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겨울로 왔고 너는 여름에 있었다

임승유 · Poem
136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173)
Rate
3.4
Average Rating
(173)
문학과지성 시인선 547권. 첫 시집 이후 김준성문학상과 현대문학상을 연달아 거머쥐었던 시인 임승유의 새 시집이 출간됐다. 임승유는 일상에 밀착된 언어들을 활용해 알 것 같으면서도 확실히 이해할 수는 없는 낯선 상황들을 만드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특히 이번 시집에서는 한 가지 기준만을 가진 이 세계의 정형성을 두고 “맘에 안 들어”(「대식 씨」)라고 대번에 내뱉어버리고야 마는 화자의 돌출된 목소리가 인상적이다. 따라가야 할 하나의 길을 잃어버린 화자에게 세계는 묻는다. “그럴 거면 뭐 하러 여기 있는 거야”(「생활 윤리」). 여러 갈래의 삶이 쉽사리 허락되지 않는 곳에서, 임승유는 그럼에도 여기 있기 위해서 시를 쓴다고 답한다. 임승유의 시들은 여기 있기 위해, 스물아홉 개의 의자만 있는 곳에 서른번째 의자를 갖고 오고야 마는 의지로 씌어진 성실한 답변이다.
Rating Graph
Avg3.4(173)

Author/Translator

Comment

20+

Table of Contents

1부 문법 /지역감정 /휴일 /유원지 /차례 /화단 만드는 방법 /주인 /야유회 /공원에 많은 긴 형태의 의자 /아름답고 화창한 날 /연애 /상자 2부 어느 날 오후 /새 /면적 /결혼식 /설명회 /식당 /반창고 /장소 /중앙교육연수원 /직원 /자본주의 /날씨 3부 흔적 /상근이 /홍성 /한국식 낮잠 /대식 씨 /사실 /경찰서 /근무 /여기 /시민 4부 미래의 사람 /오렌지와 잠 /중학교 /피아노 /모텔 /변명 /생활 윤리 /어두운 구석 /단체 사진 /굳게 먹은 마음 /민주주의 /과거 5부 얼마 지나지 않아 /점프슈트를 입고 걸어 다녀 /그 정도의 양말 /물을 가득 담은 유리그릇 /영화나 한 편 보자고 해서 /그림 같은 아름다움 /언니가 봤을 수도 있는 풍경 /소설가 /정아네 집 /산책 /히아신스로 인해 /길고 긴 낮과 밤 /붉은 벽돌로 지은 단층 건물 / 해설 이행하는 말들과 지속적인 삶?김태선

