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책을 읽고서 “한 방 맞았다”는 느낌을 받았다. _길기연(서울관광재단 대표이사) 더 놀라운 것은, ‘아는 이야기’ 부분도 의외로 재미있다는 사실이었다. 이걸 이렇게 설명한다고? 내가 이 이야기를 처음 듣는다면 정말로 신기하게 생각했겠구나. 타인의 시선으로 나를 바라보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듯, 외국인의 시선으로 한국을 바라보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었을 텐데, 저자는 외국인에 빙의된 듯 이 어려운 일을 해냈다. 그것도 기가 막힌 유머와 함께. _김혼비(에세이스트) 에세이스트 김혼비 추천! 다 아는데 왜 재밌을까 싶은 대한민국 영어 설명서 한국의 빌 브라이슨, 〈YG와 JYP의 책걸상〉 책 팟캐스트 PD 및 진행자이자 박학다식하면서도 능청스러운 입담으로 장르를 자유자재로 횡단하는 이야기꾼, 의사 출신 저널리스트 박재영 작가의 신작 『K를 팝니다』가 출판사 난다에서 출간되었다. 코로나 시절 ‘여행준비’라는 색다른 접근으로 유쾌한 웃음을 주었던 『여행준비의 기술』 이후 4년 만에 펴내는 신작 여행 에세이다. 『K를 팝니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찐 한국인이 쓴 최초의 한국 여행 책으로 외국인들이 가장 신통하게 생각할 한국 이야기들을 20개의 챕터로 풀어냈다. 원고지 9백 매 분량의 한글 원고를 인공지능 딥엘(DeepL)과 챗GPT를 활용해 8만6천 단어의 영문 원고로 바꿔 한국어와 영어, 두 가지 언어를 한 권에 담았다. 박재영 작가는 처음 한글 원고를 쓸 때부터 영어 번역을 염두에 두며 작업했고, 딥엘이 바꿔준 영문을 다듬고(군만두를 military dumpling으로 번역하는 오류를 손보며) 챗GPT와 대화하면서 더 ‘그럴듯한’ 문장들로 바꾸어나가는 데 1년 가까운 공을 들였다. 이런 콘셉트의 책을 쓰겠다고 마음먹은 한국인은 지금까지 없었다. 이는 한국에서 최초로 시도된 작업이며 이 노하우를 바탕으로 박재영 작가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영어로 책 쓰기’를 주제로 강연과 책 출간을 준비하고 있다. K콘텐츠의 열풍과 함께 한국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지금, 한국을 더 알고 싶은 외국인에게, 그들에게 구글링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한국의 진면목을 소개하고 싶지만 영어 실력이 부족해 전달하기 어려운 분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K팝에 푹 빠진 팬들에게 꼭 추천하는 명소와 한국 여행 전에 보면 좋을 영화와 드라마 리스트, 매우 주관적인 서울의 최고 맛집과 핫플레이스만 참고해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찐 한국인이 알려주는 놀랍고도 신기한 K스토리 K를 팝니다(selling/digging) 꽤 영어 실력이 좋은 한국인들도 깻잎, 콩나물, 미역, 꼰대, 주량, 파도타기 등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까지 알기는 어렵다. 한국의 간장과 일본의 간장이 어떻게 다른지, 간장과 된장과 고추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왜 한국의 밤거리엔 빨간 십자가가 그렇게 많이 보이는지, 한국인에게 삼겹살과 치킨과 냉면과 김치와 소주가 어떤 의미인지, 한국 영화에 흔히 나오는 학원과 회식과 찜질방과 노래방은 어떤 곳인지, 왜 한국의 식당에는 테이블 아래에 수저통이 있고 호출 벨이 있으며 가위와 집게가 등장하는지 등을 ‘제대로’ 설명하는 것은 영어 회화에 능통한 사람들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우리는 우리 문화에 너무나 익숙해서, 무엇이 외국에도 흔히 있는 것이고 어떤 것들이 우리에게만 있는 독특함인지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_「한국인 독자들만을 위한 서문」 중에서 한국을 찾은 이들이 더 많은 것을 보고 더 많은 즐거움과 추억을 쌓을 수 있도록 K를 파는(selling/digging) 작가, 박재영은 두 개의 언어로 다양한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그렇다. 