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추천사 역자 서문 저자 서문 한국 독자를 위한 저자 서문 1부 문제는 중국이야! 제1장 1949년의 트루먼의 쐐기전략 - 중국과 소련을 이간시키기 위한 트루먼의 노력 - 소련의 핵실험 성공 : 미국의 대중정책 곤란 초래 - 무산된 미국의 대중 전략 - 트루먼의 쐐기전략을 무력화시킨 중소동맹 제2장 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잠정 타협? - 기존 중소조약 고수를 주장한 스탈린 - 류사오치의 모스크바 방문 - 마오쩌둥의 모스크바 방문 - 스탈린의 김일성 남침 지원 결심 제3장 중국을 겨냥한 트루먼의 구애(求愛) - 미국의 대중(對中) 제안 - 대중(對中) 카드를 내보인 미국 - 미중협정 체결을 겨냥한 미국의 처절한 노력 - 에치슨 연설 : 중국에 미중협상 종용/소련에 남침 종용 목적? - 물거품처럼 사라진 미중협상 전망 2부 마오쩌둥의 선택과 결과 제4장 미국과 소련 가운데 소령을 먼저 선택한 마오쩌둥 - 한반도전쟁 대비 국제환경을 정비한 스탈린 - 한반도전쟁 대비 북한을 준비시킨 스탈린 - 기존 중소조약 파기를 주장한 스탈린 - 한반도전쟁 대비한 새로운 중소조약 제5장 대만 침공과 남침을 놓고 경쟁한 마오쩌둥과 스탈린 - 북한군의 남침을 도모한 스탈린 - 북한군의 남침에 반대한 마오쩌둥 - 6.25전쟁 참전과 대만 정복 문제를 놓고 고심한 마오쩌둥 제6장 트루먼의 딜레마와 세계전략 변경 결심 - 아태지역에서의 봉쇄전략 적용과 한반도 - 미국 : 북한군 남침계획 사전에 알고 있었는가? - 냉전 승리를 염두에 둔 미국의 새로운 세계전략 - 공산세력과의 대결에 박차를 가한 미국 - 미국의 세계전략 변화와 일본 - 미국의 세계전략 변화와 대만 제7장 미국의 봉쇄전략과 한반도 - 미국의 세계전략과 한반도정책 - 한국이란 어린 염소의 행동을 구속한 미국 - 무초 대사와 로버츠의 한국지원 간청을 거부한 미국 - 무초 대사를 기만한 트루먼 행정부 - 북한군 위협을 간과한 미국 - 미국의 북한군 남침 대비 노력 3부 6.25전쟁 : 놀라움의 연속 제8장 6.25전쟁 첫 주 상황 - 북한군의 초기 공격 : 첫 번째 놀라움 - 6.25전쟁 관련 1차 백악관 회의 - 6.25전쟁 관련 2차 백악관 회의 - 지상군 투입을 준비한 트루먼 - 한강 방어인가? 낙동강 방어인가? 제9장 목표는 같았지만 방책이 달랐던 스탈린과 트루먼 - 남침 실패를 겨냥한 스탈린의 북한군 남침계획 - 남침 실패를 겨냥한 스탈린의 북한군 남진계획 - 미국의 세계전략 구현을 염두에 둔 한반도전쟁 계획 제10장 중국의 국익을 철저히 추구한 마오쩌둥 - 마오쩌둥의 주요 오판 : 중소동맹과 미중관계 병행 추구 - 전쟁 초반부터 중공군의 참전을 촉구한 스탈린 - 중공군의 조기 참전을 막기 위한 미국의 노력 - 중공군의 조기 참전을 거부한 마오쩌둥 - 6.25전쟁의 조기 타결을 거부한 트루먼과 스탈린 - 6.25전쟁의 외교적 타결 가능성을 타진한 중국 4부 6.25전쟁과 새로운 세계질서 제11장 미국의 대중정책 변화 : 참전 억제에서 종용으로 - 인천상륙작전을 수수방관한 중국과 소련 - 인천상륙작전 직전 미국의 중공군 참전 저지 노력 - 6.25전쟁 목표 관련 미국 내부의 논쟁 - 남북통일을 촉구한 미 국방성 - 미국의 전쟁목표에 영향을 미친 우방국들 - 미군과 중공군의 격돌 여건을 조성한 트루먼 - 미군과 중공군의 격돌 여건을 조성한 스탈린 제12장 마오쩌둥의 6.25전쟁 참전 결심 - 중공군 참전을 종용하기 위한 트루먼의 방안 - 중공군 참전을 독려한 스탈린 - 맥아더의 원산 책략 : 중공군 참전 대비 - 중공군 참전 조건 관련 스탈린과 마오쩌둥의 협상 - 중공군 참전 조건 관련 치킨게임에서 승리한 스탈린 제13장 트루먼과 새로운 세계 질서 - 6.25전쟁 : 미국의 '정보 실패' 사례? - 트루먼 : 전쟁 책임을 맥아더와 공유? - 웨이크섬 회동 : 트루먼의 압록강 진격 책임 전가 노력 - 중공군의 저항에 직면한 유엔군의 압록강 진격 - 그럼에도 압록강 진격을 종용한 트루먼 - 우방국들의 반대에도 압록강 진격을 종용한 트루먼 결론 : 누가 6.25전쟁의 진정한 승자인가?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