Description

“내일의 조합을 생각하면 막 웃음이 나와” 일상의 조합으로 만들어낸 가장 낯선 내일 첫 시집 이후 김준성문학상과 현대문학상을 연달아 거머쥐었던 시인 임승유의 새 시집 『나는 겨울로 왔고 너는 여름에 있었다』가 출간됐다. 시인은 2011년 등단한 이래 첫번째 시집 『아이를 낳았지 나 갖고는 부족할까 봐』(문학과지성사, 2015)로 2016년 김준성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이번 시집에는 「휴일」 외 7편의 현대문학상 수상작이 수록되었다. 임승유는 일상에 밀착된 언어들을 활용해 알 것 같으면서도 확실히 이해할 수는 없는 낯선 상황들을 만드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특히 이번 시집에서는 한 가지 기준만을 가진 이 세계의 정형성을 두고 “맘에 안 들어”(「대식 씨」)라고 대번에 내뱉어버리고야 마는 화자의 돌출된 목소리가 인상적이다. 따라가야 할 하나의 길을 잃어버린 화자에게 세계는 묻는다. “그럴 거면 뭐 하러 여기 있는 거야”(「생활 윤리」). 여러 갈래의 삶이 쉽사리 허락되지 않는 곳에서, 임승유는 그럼에도 여기 있기 위해서 시를 쓴다고 답한다. 임승유의 시들은 여기 있기 위해, 스물아홉 개의 의자만 있는 곳에 서른번째 의자를 갖고 오고야 마는 의지로 씌어진 성실한 답변이다. 세계는 현실의 틈을 벌려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을 받아 든 주인공은 ‘젠장 역시 상관하지 말 걸 그랬어’ 후회하면서도 ‘하지만, 하지만’ 그러면서 개입하고 마는 것이다. [……] 때로 문장은 누군가에게 상처가 될 수도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장을 멈추지 못하는 건 그것이 질문에 답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속한 세계에서 위화감을 느끼는 사람은 쓰는 사람이 된다. 그러므로 쓴다는 것은 위험에 처하게 될지도 모르면서 ‘하지만, 하지만’ 중얼거리는 행위에 다름 아니다. ―임승유 산문, 「운동장을 돌다가 그래도 남으면 교실」(『문학들』 2019년 봄호) 이정표를 따라가지 않는 이들에게 따라오는 무수한 질문 한 사람을 따라갈 때는 어디 가는지 몰라도 됐는데 한 사람을 잃어버리고부터는 생각해야 했다. 이게 이마를 짚고 핑그르르 도는 사과의 일이더라도 사람을 잃어버리고 돌아가면 사람들은 물어올 것이고 중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설명할 수 없는 나는 아직 돌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야유회」 부분 무슨 일인가가 일어났다. 임승유의 화자들은 “무슨 일이 있는지 알아보느라”(「어느 날 오후」) 아무 일도 못 할 정도이지만 계속해서 사건을 하나의 일로 정의하는 데 실패한다. 실패하는 이유는 화자가 사건을 명료한 의미로 축소하지 않고 “어떤 의미가 되기 이전의 상태, 그것이 무엇인지는 알 수는 없지만 어떤 기분이 되려 하는 그 지점”(김태선)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한 사람을 따라갈 때는” 자연스레 그 사람을 따라가게 된다. 이끄는 대로 가면 원하는 곳이 나오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득 눈앞에 한 사람을 놓쳐버렸을 때, 내가 가야 할 방향을 알 수 없다면? 바로 그 순간부터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진다. “술병에서는 술냄새가 나고” “헛간에서는 헛간 냄새가”(「대식 씨」) 나는 명확하고 단일한 의미의 세계를 벗어난 화자는 이 세계에서 길을 잃은 자이자, 단단하게 뭉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세계의 틈을 발견한 자이다. 그리고 ‘한 사람’로 대변되는 단일한 세계에서 주어진 방향을 잃어버린 이들은 곧장 새로운 사태를 마주해야 한다. “중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무슨 일이 있었기에 앞서가던 사람을 잃어버렸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해야만 하는 것이다. 자신의 방식으로 이 세계에 남기 위한 의지의 응답 의자가 스물아홉 개라서 서른번째 나는 의자를 갖고 오는 사람이 되기로 했지. 뭐든 되기로 하면 되는 거지. 의자에 앉아서 생각하다가 의자에 앉아 생각하는 사람이 되었다. 너는 여기에 없는 사람처럼 구는구나 그럴 거면 뭐 하러 여기 있는 거야 이런 말을 듣고 나면 손을 쓸 수 없다. ―「생활 윤리」 부분 화자가 이 세계로부터 받게 되는 질문은 구체적으로 이런 형태일 것이다. “너는 여기에 없는 사람처럼 구는구나 그럴 거면 뭐 하러 여기 있는 거야” 하나의 의미로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방향으로 갈지 모르는 미완의 자리를 발견한 이에게 ‘뭐 하러 여기 있는 거냐’는 질문이 주어진다. 그리고 시인은 말한다. “나는 여기 있으려고 그랬던 거다”라고. 준비된 의자는 “스물아홉 개”뿐이지만, 화자는 “의자를 갖고 오는 사람”이 되기를 기꺼이 자처한다. 단일한 세계에 속하기를 강요하는 질문들 앞에서 스물아홉 개의 준비된 의자에 어떻게든 앉으려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의자를 하나 더 준비하는 사람, 그래서 세계에 자리 잡은 다른 이들 옆에 앉으려는 사람으로서 ‘여기’에 남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여름에 쌓아 올린 과일 바구니가 겨울로 쏟아져 경사면이 생겼다 [……] 나는 겨울로 왔고 너는 여름에 있었다 ―「지역감정」 부분 경사면을 세우고 여름으로 표상되는 과거를 겨울로 쏟아낸다. 이것은 과거를 재현하는 것이나 회상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바구니 안으로 서로 다른 시간에 속한 다른 것들을 한데 몰아넣는 것에 가깝다. 과거에 일어난 일이 과거에 머무르게만 하지 않고, 현재에 속한 일이 현재에만 귀속되지 않도록 시공간상의 위계를 지우는 일은, 앞서 시인이 새로운 의자를 가져왔던 행위처럼, 단일하게 지속되는 이 세계의 시간에 등장할 상상치 못한 열린 미래를 기대케 한다. 시인은 ‘여기에 없는 사람처럼’ 존재하며 차별과 배제로 이뤄진 세계에서 계속 존재하기 위해 글을 쓴다. “시인은 계속해서 시를 쓰는 일과 함께 갈 수 있는 데까지 가보려 한다.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보려 한다”(김태선).

Collections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