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

심상대 and 14 others · Novel
420p
Where to buy
Rate
2.8
Average Rating
(2)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즈음하여 작가 15인이 공동으로 펴낸 추모 소설집. 심상대, 이평재, 노경실, 전성태, 한차현, 이명랑, 권영임, 김신, 손현주, 방민호, 한숙현, 신주희, 박사랑, 김산아, 김은. 문단의 중진에서부터 신인까지 다양한 경향의 작가들이 함께 했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슬비야, 비가 온다 ┃ 심상대 · 111 누가 내 나무를 어디로 옮겨 심었는가? ┃ 노경실 · 149 가족 버스 ┃ 전성태 · 173 위험한 아이의 인사법 ┃ 이평재 · 101 이제 막 내 옆으로 온 아이에게 ┃ 이명랑 · 129 국가와 국민과 그 밖의 존재들 ┃ 한차현 · 147 윈드 벨, 기억의 문을 열면 ┃ 김김신 · 175 청거북을 타는 아이 ┃ 손현주 · 203 이 꽃 같은 나라 ┃ 권영임 · 227 소년, 마침표를 찍지 않는 ┃ 한숙현 · 255 서쪽으로 더 서쪽으로 ┃ 방민호 · 291 극 ┃ 신주희 · 319 사자의 침대 ┃ 박사랑 · 347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 김산아 · 373 회색 무덤 ┃ 김김은 · 401 작가 공동 후기 · 417

