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기본적인 타이포그래피 안내서 이 책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은 얀 치홀트가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를 저술한 1928년 이후 나치의 탄압으로 독일에서 스위스로 이주한 뒤 1935년에 쓴 이론서이다. 다소 과격하고, 교조적인 자세의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는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를 둘러싼 여러 유의미한 논쟁을 촉발시켰다. 이 책에서 얀 치홀트는 이전에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에서 주장한 가운데 맞춤 조판, 장식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한층 더 완숙하게 발전시켰다. 그 과정에서 그는 활자, 낱말, 글줄, 단락 등의 운용, 종이의 규격, 표와 줄, 색 등 마이크로 타이포그래피에서 매크로 타이포그래피를 비롯해 타이포그래피 주변까지 현대인의 눈으로 스스로 의문을 제기하고 스스로 그에 답했다. 또한, 당시 그가 주장한 새로운 책에 생각은 오늘날 책을 만드는 이를 비롯해 책을 읽는 이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 ‘노랑 책’의 부활, 국내에 번역된 얀 치홀트의 유일한 저술 얀 치홀트가 한국에 정식으로 소개된 것은 1990년 출간된 『타이포그라픽 디자인』을 통해서였다. 그전까지 얀 치홀트는 타이포그래피 관련 도서에 인용으로만 존재했다. 그 책은 표지의 노랑 바탕 덕에 ‘노랑 책’이라 불리며 그래픽 디자이너와 편집자 등 출판 전문가 사이에서 타이포그래피 교본으로 꾸준히 읽히며 ‘조용한 전설’의 역할을 해왔다. 이 책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은 2006년 『타이포그라픽 디자인』의 개정판이 출간되고, 그 개정판마저 절판된 이후, 여러 책에서 인용과 주석으로만 존재해온 얀 치홀트의 목소리를 스위스 바젤디자인예술대학교의 타이포그래피 전문가 안진수의 독일어 원전 번역으로, 생생하게 다시 만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내가 아끼는 책, ‘ag 클래식’의 세 번째 책 이 책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은 영국의 건축가이자 건축 이론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영원의 건축』, ‘장식은 범죄’라고 말한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아돌프 로스의 가장 중요한 글을 한데 모은 『아돌프 로스의 건축예술』 이후 출간된 ‘ag 클래식’의 세 번째 책이다. 이후 출간될 책으로는 영국의 타이포그래퍼 에릭 길의 『타이포그래피 에세이』, 얀 치홀트의 『책의 형식』 등이 있다. 안그라픽스는 과거 ‘내가 아끼는 책들’ 시리즈의 정신을 이어 차분한 자세로 시각 문화 고전을 발굴해 ‘ag 클래식’의 이름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편집자 노트 독일어 원전에 충실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의 초판과 개정판이 국내에 출간된 뒤 얀 치홀트와 관련된 책이 여럿 출간되었고, 그 가운데 눈에 띄는 성과가 적지 않다. 따라서 1990년대 초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초판과 개정판에 수록한 일본의 그래픽 디자이너 하라 히로무의 해설, 얀 치홀트 연보 등의 부록을 이 책에서는 걷어내고 내용의 측면에서 독일어 원전 자체에 충실하고자 했다. 옮긴이 주와 판형 그럼에도 독일어 원전을 아무런 장치 없이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은 당시 인쇄업계 상황과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에게 다소 불친절하게 느껴질 공산이 컸다. 이를 해결할 장치는 옮긴이 주였고, 자연스럽게 그 내용과 개수가 늘어났다. 옮긴이 주는 한 지면에서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이 독서 동선 등 여러 이유로 효과적이라 판단했다. 본문과 옮긴이 주를 한 지면에 효과적으로 담기 위해 결과적으로 지금과 같은 판형을 택했고, 그 비례로는 얀 치홀트가 제안한 비례를 따랐다. 얀 치홀트? 얀 치횰트? 독일어권에서 Jan Tschichold는 ‘얀 치횰트’에 가깝게 발음된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얀 치홀트’로 표기했다. 그래픽 디자이너뿐 아니라 이 책의 초판과 개정판이 절판된 뒤에도 일부 학교에서는 수업 교재로 채택된 웃지 못 할 일이 있었다. 그 학교들에서는 이 책의 복사본이 돌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출간된 지 20여 년이 지난 책이 여전히 학교에서 끊임없이 읽히고 있다는 점은 타이포그래피 고전으로서의 이 책을 실감하게 했다. 한편, 작업자는 문학을 전공했음에도 학생 시절 문학 작품 외에 읽은 책 가운데 이 책의 초판을 손에 꼽는다. 철저하게 실용적인 타이포그래피 안내서지만, 문학 밖의, 또 다른 차원의 상상력을 제공했다. 이 책은 그래픽 디자이너뿐 아니라 작가, 기획자, 편집자 등 문단과 문장을 오가는 가운데 글과 글자를 아끼고 증오하는, 날카로운 눈매를 지닌 이들에게도 권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