이 책에는 ‘정보’가 아니라 ‘이야기’, 놀랍고도 신기한 K스토리가 있다. 20여 개국을 여행했고, 미국에서 살아본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나라와 한국이 어떻게 다른지, 외국인들은 무엇을 궁금해하고 신기해하는지, 우리에겐 익숙해서 지나치는 것들이지만 외국인의 눈으로 바라보면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정보와 재미를 버무려 풀어낸다. 동시에 한국에 살고 있는 이들에게는 그러려니 했을 부분들에도 하나같이 흥미진진한 사연이 있었음을 쏠쏠한 읽는 재미와 함께 보여준다. 아는 이야기인데 이렇게 재미있다니! 하는 감탄을 끌어내는 기막힌 유머는 우리에게 “한 방 맞았다”는 통쾌함을 준다. 한국을 제대로 소개하는 영문 자료를 찾고 있던 이들의 갈증을 『K를 팝니다』가 시원하게 해결해줄 것이다. 서울, 잠들지 않는 도시 알고 보면 놀라운 한국의 역사 책을 읽는 동안 한국 독자들은 막연히 느끼고 있던 자신의 위치와 조건을 새롭게 감각하게 될 것이다. 남한의 면적은 약 10만 제곱킬로미터. 면적 기준으로는 전 세계에서 107위를 차지한다. 크지 않은 면적에 인구는 약 5천만 명이 산다. 1제곱킬로미터당 인구밀도는 5백 명이 조금 넘는다. 인구 천만 명이 넘는 나라들 중에서는 방글라데시에 이어 2위이며, OECD 국가들 중에서는 1위다. 수도 서울의 혼잡함은 상상을 초월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도시 중의 하나인 서울에는 약 6백 제곱킬로미터 면적에만 전체 인구의 20퍼센트인 천만 명이 살고 있다. 서울의 인구밀도는 무려 1만 6천 명이 넘는다. 서울 인구는 처음부터 그렇게 많지 않았다. 1942년에 처음 백만 명을 넘겼으나 1950년부터 3년간의 한국전쟁으로 도시는 무참히 파괴되었다. 한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들 중의 하나였던 1950년대까지는 서울 인구가 2백만 명을 밑돌다가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했다. 1인당 GDP는 1969년 2백 달러 돌파, 1973년에 4백 달러, 1977년에는 천 달러를 넘겼다. 1983년에는 2천 달러를, 4년 후인 1987년에는 3천 달러를 넘겼다. 개발도상국 중에서 처음으로 서울올림픽이 개최된 1988년 한국의 1인당 GDP는 4,755달러였다. 이것이 소위 ‘한강의 기적’이다. 그에 맞추어 1988년 서울 인구는 천만 명을 돌파했다. 한국전쟁이 끝난 폐허가 인구 천만의 거대 도시로 변하는 데 겨우 35년 걸린 것이다. 다른 나라가 백 년이나 2백 년에 걸쳐 경험했던 수많은 일을 한국은 몇십 년 동안 압축적으로 겪은 셈이다. 이런 것들은 한국이 세계에서 1등 오직 한국에만, 오직 한국인만 이미 알고 있었다고 생각한 사실들의 면면은 작가 박재영의 다층적이고 독특한 시선과 만나 새롭게 다가온다. 저널리스트로서 어려운 글을 쉽게 풀어내는 것이 직업인 그이기에, 또한 병원을 소재로 한 장편소설을 써서 드라마로 만들어지기도 했던 그이기에 명료하고도 술술 읽히는 문장이 장점이다. 그렇게 자유자재로 종횡무진하는 박재영의 글은 K라고 상징되는 국뽕과 헬조선 사이의 스펙트럼을 때로는 우스꽝스럽게 때로는 서늘하게 그려낸다. 그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한글을 읽지 못하는 한국인은 거의 없어 기본 문맹률은 제로에 가깝지만 사회생활에 필요한 실질 문해율은 전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인터넷 속도는 세계 평균보다 3~4배는 빠른 최고 수준이며 스마트폰 보급률은 95퍼센트에 달한다. e-스포츠 분야, 메모리 반도체 분야는 세계 1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의 점유율 7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만들어지는 선박 중 40퍼센트 이상이 한국에서 만들어지며 세계에서 가장 큰 제철소와 두번째로 큰 제철소가 모두 한국에 있다. 또한 한국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일한다. OECD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인은 1년에 평균 1,908시간 일한다. 한국은 세계 최고의 고령화 속도가 나타나는 나라이며 한국의 출산율은 전 세계에서 가장 낮다.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TFR)은 0.78에 불과하다(만성적인 저출산으로 고민하는 일본도 2022년 기준 1.26은 된다). 한국의 부동산에는 영화 〈기생충〉의 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