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와 열광

김종엽
418p
Where to buy
content
Rate
4.8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에밀 뒤르켐의 재해석을 통해 오늘날 현대성의 위기상황에 개입하려는 김종엽 교수의 역저. 현대성을 전면적으로 반성하고 현대성의 병리를 정치적 재구성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사회를 집합적 조울증으로부터 집합적 열광으로 이행시키려 한 노력으로서 뒤르켐 사회학을 해석한다. 진보에의 맹신을 비판하면서 최적운행의 이념을 제시하고, 민주적 충동에 헌신하는 열정적인 이론가로서의 뒤르켐과 그의 사회학이 진면목을 드러낸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자살`: 죽지 않기 위하여 1. 자살연구의 두사지 이유 2. 자살의 사회학화 3. '자살'의 문제점들 4. 현대성 비판으로서의 [자살] 정치적 현대성 비판 1. 정치적 현대성의 개요 2. 보수주의 비판 3. 사회주의 비판 4. 자유주의 비판 5.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반성적 전유 연대이론 1. 연대주의와 뒤르켐 2. 부정적 연대 3. 기계적 연대와 인간숭배 4. 미완의 유기적 연대이론 5. 신성의 배분과 새로운 권력분립 집합적 열광을 향하여 1. '종교'의 이론적,정치적 배경 2. 뒤르켐 잠복된 군중이론 3. 집합표상의 이론 4. 집합적 열광의 역사이론 5. 집합적 열광개념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