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문제1장 | 행정과 이론의 위기1. 실천으로서의 행정2. 과학으로서의 행정3. 이론의 위기4. 이론의 맥락의존성5. 이론 위기의 원인6. 이론의 종말 7. 몇 가지 제언제2장 | 이론의 기능과 유형1. 이론의 의의2. 이론의 형성 과정3. 이론의 기능 4. 이론의 유형 5. 모델과 패러다임제3장 | 행정이론의 계보1. 독일의 행정이론2. 영국의 행정이론3. 프랑스의 행정이론4. 미국의 행정이론제4장 | 과학적 관리이론1. 과학적 관리이론 등장의 경제적 맥락2. 테일러의 생애와 사상3. 과학적 관리법의 주요 내용 4. 과학적 관리법의 유의 사항5. 과학적 관리법에 대한 비판제5장 | 관료제이론1. 관료제의 어원 2. 관료제를 통한 권력행사 방식 3. 베버의 지적 세계와 학문적 입장4. 관료제이론 5. 관료제의 역기능 6. 관료제이론에 대한 비판 제6장 | 비교행정이론1. 비교행정이론 등장의 정치경제적 맥락2. 비교행정이론의 전개3. 비교행정이론의 주요 내용 4. 비교행정연구의 쇠퇴 원인5. 비교행정연구의 공헌과 비판6. 비교행정이론의 적용 가능성제7장 | 신행정이론1. 신행정이론의 등장 배경 2. 신행정이론의 주요 내용3. 신행정이론에 대한 평가 4. 신행정이론의 적용 가능성제8장 | 신공공관리이론1. 신공공관리이론의 전개와 등장 배경 2. 신공공관리이론의 정치경제학 3. 신공공관리이론의 내용과 특성 4. 신공공관리이론의 유용성과 한계 제9장 | 공공선택이론1. 공공선택이론의 등장 배경 2. 공공선택이론의 기본 요소3. 공공선택이론의 접근방법 4. 공공선택이론의 내용과 특징 5. 공공선택이론의 유용성과 한계제10장 | 신제도이론1. 신제도이론의 등장 배경2. 신제도이론의 주요 내용3. 신제도이론의 분파별 핵심 내용 4. 신제도이론의 유용성과 한계제11장 | 거버넌스이론1. 거버넌스 논의의 배경 2. 거버넌스의 개념적 스펙트럼3. 거버넌스이론의 갈래 4. 주체에 따른 이론적 모형 5. 거버넌스이론의 효용과 한계 제12장 | 복잡계이론1. 복잡계이론의 등장 배경 2. 복잡계의 특징과 이론적 배경 3. 복잡계이론의 주요 개념4. 행정현상의 비선형성 및 창발성 5. 부동산 정책으로 본 복잡계 현상6. 복잡계이론의 유용성과 한계 제13장 | 기존 이론의 한계와 새로운 이론의 탐색1. 기존 이론의 한계2. 새로운 이론의 탐색을 위한 과제 3. 새로운 이론의 역할과 기대효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