Description

《4.16 세월호 대참사와 그동안의 경위》 2014년 4월 16일. 이날은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아직도 떨쳐내지 못한 악몽’으로 남아 있다. 수학여행지로 향하던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을 포함 승객 476명을 태운 여객선 세월호가 진도 인근 바다에서 침몰했다. 295명의 아까운 목숨이 바닷속으로 사라졌다. 거기다 사고 발생 1년이 가깝도록 아직 시신을 찾지 못한 실종자가 현재 9명, 모두 304인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세월호 참사’는 이 사건의 발생 경위를 둘러싼 국가와 정부의 역할에 대한 의혹들, 형편없는 국가의 안전관리시스템과 자본의 탐욕 등 우리 사회의 민낯을 백일하에 드러낸 재앙이었다. 참사 이후 대한민국 사회는 슬픔과 분노로 들끓었다. 각종 의혹을 낳은 정부기관과 해양경찰, 세월호 선주를 포함한 승무원들에 대한 질책이 이어졌고, 희생자를 기리는 분향소엔 비통한 표정의 시민들이 줄을 이었다. 살아남은 모두가 죄인의 심정이었다. 사건 발생 이후 유족과 실종자 가족을 중심으로 제기된 ‘진상규명’의 목소리는 특별법 제정 요구로 이어졌다. 이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서 밤을 지새우고, 곡기를 끊는 단식농성을 결행했다. 그 기나긴 진통의 과정을 통해 탄생한 ‘세월호특별법’과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그러나 현재까지도 특별법과 조사위원회를 둘러싼 갈등과 잡음은 지속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문학인들의 노력과 이번 15인 공동 추모 소설집 발간》 세월호 참사 이후 1년. 그간 많은 작가와 시인들이 ‘어째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밝혀내고, 유사한 사고의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자’는 국민적 목소리에 공감을 표하며 행동을 함께 해왔다. ‘문학인 시국선언’, 추모 시집과 산문집의 출간, ‘304 낭독회’를 포함한 각종 추모문화제 등이 그 사례다. 이번에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즈음하여 작가 15인이 공동으로 펴낸 추모 소설집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는 이런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문학적 행동’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됐다. 출간의 취지에 동의해『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에 참여한 작가는 모두 15명이며 그 명단은 다음과 같다. 심상대, 이평재, 노경실, 전성태, 한차현, 이명랑, 권영임, 김신, 손현주, 방민호, 한숙현, 신주희, 박사랑, 김산아, 김은. 문단의 중진에서부터 신인까지 다양한 경향의 작가들이 함께 한 것이다. 《15인 공동 추모 소설집의 출간 과정》 출간 논의는 지난해 말 시작됐다. 2014년 12월 27일 저녁 7시, 서울 인사동 한 음식점에 모인 작가들은 ‘세월호 참사’라는 거대한 비극 앞에 ‘과연 이 막막함을 극복하고 현실을 직시하며 전망을 제시하는 소설을 쓸 수 있을까’라는 걱정을 먼저 했다. 그러나 결국 작가는 무언가를 쓰는 것으로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다시금 공유하면서 공동 소설집 발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참여 작가들은 둘러 가는 길이 아닌 정공법을 선택했다. 이번 추모 소설집에 참여한 작가들은 한 사람 빠짐없이 모두 ‘세월호’와 긴 겨울을 보냈고, 이른 봄 그 결과물인 작품들이 출판사에 의해 취합될 수 있었다.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는 지난겨울부터 올 봄까지를 참사의 아픈 기억과 함께 뒤챘던 작가들이 건져 올린 ‘죽음과 부활의 기록’에 다름 아니다. 여기에 화가 김진숙 씨는 책의 표지작업을 위해 사용하라며 자신의 작품을 선뜻 보내주어 출간에 힘을 보탰다. 《참여 작품의 창작 메모를 보내온 작가들》 이번 추모 소설집을 통해 작가들은 ‘이 소설을 쓴 이유는 내가 어른이기 때문이며 견딜 수 없이 부끄러웠기 때문(심상대)’이라는 고백을 털어놓았고, ‘사람보다 돈과 권력을 중시하는 기업과 정부의 태도에서 세월호를 보았다(김산아)’는 뼈아픈 각성을 되새겼으며, ‘내가 유일하게 할 수 있는 일은 기록하는 일이고, 진도의 아이들을 기억하는 일(전성태)’이라는 소설가로서의 사명을 다시금 떠올렸다. 또한 참여 작가 중 한 사람인 이평재 씨는 1주년을 즈음한 추모 분위기가 고조될 것임을 예상하면서, 이번 추모 소설집은 15인의 작가들이 문학인의 입장에서 문학적으로 희생자 추모에 참여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위에 언급한 것 외에도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에 참여한 작가들 모두는 작품 서두에 ‘창작 메모’를 실어 자신들은 ‘세월호 참사’를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았는지를 독자들에게 알리고 있다. 《추모 소설집에 추천사를 보내온 정희성, 윤후명 작가》 후배 작가들이 뜻을 모은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의 출간 소식을 접한 시인 정희성과 소설가 윤후명은 추천사를 써주는 것으로 책에 힘을 보탰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일주년이 되었다. 그것은 참사가 아니라 참살이라고 외쳤지만 메아리가 돌아오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가며 사람들 가슴의 노란 리본이 사라지고 추모객의 발길이 뜸해졌다. 그러나 “잊지 않겠습니다. 오래 기억하겠습니다.”라고 팽목항에 내 건 몇 마디 구호가 헛된 다짐으로 끝나도록 내버려두지는 않을 터이다. 작가들은 아이들을 쓴바다의 어둠 속에 남겨둔 채 도망치지 않는다. 함께 있으며 낱낱이 기록하리라. 어린 영혼에 바쳐지는 이 헌사가 어두운 물밑에 이르는 빛이 되기를! “어둠이 그 빛을 이기지 못하였다.”하는 말씀처럼. -시인 정희성 이 소설집은 또 하나의 ‘죽음의 집의 기록’이다. 맹골수도의 바닷길 그 밑 끝없는 어둠 속에 가라앉은 한 척의 배, 그 속에 갇혀 있는 아우성을 듣는다. 아우성은 기도가 되어 들려오지만 듣는 귀는 다만 무력할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둠 속에 갇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록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하나의 ‘죽음의 집의 기록’을 남기지 않으면 안 된다. -소설가 윤후명 《공동 추모 소설집 이후의 후속 활동 계획》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를 출간한 15명의 작가들은 4월 중으로 게재된 작품을 독자들과 함께 공유하는 ‘세월호 1주기 추모 낭독회’(가제)를 개최할 예정이며,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잊지 않고 기억한다는 의미에서 유족회에 추모 소설집을 기증할 계획이다. 향후 발생할 판매 수익금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증언하며 기록하는 사업에 사용하게 된다. 《세월호 참사 1주기 공동 추모 소설집의 내용》 아래는 세월호 참사 추모 소설집에 실린 작품들의 전체 내용과 그 간략한 줄거리다. 심상대 「슬비야, 비가 온다」 결코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나눈 친구와 헤어져 십대를 보내야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그 슬픔 속으로 파고들어간 작품이다. 은규와 재중은 세월호 침몰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여학생 슬비와 특별한 인연을 가진 친구들이다. 참사가 있은 지 어느덧 삼백 일이 지났다. 안산에서는 풍문이 하나 떠돈다. 비가 내리는 날이면 단원고등학교 인근 원고잔공원에 죽은 아이들의 영혼이 나타난다는 것. 은규와 재중은 혹시 은비를 만날 수도 있다는 희망에 함께 그곳을 찾아가보기로 하는데……. 노경실 「누가 내 나무를 어디로 옮겨 심었는가?」 자식을 먼저 떠나보낸 아버지는 제대로 된 삶을 살아갈 수 없을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이 단편은 한 아버지의 뼈아픈 봄을 다루고 있다. 참혹한 사건으로 아들을 잃은 아버지는 한 달째 지독한 이명 증상에 시달리고 있다. 택배기사인 그는 절친한 친구에게 고통을 호소해보지만 별다른 해결방법을 찾지 못한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이혼남인 그는 죄책감 탓에 아들의 갑작스런 죽음 앞에서도 쉽사리 분향소를 찾지 못했는데……. 전성태 「가족 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