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제1장 ‘문계학부 폐지’라는 충격 9 1. 순식간에 퍼진 ‘문계학부 폐지’ 보도 9 미디어는 ‘문계학부 폐지’를 어떻게 전했는가? 9 문과성 비판의 집중포화 12 해외 미디어, 산업계에서도 잇따라 비판 14 문과성 통지에는 무엇이 쓰여 있었던가 15 2. ‘통지’ 비판의 배후에 있는 암묵적 전제 18 통지 내용은 1년 전에 공표되었다 18 ‘문계학부 폐지’ 비판의 배경 20 ‘벌이가 되는 이계’ 대 ‘벌이가 안 되는 문계’라는 구도 23 3. 문리의 불균형은 언제부터 구조화? 24 국립대의 ‘문계’와 ‘이계’ 24 전쟁의 시대에 이끌린 이계 중시 노선 25 현재까지 이어진 전시의 연구 예산 체제 27 고도 경제 성장에 따라 한층 강해진 이계 편중 28 고도성장기 이후에도 계속되는 이계 중심 체제 30 이계 편중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문제 제기 31 4. 법인화 후 점점 확대되는 문ㆍ이의 격차 34 국립대 법인화라는 결정타 34 문계 약화가 가속하는 제도 36 교육력과 연구력의 약화가 동시 진행 40 5. ‘임무의 재정의’에서 문계의 미래는? 42 반복적으로 요구되는 ‘조직의 재검토’와 ‘기능별 분화’ 42 국립대가 처한 위기 상황 44 문계 개혁의 방향성이 보이지 않는다 46 ‘혁신’의 흐름에서 뒤처진 문계 48 ‘문계학부 폐지’ 소동에서 알게 된 것 50 제2장 문계는 도움이 된다 53 1. “도움이 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53 “도움은 안 되지만 가치는 있다”는 것은 정말인가? 53 대학은 나라에 봉사하는 기관이 아니다 56 대학은 인류적 보편성에 봉사한다 58 2. ‘도움이 된다’의 두 가지 차원 59 목적 수행형 유용성과 가치 창조형 유용성 59 막스 베버Max Weber에게서 새로 배운다 61 가치 축은 반드시 변화한다 62 이계와 문계의 “도움이 된다”는 다르다 64 3. ‘인문사회계’, ‘교양’, ‘교양과목’의 차이 66 ‘문계=교양’이라는 오해 66 문계도 이계도 포함된 ‘교양과목’ 68 국민국가와 ‘교양’의 탄생 70 ‘세계적인 교양’은 존재하는가? 73 4. 대학 기초 교육의 20세기적 변용 74 ‘교양’과 ‘일반교육’은 다르다 74 ‘일반교육’ 도입의 한계 78 ‘교양교육의 해체’는 왜 일어났는가 80 ‘공통교육’, ‘기능competance’에 의한 ‘교양’의 공동화 82 5. 인문사회계는 왜 도움이 되는가 84 ‘문계’와 ‘이계’의 구별은 언제 생겼나 84 인문사회과학은 어떻게 분화ㆍ독립했는가 87 신칸트파와 ‘가치’에 대한 질문 90 문화주의에 대한 다양한 비판적 개입 93 자기 자신을 의심하는 지식으로서의 인문사회계 94 ‘문계’는 오랫동안 도움이 된다 96 제3장 21세기의 미야모토 무사시 99 1. 대폭발하는 대학을 둘러싼 위기 99 문계만이 아닌 ‘대학의 위기’ 99 저출산 고령화 속의 대학 폭발 102 지원자 마케팅의 융성-캄브리아기적 대폭발의 시대 104 세계 규모에서의 대학의 폭발 109 2. 완화ㆍ중점화ㆍ법인화-자유주의 속의 대학 개혁 113 대학원 중점화와 학부ㆍ대학원을 둘러싼 미국과 일본의 차이 113 대학원 중점화의 두 가지 귀결 116 3. 누가 대학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가 119 국가ㆍ문과성의 역할의 한계 119 산업계의 경험은 대학 개혁에 유효한가 121 대학의 일은 대학에 맡기면 된다? 124 4. 개혁은 어디로 향하는가? 126 국가ㆍ문과성은 대학의 교육 개혁에 무엇을 요구해왔는가 126 유동화하는 사회에서의 질 보증 128 변화의 주체를 생성하는 세 가지 조건 131 5. 대학은 갑각류에서 척추동물로 진화한다 136 일본의 대학을 지키는 다섯 개의 벽 136 갑각류에서 척추동물로-활유어로서의 대학 140 6. 21세기의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 142 미야모토 무사시의 이도류를 대학에 도입하다 142 미국의 ‘상식’과 ICU의 교육 개혁 146 국립대의 도전과 곤란 148 7. 미야모토 무사시를 육성하는 현장-수업 개혁 150 조제남조의 수업을 바꾼다 150 대학 교육은 어디로 향하는가? 153 제4장 인생에 세 번, 대학에 들어간다 157 1. 대학은 인생의 통과의례인가? 157 고교와 대학 사이에 존재하는 두 가지 벽 157 입시 개혁과 커리큘럼 간격의 관계 160 2. 인생에서 대학을 위치 짓다 162 들어가기 가장 어려운 대학이 가장 좋은 대학은 아니다. 162 입구 관리에서 출구 관리로의 이행은 가능한가? 164 인생에서 대학을 새로 위치 짓다 167 3. 인생의 선로 전환기로서의 대학 169 이상할 정도로 동질적인 일본 대학생의 나이 구성 169 붕괴의 고비를 맞은 입구 관리 의존의 대학 교육 172 인생에 세 번 대학에 가다 174 4. 입학자의 다양화와 학생을 주체화하는 학습 177 액티브 러닝에 따른 수업 실천-‘나를 공격하라!’를 예로 177 교수의 논의를 비판하는 다섯 단계 179 다양한 나이, 배경을 가진 학생의 질에 필요한 출구 관리 182 대학 교육은 양의 시대에서 질의 시대로 185 5. 인문사회계는 새로운 인생에 도움이 된다 188 가치 축이 다원화, 복잡화, 유동화하는 사회를 살아가다 188 ‘시차’로 21세기의 미야모토 무사시를 육성하다 190 ‘논문 쓰기’라는 방법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