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정 이지함은
진귀한 새, 괴이한 돌, 이상한 풀이다
《토정비결》 저술자이자 조선 최고의 예언가! 토정 이지함은 누구인가?
기인이자 뛰어난 행정가였던 토정 이지함의 업적을 후손의 시선으로 쫓다
정초가 되면 누구나 한번쯤 일 년의 신수를 점치기 위해 보는 토정비결. 이 책은 《토정비결》의 저술자이자 조선 최고의 예언가 토정 이지함의 생애와 백성을 향한 애민사상을 도술가 전우치를 등장시켜 유쾌하게 그린 장편소설이다. KBS 사극 『맥』 『태양인 이제마』 『객주』 『먼동』 등을 집필한 극작가 김항명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지함의 행적과 《토정비결》이 세상에 나오게 된 이유를 들려준다.
조선 중기 학자였던 이지함은 어려서는 형 지번에게 학문을 배우고, 나중에 서경덕의 제자가 되는데, 저자는 이 일화에 전우치와 황진이를 등장시켜 이야기의 재미를 더했다. 또 학문적 교류와 친분이 두터웠던 율곡 이이와의 이야기도 들려주면서, 율곡이 《연경일기》에서 이지함에 대해 쓴 인물평도 소개한다.
아산 현감 이지함은 어려서부터 욕심이 적어서 외계의 사물에 인색하지 않았다. 기질을 이상하게 타고나서 능히 춥고 더운 것은 물론이고 배고픈 것도 견딜 수 있었다. 겨울에 벌거숭이로 매서운 바람 속에서도 앉아 견딜 수 있었으며, 열흘 동안 곡기를 끊고서도 병이 나지 않았다. 천성이 효성스럽고 우애가 두터워서 형제간에 있거나 없거나 자기 소유를 따지지 않았다. 재물을 가볍게 여겨서 남에게 주기를 잘했다. 세상의 화려함이나 음악, 여색에 담담하여 아랑곳하지 않았다. 성질이 배 타기를 좋아하여 바다에 떠서 위태로운 파도를 만나도 놀라지 않았다. - 본문 중에서
이지함은 사화기의 정국에서 과거를 포기하고, 전국을 유랑하며 많은 기행과 관련된 일화를 남겼는데, 이 책은 그런 그의 행적을 후손인 이필재의 눈으로 좇고 있다. 이야기는 이필재가 비전을 찾기 위해 이지함의 행적으로 쫓으면서, 이필재와 이지함의 이야기를 번갈아가면 들려준다. 이필재는 한산 이씨 종손으로 종고조부가 이산보이고, 이산보의 숙부가 이지함이다.
어느 날 이필재에게 동문수학하던 배창진이 찾아온다. 당시 조선은 장희빈이 왕자를 낳자 중종은 세자책봉을 두고 신하들과 대립하고, 서인들은 세력 몰락을 막기 위해 성리학자이자 주자학의 대가인 우암 송시열이 일러준 비전의 흔적을 찾기 위해 이지함의 후손인 필재를 찾은 것이다. 조선과 서인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비전을 찾아야 하는 필재가 선조 할아버지 이지함의 흔적을 찾던 중 우암 송시열이 발문을 쓴 《토정집》을 발견한다. 우암을 찾아가지만, 그는 중종의 노여움을 사 결국 귀향길에 오른 후 사약을 받다. 이지함의 이야기는 비전을 찾기 위해 《토정집》을 띄엄띄엄 읽는 필재의 시선으로 들려주면서, 그의 업적과 비범함을 쫓아간다.
필재는 과연 《토정집》에서 비전을 찾고 서인의 몰락을 막을 수 있을까. 저자는 후손이 선조가 걸어온 길을 되짚는 형식으로, 토정 이지함이 단순히 점술가가 아닌 백성을 사랑한 인물로서 그의 삶을 좀 더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