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역자의 말 · 20 서문 · 29 1권 문제제기 : 프로이트의 입지 33 1 장_언어, 상징, 해석에 대하여 35 1. 정신분석학과 언어 35 2. 상징과 해석 40 3. 상징에 대한 비판을 위하여 45 2장_해석들의 갈등 59 1. 해석이라는 개념 60 2. 의미에 대한 묵상으로서의 해석 71 3. 혐의 추궁으로서의 해석 77 3장_해석학적 방법과 반성철학 83 1. 상징에 의뢰하는 반성 84 2. 반성에 의뢰하는 상징 88 3. 반성과 다의적 언어 95 4. 반성과 해석학적 갈등 104 2권 분석론 : 프로이트 읽기 109 들어가는 말 : 프로이트를 읽는 방법 111 1부 : 에너지론과 해석학 119 프로이트주의의 인식론적 문제 120 1장_해석학 없는 에너지론 124 1. 항상성 원칙과 양적 기관 127 2. 지형학을 향하여 142 2장_『꿈의 해석』에서 에너지론과 해석학 149 1. 꿈 작업과 주해 작업 151 2. 7장의 ‘심리학’ 169 3장_「메타심리학에 관한 논고」에서 충동과 대표 185 1. 지형학적-경제학적 관점과 충동 개념의 획득 188 2. 대표와 표상 211 2부 : 문화 해석 235 1장_꿈의 유비 242 1. 꿈의 특권 242 2. 예술작품의 유비 247 2장_꿈꾸기에서 승화로 268 1. 해석의 기술적 접근과 임상적 접근 271 2. 해석의 발생적 방법 280 3. 메타심리학적 문제 : 초자아라는 개념 313 3장_환영 338 1. 환영과 욕망의 전략 340 2. 설명의 발생적 단계 : 토테미즘과 유일신교 347 3. 종교의 경제적 기능 362 3부 : 에로스, 타나토스, 아낭케 371 1장_쾌락원칙과 현실원칙 378 1. 현실원칙과 ‘이차 과정’ 380 2. 현실원칙과 ‘대상 선택’ 390 3. 현실원칙과 자아의 경제적 과제 397 2장_죽음충동 : 사변과 해석 404 1. 삶과 죽음에 대한 프로이트적 ‘사변’ 404 2. 죽음 충동과 초자아의 파괴성 421 3. 에로스와 타나토스 사이의 문화 433 3장_심문 443 1. 부정성이란 무엇인가? 444 2. 쾌락과 만족 454 3. 현실이란 무엇인가? 462 3권 변증법 :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해석 483 1장_인식론 : 심리학과 현상학 사이 488 1. 정신분석학의 인식론적 과정 489 2. 정신분석학은 관찰의 학문이 아니다 507 3. 정신분석학적 영역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531 4. 정신분석학은 현상학이 아니다 550 2장_반성 : 주체의 고고학 589 1. 프로이트와 주체 물음 591 2. 이드의 실재성, 의미의 관념성 605 3. 고고학이라는 개념 616 4. 고고학과 반성철학 635 3장_변증법 : 고고학과 목적론 644 1. 의식의 목적론적 모형 : 헤겔적 현상학 648 2. 넘어설 수 없는 삶과 욕망 657 3.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a) 조작개념 663 4.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b) 동일화 696 5.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c) 승화에 관한 물음 677 4장_해석학 : 상징에의 접근 691 1. 상징의 과잉결정 694 2. 상징의 위계질서 707 3. 승화와 문화적 대상의 문제에 관한 변증법적 재검토 718 4. 신앙과 종교 : 성스러운 것의 애매성 732 5. 종교 정신분석학의 가치와 한계 742 프로이트 저작 연표 · 771 찾아보기 · 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