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카운터 너머로 ‘살짝’ 넘어오시겠습니까? 매일같이 편의점에 가지만 카운터 너머 사람에 대한 기억은 없다. 통신사 할인 바코드를 보여주고 카드를 내민 것까지는 생생한데 상대의 얼굴만은 백지다. 편의점에 기대하는 건 딱 그 정도의 관계다. 무색무취하고 무해한. 아침밥 대용으로 삼각김밥을 고르거나 급히 생리대를 찾는데 상대가 살갑게 다가오면 그것도 참 곤란하다. 그런데 여기, 손님 관찰과 별명 붙이기가 취미인 편의점 주인이 있다. 아침 6시부터 저녁 8시까지 하루 14시간씩 서서 일하면서 짬짬이 책을 읽고 부지런히 글도 쓴다. 수상하다, 이 남자가! 고백하자면, 출판사는 이 편의점 작가의 원고를 읽자마자 놓칠세라 계약을 서둘렀다. 주인공의 글은 아주 ‘가볍게’ 카운터 너머의 세계로 읽는 이를 데려다 놓았다. 글을 따라 그곳에 서보니 하루 수백 명의 손님을 맞는 근무자의 어려움이 어렴풋이 이해됐고, 걸음을 재촉하는 우리의 하루는 더욱 선명히 보였다.손님과 주인도 좋지만 사람 대 사람이 더 반갑습니다일명 ‘사직서’로 불리는 손님은 저녁 무렵 나타나 불콰한 모습으로 컵라면을 사 가는 직장인이다. 두세 개, 많을 때는 예닐곱 개에 달하는 컵라면을 일일이 뜯어 물을 부어 간다. 궁금한 건 못 참는 주인공이 사무실에 정수기가 없느냐 물으니 손님 대답이 압권이다. “내 말이 그 말입니다. 그런데 그놈이 꼭 편의점에서 물을 부어 오라고 시킨단 말입니다. 그게 더 맛있다나요….” 우리는 그놈이 누군지 본능적으로 안다. 라면 셔틀(?)을 당하고 있는 ‘사직서’는 어느 날 진짜 사직서를 품에서 꺼내 보여준다. 사직서를 두고 신세 한탄을 하는 손님과 밖은 지옥이라며 충고를 건네는 편의점 주인. 이런 광경은 주인공의 편의점이 아니면 보기 힘들 거다.요즘 주인공의 관심 1호는 지효다. 지효만 생각하면 영 일손이 안 잡힌다. 모든 가맹점에서 피자젤리가 사라질 날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효는 어린이집 하원 후 엄마와 편의점에 들러 1일 1피자젤리를 실천하는 단골손님이다.) 편의점은 지효가 이해하기 어려운 질서로 움직이는 세계다. 판매량이 주춤하는 상품은 서바이벌 오디션 참가자처럼 등급이 하향 조정되다 결국엔 방출당하고 만다. 편의점 본사에 전화해 피자젤리를 살려내라 화를 내고, 우리 매장에만이라도 넣어달라 사정해보고 싶지만 그건 능력 밖의 일이다. 편의점 아저씨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꼬마 지효에게 “사실 버거젤리가 더 있다”고 우겨보는 것뿐. 이 책을 읽고 나면 조금 불편해질지도 모릅니다 주인공의 글은 작은 일상과 큰 세상을 동시에 껴안는다. 애써 진열해놓은 줄을 망가뜨리며 아득바득 뒤에 있는 물건을 꺼내 가는 손님을 몰래 욕하거나, 무엇이든 진열해 버릇하는 직업병 때문에 지하철 의자에 나란히 앉은 사람들을 머릿속으로 재배열하는 모습은 실소를 자아낸다. 그러다 최저임금 인상 이슈를 향해 현실적인 문제를 제기하거나 프랜차이즈 본사와 제조사의 관계를 드러내며 생각할 거리를 남기기도 한다. 그가 손에 쥔 이야기의 뜰채가 이렇게나 촘촘한 건 매일매일 관찰과 기록을 멈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편의점에서 하루 종일 쓰고 또 썼다. 매일 아침 6시에 편의점 문을 열어 김밥과 도시락, 샌드위치를 진열하고 나면 출근 피크 시간이 시작되기 전까지 약간의 여유가 생겼다. 물론 이때도 손님은 들어오지만 손님을 맞은 후 자리에 앉고, 다시 손님을 맞은 후 자리에 앉고, 앉았다 일어섰다 요동을 치는 와중에도 글을 써 내려갔다. 도대체 어디에 어떻게 발표할 것이라는 대책도 없이 그저 무작정.” 편의점 주인의 이토록 성실한 기록을 읽고 나면, 편의점 나들이가 예전보다 조금은 불편해질지 모른다. 뒤에서 물건을 빼려 할 때 괜히 눈치가 보이고, 라면 국물이 덜 튀게 조심히 버리게 되고, 수백 종의 담배를 등지고 있는 근무자가 주문한 담배를 찾을 때까지 재촉하지 않는 마음 씀씀이 같은 것들 말이다. 내가 향하는 편의점에서도 ‘사람 냄새’가 났으면 하고 바라는 당신에게, 이 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