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추천사 _ 제20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금동화 출간을 축하하며 _ 제21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한홍택 인류에 공헌한 과학을 위하여 _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원장(원장 직무대행) 이병권 옮긴이 서문 1901 혈청을 이용한 디프테리아 치료법의 발견 | 에밀 폰 베링 1902 말라리아의 인체 침투 경로에 관한 연구 | 로널드 로스 1903 심상루프스의 치료를 위한 광치료법 발견 | 닐스 핀센 1904 소화·생리 기능의 생명 현상에 관한 업적 | 이반 파블로프 1905 결핵 연구 | 로베르트 코흐 1906 신경계의 구조에 관한 연구 | 카밀로 골지,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1907 질병 발생과 관련한 원생생물의 역할에 관한 viii연구 | 알퐁스 라베랑 1908 면역에 관한 연구 | 일리야 메치니코프, 파울 에를리히 1909 갑상선의 생리학·병리학적 연구 및 외과 수술에 관한 연구 | 에밀 코허 1910 세포화학의 발전에 관한 공로 | 알브레히트 코셀 1911 눈의 굴절광학에 관한 연구 | 알바르 굴스트란드 1912 혈관 봉합술 및 기관 이식에 관한 업적 | 알렉시스 카렐 1913 과민증에 관한 연구 | 샤를 리세 1914 전정기관의 생리·병리학에 관한 업적 | 로베르트 바라니 1919 면역에 관한 연구 | 쥘 보르데 1920 모세혈관의 운동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아우구스트 크로그 1922 근육 내 열생산에 관한 연구 | 아치볼드 힐 산소 소비와 젖산대사의 고정관계 연구 | 오토 마이어호프 1923 인슐린의 발견 | 프레더릭 밴팅, 존 매클라우드 1924 심전도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로 | 빌렘 에인트호벤 1926 스파이롭테라 암을 발견한 공로 | 요하네스 피비게르 1927 마비성 치매의 치료에서 말라리아 접종법의 가치에 관한 연구 | 바그너 야우레크 1928 티푸스 연구 | 샤를 니콜 1929 항신경염성 비타민과 성장촉진 비타민의 발견 | 크리스티안 에이크만, 프레더릭 홉킨스 1930 인간의 혈액형 발견 | 카를 란트슈타이너 1931 호흡효소의 성질과 작용 방식의 발견 | 오토 바르부르크 1932 뉴런의 기능 발견 | 찰스 셰링턴, 에드거 에이드리언 1933 유전 현상에서 염색체의 역할 규명 | 토머스 헌트 모건 1934 간을 이용한 빈혈 치료법 발견 | 조지 휘플, 조지 마이넛, 윌리엄 머피 1935 배 발생에서의 형성체 효과 발견 | 한스 슈페만 1936 신경 충격의 화학적 전달기전 발견 | 헨리 데일, 오토 뢰비 1937 생물학적 연소 과정에 관한 연구 | 얼베르트 센트죄르지 1938 동과 대동맥의 호흡 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코르네유 하이만스 1939 프론토실의 항균 효과 발견 | 게르하르트 도마크 1943 비타민 K의 발견과 그 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 헨리크 담, 에드워드 도이지 1944 단일 신경섬유의 기능 발견 | 조지프 얼랜저, 허버트 개서 1945 감염성 질환에 대한 페니실린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알렉산더 플레밍, 언스트 보리스 체인, 하워드 플로리 1946 엑스선에 의한 돌연변이 발생의 발견 | 허먼 멀러 1947 글리코겐의 촉매 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 코리 부부 당대사 과정에서의 뇌하수체 호르몬의 역할 연구 | 베르나르도 우사이 1948 DDT의 효과 발견 | 파울 뮐러 1949 중뇌의 기능 발견 | 발터 루돌프 헤스 정신병 치료에 있어 백질 절제술의 가치에 관한 연구 | 앙토니우 에가스 모니즈 1950 부신피질 호르몬에 관한 연구 | 에드워드 켄들,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필립 헨치 1951 황열병에 관한 연구 | 맥스 타일러 1952 스트렙토마이신 발견 | 셀먼 왁스먼 1953 시트르산 회로 발견과 조효소에 관한 연구 | 한스 크레브스, 프리츠 리프만 1954 소아마비 바이러스 배양 방법 발견 | 존 엔더스, 토머스 웰러, 프레더릭 로빈스 1955 산화효소의 작용 방식과 성질에 관한 연구 | 악셀 후고 테오렐 1956 심장도관술과 순환계의 병리적 현상에 관한 업적 | 앙드레 쿠르낭, 베르너 포르스만, 디킨슨 리처즈 1957 특정 화학요법제의 작용에 관한 연구 | 다니엘 보베 |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