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스캔들

Jin Jung-gwon
404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2(26)
Rate
4.2
Average Rating
(26)
지난 2016년, 세상을 한바탕 떠들썩하게 만든 사건이 있었다. TV 뉴스에서는 가수이자 화가인 어느 연예인의 얼굴이 반복적으로 비춰졌고 그를 보면서 입 달린 사람이면 누구나 한마디씩 거들었다. 안 그래도 이런저런 언행으로 부정적 이미지가 없지 않던 인물인지라 사건이 불거진 후 그를 향한 대중과 언론의 시선은 대체로 싸늘했다. 심지어 그는 ‘사기꾼’으로 회자되었다. 이른바 ‘조영남 그림 대작’ 사건이다.진중권에 따르면 그 사건은 한마디로 “현대미술에 대한 몰이해가 빚어낸 소극”이다. <미학 스캔들>는 이제는 어느덧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혔을 그 사건을 미학적·예술사적 차원에서 혹은 상식적 논리의 차원에서 재조명한다. 이 책의 저자 진중권은 그 사건을 둘러싼 논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스스로도 내상을 입었다고 고백하면서도, “그 사건의 불편한 기억과 더불어 사건이 우리에게 던져준 교훈까지 흘려보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서 이 책을 썼다고 밝힌다.진중권이 말하듯, ‘조영남 그림 대작 사건’은 한때 온 사회를 분노로 들끓게 한 부정적 사건이기만 했던 것이 아니다. 진중권은 “이 사건을 통해 조영남은 (본의 아니게) 우리 미술계에 한 가지 중요한 의제를 던져주었다”라면서 그것이 바로 미술의 ‘현대성’modernity이라는 의제임을 강조한다.
Rating Graph
Avg4.2(26)

Author/Translator

Comment

6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1 ‘그의 손으로’_ 미켈란젤로 혼자 다 그렸다고?르네상스의 공방 | ‘기술’은 ‘예술’이 되고 | 친작의 신화2 렘브란트의 자화상_ 이것은 자화상인가, 자화상이 아닌가렘브란트의 서명 | 자화상은 자화상이 아니다 | 렘브란트의 자기숭배?3 루벤스의 스튜디오_ 17세기의 어셈블리라인 회화누구의 그림인가 | 17세기 감정의 패러독스?4 푸생은 세 사람인가_ 〈판의 승리〉, 〈바쿠스의 승리〉, 〈실레누스의 승리〉푸생이냐 루벤스냐 | 푸생의 스튜디오 | 〈판의 승리〉와 〈바쿠스의 승리〉, 둘 중 어느 것이 친작인가 | 〈실레누스의 승리〉 5 들라크루아의 조수들_ 낭만주의와 19세기 친작 열풍 낭만주의 혁명 | 〈럼리의 친필〉 | 들라크루아의 조수들 6 신화가 된 화가, 반 고흐_ 화가의 전형이 아닌 ‘예외적 존재’ 쿠르베의 작업실 | 마네 이후의 인상주의자들 | 고흐의 신화 7 아우라의 파괴_ 20세기 미술사에 일어난 일 신의 자리를 차지한 예술 | 모더니즘의 반反미학 | 후기모더니즘 | 팝아트와 포스트모던 | 포스트모던의 조건 8 예술의 속물적 개념_ 낭만주의 미신에 사로잡힌 21세기의 대한민국 미술계 증발한 20세기 | 예술의 신성가족 | 신분에서 기능으로 9 조영남 사건에 관하여_ 현대미술의 ‘규칙’과 대중·언론·권력의 세 가지 ‘오류’ 조영남은 사기꾼인가? | 저작권법 위반인가? | 이른바 ‘사기죄’에 관하여 | 범죄(?)의 재구성 | 검찰이 저지른 범주 오류 | 유시민도 모르는 ‘조영남 사건’의 본질 | 데이미언 허스트 vs 데이비드 호크니 | 물리적 개입이 있어야 예술인가? | 조영남만은 안 된다? | 관행을 깨야 하나, 따라야 하나? | 세 가지 오류 10 조영남 작가에게 권고함_ 내가 이 사안에 끼어든 세 가지 이유 조수가 창작자다? | 피블로프의 개 | 작가와 조수의 관계 | 슈뢰딩거의 대작 | 발상과 실행의 분리 | 원작에서 복제로, 거기서 합성으로 | 개입해야 할 세 가지 이유 | 조영남에게 보내는 권고 | 예술의 고유한 관습 11 조영남은 개념미술가인가_ 미술평론가 임근준 등의 주장에 대한 반론 피상적인, 너무나 피상적인 | 백 투 더 프리모던 | 화수추방론 12 두 유형의 저자_ 저들이 개념미술의 개념을 ‘퇴행’시킨 이유 작품의 저자는 누구인가 | 작가의 손 | 저자의 두 유형 13 워홀의 신화_ 환상 속 워홀과 현실 속 워홀 핸드메이드-레디메이드 | 워홀의 신화 | 워홀의 시대는 끝났다? | 상품화 · 상사화 · 금융화 | 아우라와 탈아우라 14 예술의 신탁통치, 주리스토크라시_ 현대미술의 규칙을 검찰이 제정하려 드는 게 옳은가 주리스토크라시 | 빌라도와 대제사장 | 카프카의 재판 | 저작권법 위반 | 어떤 포스트모던 주 책 속에서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