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추천의 글 개정 증보판을 펴내며 머리말 제1장 유럽의 법 전통 Ⅰ. 유럽연합, 서양 법제사를 꺼내들다 Ⅱ. 학문으로서 법학에 대한 의문 Ⅲ. 서구의 법 전통을 논하는 데 선행되는 쟁점들 Ⅳ. 법과 종교의 분리 Ⅴ. 고리타분하고 어렵지만 여전히 중요한 자연법과 자연법학파 제2장 서구의 법 전통의 원천 Ⅰ. 로마법 Ⅱ. 로마인들의 자랑: 12표법 Ⅲ. 로마법의 소송법 발전사 Ⅳ. 만민법과 법학자의 출현 Ⅴ. 로마 제국과 법 Ⅵ. 고전기의 법학자들 Ⅶ. 법률의 정리 Ⅷ. 로마법의 특징 제3장 교회법 Ⅰ. 1천년기 준비 Ⅱ. 독립 학문으로서의 교회법 Ⅲ. 교회법이 일반시민법에 미친 영향 Ⅳ. 교회법의 법률 격언: 『보니파시오 8세 법령집』에 수록된 88개의 법률 격언 제4장 보통법(공통법) Ⅰ. 유스 코무네란 무엇인가? Ⅱ. 보통법의 원천: 유스티니아누스와 그의 법전 Ⅲ.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의 전파: 서로마와 중세 Ⅳ. 중세의 교육 체계 안에서의 법학 Ⅴ. 중세의 사회 구조 Ⅵ. 보통법과 특별법 Ⅶ. 법학의 진화 Ⅷ. 보통법과 유럽 주註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