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제1장 이스라엘 건국과 아랍 민족의 대응 1. 이스라엘 국가 출현 시오니즘 대두/ 팔레스타인 주변 상황/ 영국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 종료/ 이스라엘 독립 선언 2. 아랍 민족주의 발생과 확장 중동에 공존하는 4대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발생/ 이스라엘 건국이 아랍에 미친 여파/ 아랍의 통합운동 3. 4차례의 중동 분쟁 제1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 제3차 중동 전쟁/ 4 제4차 중동 전쟁 제2장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팔레스타인 건국 1.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결성과 자살 폭탄 테러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파타(Fatah)/ 하마스(Hamas)/ 자살 폭탄 테러 2. 인티파다 제1차 인티파다/ 제2차 인티파다 3. 중동 평화 회담 마드리드 평화 회담/ 오슬로 협정/ 이스라엘-요르단 평화 협정/ 오슬로 협정Ⅱ/ 와이리버 협정/ 와이리버 협정Ⅱ 4.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 팔레스타인 국가 개괄/ 국가 수립 과정/ 국내 정치 제3장 중동의 새로운 질서 모색 1.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협정 각국의 입장/ 주요 합의 사항/ 아랍권의 반발/ 의의와 한계 2. 이란의 이슬람 혁명 발생 과정/ 이란 혁명의 특징/ 미국의 대응 3. 이란-이라크 전쟁 개전 요인/ 전쟁 양상 4. 걸프 협력회의 결성 5. 레바논 내전 제4장 9.11 테러와 미국의 대테러 전쟁 1. 제1차 걸프 전쟁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제1차 걸프 전쟁 - 미국의 이라크 응징 2. 9.11 뉴욕 테러 알 카에다에 의한 항공기 자폭 테러/ 빈 라덴과 미국의 대결/ 알 카에다의 실체 3. 미국의 대테러 전쟁 아프가니스탄 침공/ 오사마 빈 라덴 사살 4. 제2차 걸프 전쟁 이라크 점령과 사담 후세인 처형/ 미 군정 체제 시행 제5장 재스민 혁명과 민주화 열풍 1. 중동 민주화 운동 개관 상황/ 발생 배경/ 촉진 요인 2. 중동 민주주의 실현의 한계 3. 국가별 민주화 진전 동향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예멘 4. 시리아 사태 시위 촉발 배경/ 정세 변화 추이/ 반군의 세력 구도/ 시리아 사태의 특성/ 국제사회의 대처에 한계 노정/ 중동 역학 관계의 변화/ 미국의 입장 제6장 중동 테러리즘의 변천사 1. 중동 테러의 역사적 조망 테러리즘의 정의/ 테러리즘 발생의 역사 2. 중동 테러리즘의 환경적 분류 종교 테러리즘/ 국가 테러리즘/ 반체제 테러리즘/ 국제 테러리즘 3. 뉴테러리즘 시대 테러 전사들의 국제화/ 알 카에다 테러리즘/ 이슬람 국가(IS) 테러리즘 등장 제7장 이슬람 국가 출현 1. IS의 발호 IS 출현/ 서방 인질 참수/ 요르단 조종사 화형/ IS 세포조직 유럽 발호/ 러시아 민항기 폭파/ 주변 지역으로 세력 확산/ 서방 지하디스트 모집/ 국제사회의 IS 퇴치 계획 및 전황 2. IS 등장의 배경 발생/ IS 발생의 환경적 요인 3. IS의 실체 국가 차원의 위계 조직/ 칼리파 국가 건설 목표/ 이슬람 근본주의 신봉/ 영토 무력 점령/ 자금 조달 능력 보유/ 이슬람 전선의 개별 네트워크 확대/ 뉴미디어에 의한 선전 선동 전술/ 온라인 영문 홍보지 운영/ 군사 능력/ 교육 및 훈련/ 만행 사례 4. IS 등장의 국제 정치적 의미와 전망 미국의 대응/ 중동 역내외 역학 관계의 변화/ 이슬람 테러리즘 양상의 변화 5. 한국의 대테러 입장 이슬람 테러리즘과 한국인 피해/ 우리의 고려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