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prologue 1장 ‘그만하면 괜찮다’는 마음을 꺼리고 있진 않은가? 평범하고 그만하면 괜찮은 삶이란 결코 만만치 않은 ‘평범함’에 관한 글쓰기 평범함은 미덕인가, 악덕인가 우리는 왜 중용을 기피하게 됐을까? 2장 쇼펜하우어의 말에 고개를 끄덕일지라도 젊을 때 끌리는 이야기 ‘그만하면 괜찮다’는 마음과 권태의 차이 3장 타인의 시선을 두려워하면 생기는 일들 우리가 자기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 성공했다고 해서 끝이 아니다 라이벌의 실패를 바란다면 타인의 인정에 집착할 때 4장 ‘그만하면 괜찮다’는 마음에 관한 탐구 비범한 평범함을 이야기하다 다름을 드러내기를 두려워하지 않기 타인에게는 낯선 세계가 있다 사소한 몸짓에 관심 기울이기 나에게 관대한 만큼 타인에게도 관대하기를 5장 눈에 띄지 않는 사람들을 바라보기 능력주의라는 폭군 특별함을 떠받쳐주는 평범함 평범한 것들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려면 높은 것과 낮은 것 6장 노동이 예술이 될 때 우리가 잘 모르는 노동의 가치 뛰어난 개인이 세상을 바꾼다는 말 세상에 하찮은 일은 없다 7장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하찮은가 육체노동자는 왜 덜 존중받는가 대수롭지 않은 삶에도 경의를 표할 것 8장 타인의 가치를 속단하지 않기 위한 공감적 상상력 사람을 성급하게 판단하지 않기 탁월함과 평범함 사이의 경계 허물기 9장 완벽에의 열망을 포기하는 것에 대하여 보통 사람들의 품위 대립하지 않고 더불어 생각하는 자세 10장 명예에는 이면이 있고, 성공에는 쓰라림이 있다 조지 엘리엇이 주목한 것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소소한 열망이 탁월함이 될 때 일상을 충만하게 산다는 것 성공에 대해 초연할 수 있는가 평범함과 비범함은 조화로울 수 있다 11장 구별 짓기를 거부한 프루스트, 체호프, 나이폴 프루스트의 천재들 평범한 사람을 바라보는 소설의 힘 아무도 알아주지 않더라도 평범함 속에서 특별함 찾기 12장 우리 각자에게 숨어 있는 비범함을 위하여 익명 뒤에 숨은 정체성 실패도 삶의 일부다 epilogue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