도시에 대하여〉 호프 자런 산문 〈뿌리와 이파리〉 황정은 소설 〈명실〉 현기영 소설 〈아내와 개오동〉 올가 토카르추크 소설 《태고의 시간들》 3. 관점의 변화를 이끄는 전환점, 묘사 김화영 산문 〈프로방스의 아침 시장과 카바용 멜론의 향기〉 룰루 밀러 산문 〈민들레〉 델리아 오언스 소설 《가재가 노래하는 곳》 박목월 시 〈봄비〉 우숙영 산문 〈낙엽과 단풍〉 김훈 산문 〈제주에서〉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산문 〈카르데냐 성 베드로 수도원〉 장석남 산문 〈물 긷는 소리〉 한승원 소설 〈그러나 다 그러는 것만은 아니다〉 귀스타브 플로베르 소설 《마담 보바리》 카렌 블릭센 소설 《아웃 오브 아프리카》 204 박경리 소설 《토지 9》 206 F. 스콧 피츠제럴드 소설 《위대한 개츠비》 208 백석 시 〈야반夜半〉 212 자크 프레베르 시 〈아침식사〉 214 세 번째 걸음, 어휘가 주는 힘 1. 공감력 : 타인의 세계에 응답하고 그 세계로 들어가다 페터 빅셀 소설 〈책상은 책상이다〉 나쓰메 소세키 소설 《마음》 은희경 소설 《새의 선물》 하이타니 겐지로 소설 〈외톨이 동물원-서문〉 백석 시 〈산숙山宿〉 천명관 소설 《나의 삼촌 브루스 리 1》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소설 〈귤〉 문태준 산문 〈쓰다듬는 것이 열애입니다〉 김사인 시 〈조용한 일〉 메리 셸리 소설 《프랑켄슈타인》 빅터 프랭클 산문 〈비통과 환멸〉 정끝별 시 〈밀물〉 [나의 글쓰기] 공감의 이야기 2. 이해력 : 이분법적 구도에서 탈피해 입체적으로 해석하다 김현 산문 〈1987.7.1.〉 마거릿 애트우드 산문 〈어떻게 세상을 바꾸죠?〉 니코스 카잔차키스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 신영복 산문 〈희망의 언어, 석과불식〉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산문 〈습관, 자발적 복종의

Description

“필사, 그냥 베껴 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필사를 하면 진짜 어휘력이 좋아지나요?” ★어휘력을 끌어올리려 이제 막 필사를 시작하는 당신이 읽어야 할 단 한 권의 책★ 최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챗GPT를 활용하는 범위가 늘어나고 있다. 모바일 채팅봇의 기계적인 답변만 생각했다가, 막상 써보면 꽤 그럴싸한 언변과 뜻밖의 논리를 갖추고 있어 흠칫 놀라게 된다는 반응이 다수다. 알고 보면 크게 어려운 말도 없고, 뾰족한 메시지가 있는 것도 아닌데, 내가 하고 싶었던 말과 생각들을 그대로 읽어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몰라서 못 쓰는 것이 아니라 머리로는 알지만 어떻게 써야 할지 몰랐던 생각과 주장을 챗GPT가 술술 풀어내는 것을 보면서 그간의 어휘력과 문장력을 돌아보게 된다. 할 말은 많지만 쓸 만한 말이 없음을 실감하며, 전에 없던 다독 혹은 필사에 관심을 갖게 된다. 《하루 한 장 나의 어휘력을 위한 필사 노트》는 필사를 시작하거나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던져보았을 질문을 해소하는 데서 출발한다. 단순히 책 한 권을 베껴 쓰는 통 필사의 개념이 아닌, 그 이상의 효용을 끌어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소설, 시, 산문, 희곡 등 일상에서 흔히 읽기 어려운 다양한 작품들을 마주할 기회를 제공하는데, 특히 저자가 엄선하여 고른 본문 속 작품들은 눈으로 읽어도 좋지만 집중해서 천천히 손으로 필사할 때 더욱 각별한 ‘울림’이 있다. ‘어휘와 친해지는 법’, ‘어휘력을 기르는 비결’, ‘어휘가 주는 힘’ 등 어휘력을 끌어올리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동시에 자신의 목적에 더 부합한 필사를 심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 외 새롭게 읽고 필사한 문장에서 발견한 어휘를 재료로 자기만의 글쓰기를 할 수 있는 지면도 마련되어 있고, 각주에 달린 유의어 등을 본문에 대입해 읽다 보면 그간 놓치고 있던 ‘말맛’도 세세하게 느낄 수 있다. ‘쓰지 않는 말들은 결국 쓸 수 없는 말들이다’ - 내 안의 숨은 어휘력을 찾아줄 134편의 실용적인 글쓰기, 필사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 어휘는 읽고, 표현하는 데 문제가 없으면 충분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상에서 주고받는 말과 글은 생각보다 다채롭지 않다. 비슷하 단어들과 형식적인 내용만 반복적으로 오간다. 그러다 보니 새로운 것을 듣고 익혀 나의 언어를 풍성하게 만들 기회가 부족하다. 빈약한 어휘는 나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고, 정보와 지식을 해석하는 면에서도 뒤처지는 원인이 된다. 이 책은 풍성한 언어 구사력과 빠른 문해력에 목말라 있던 사람들을 위해 유선경 작가가 자신의 독서 경험과 필사 노하우를 결합해 만든 최초의 어휘력 필사책이다. 하루 한 장, 10분 남짓의 글쓰기를 통해 그동안 쓰지 않던 말을 꺼내어 쓸 수 있게 돕는다. 몰라서 못 쓴 것이 아니라 알고 있었지만 쓰일 기회가 적었던 표현이나 어휘를 익혀 비로소 내 것으로 만들어 준다. 우리는 경험한 것만 알 수 있고, 그 외의 것은 미지의 영역이다. 언어도 마찬가지다. 결국 내가 쓰지 않는 말들은 쓸 수 없는 말이다. 쓰지 않는 말의 영역이 줄어들고, 쓸 수 있는 말이 점점 늘어날 때, 공적인 글쓰기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나의 어휘력과 문장력이 한 결 넓어졌음을 체감하게 된다. 또한 낯선 문학 작품이나 생소한 어휘를 익히려 시작한 필사가 마음의 운동이 되고 명상이 되는 효과까지 두루 경험할 수 있어 ‘어른의 교양’을 위한 공부로도 손색이 없다. 이 책을 통해 계속해서 쓰는 사람, 가볍지만 꾸준하게 하루 한 장이라도 읽고 쓰는 기쁨을 맛본다면 필사의 기쁨과 나를 위한 공부의 효용을 체감하게 될 것이다. 그때는 부러 움직이지 않아도 책상에 노트와 펜을 들고 앉아 이 시간을 기다리는 자신과 마주하게 될 것이다. 그것이 바로 루틴의 힘이니까.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