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의자와 붓다의 방석

352p
Where to buy
content
Rate
3.8
Average Rating
(2)

미국 최고의 정신분석학자와 불교학자 8명이 각자의 방식으로 정신분석과 불교심리학의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정신분석과 불교심리학은 많은 태생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마음의 고통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킨다’는 하나의 목표를 지향한다. 이 책은 동양과 서양을 관통하는 최고의 심리학적 논의와 지식을 담아 두 영역이 서로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논리적으로 풀어낸다. 프로이트와 붓다로 대표되는 정신분석학과 불교심리학은 종교와 학문의 영역을 넘어 마음의 문제와 고통에 관해 실제적이고 공통된 해답을 준다. 자유연상, 무의식, 전이, 꿈의 해석 등 정신분석 개념과 덧없음, 무아, 명상 같은 불교 심리학 개념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이 책은 두 영역의 예기치 못한 연대와 인간을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강력한 심리학 도구의 접점을 보여줄 것이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이 책에 대하여 서문_ 제러미 사프란 감수의 글_ 윤희조 추천의 글_ 이창재 도입 무의식과 마음을 들여다보는 두 가지 방식 _액설 호퍼 불교와 정신분석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마음의 비밀에 대하여 명상과 정신분석의 공통분모: 집중 1부 프로이트의 의자: 정신분석은 왜 필요한가? 1장 정신분석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들 _니나 사벨-록클린 정신분석은 심리치료와 다르다 정신분석이 활용하는 다양한 기법들 모든 것은 과거로부터 오는가? 모든 것의 원인은 어머니일까? 그냥 약만 처방해주면 안 되나요? 소파는 왜 갖다 놨죠? 2장 불교의 심리학, 알아차림이 전부는 아니다 _델리아 코스트너 정신분석과 불교는 얼마나 맞닿아있는가? 붓다가 남긴 핵심 가르침 불교수행의 3단계: 삼학 진정한 알아차림을 향하여 2부 붓다의 방석: 불교심리학의 벽을 넘다 3장 정신분석과 불교의 참 모습 _니나 콜타트 4장 불교는 과정의 심리학이다 _앤드루 올렌즈키 마음의 다섯 요소(오온)에 대하여 5장 붓다와 위니콧 _ 마크 엡스타인 6장 마크 엡스타인의 “붓다와 위니콧”에 관한 고찰 _액설 호퍼 7장 정신분석과 불교는 어떻게 고통의 문제를 다루는가? _ 세라 웨버 주의를 기울이면서 놓는다는 것 어느 노인의 이야기 8장 정신분석과 불교, 두 영역에서 공존한 삶 _제럴드 포걸 1부: 정신분석과 불교, 공통의 언어를 찾아서 2부: 영적 수행의 기록 3부: 정신분석 이론을 새롭게 결합하다 글을 마치며 3부 프로이트의 의자와 붓다의 방석: 정신분석과 불교의 연대 9장 정신분석과 불교는 어떻게 서로를 풍요롭게 하는가? _액설 호퍼 이 책에 참여한 저자들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Description

프로이트의 의자와 붓다의 방석, 동서양 최고의 심리학 이야기 이 책은 미국 최고의 정신분석학자와 불교학자 8명이 각자의 방식으로 정신분석과 불교심리학의 접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정신분석과 불교심리학은 많은 태생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마음의 고통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킨다’는 하나의 목표를 지향한다. 이 책은 동양과 서양을 관통하는 최고의 심리학적 논의와 지식을 담아 두 영역이 서로에게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논리적으로 풀어낸다. 프로이트와 붓다로 대표되는 정신분석학과 불교심리학은 종교와 학문의 영역을 넘어 마음의 문제와 고통에 관해 실제적이고 공통된 해답을 준다. 자유연상, 무의식, 전이, 꿈의 해석 등 정신분석 개념과 덧없음, 무아, 명상 같은 불교 심리학 개념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이 책은 두 영역의 예기치 못한 연대와 인간을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강력한 심리학 도구의 접점을 보여줄 것이다. 저자들은 불교와 정신분석에 대한 자신들의 폭넓은 경험, 생각, 느낌들을 서술함으로써 독자들이 두 분야의 핵심적인 특징들을 세밀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 책의 저자들이 반복해서 언급하는 주제 가운데 하나로 특히 웨버의 글에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 것은 불교가 ‘직접 경험’을 강조하는 반면, 정신분석은 ‘이해’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정신분석이 점점 느낌과 경험에 눈을 돌리게 되면서 우리는 정신분석이 여전히 배울 것이 많다는 것을 새삼 분명히 깨닫는다. 불교 역시 명상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갖는 복잡성, 특히 그 안에서 두 사람이 주고받는 전이, 경계의 파괴 등 배울 점이 많다.” (29쪽) 미국 최고의 정신분석가들은 왜 명상을 시작했나? 미국의 정신분석학자들은 왜 명상, 불교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됐을까? 사실 서구에 명상 붐이 인 것은 꽤 오래전부터다. 명상은 이제 정신건강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두 영역은 마음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같은 길을 걷고 있다. 마음의 문제를 들여다보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다보면 자연스레 마음을 알아차리게 되고 집착이 얼마나 큰 장애를 일으키는지를 깨닫게 된다. 불교 또한 정신분석의 강력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정신분석과 불교의 원리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맞닿아있다. 이 책은 아홉 챕터로 되어 있다. 도입부에서는 정신분석과 불교의 기본 원리를 소개하면서 정신분석과 불교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들을 비교, 대조한다. 1부는 정신분석의 정의부터 기법, 정신분석에 대한 오해들까지 정신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얼개와 구조를 보여준다. 그리고 알아차림으로만 획일화되어 있는 불교심리학의 숨은 의미와 가르침들을 면밀하게 탐구한다. 2부에서는 정신분석과 불교의 실제, 과정의 심리학으로서의 불교, 붓다와 위니콧의 접점을 다루고 마지막 3부에서는 “정신분석과 불교는 어떻게 서로를 풍요롭게 하는가”라는 제목으로 불교와 정신분석에서 가장 첨예한 논쟁거리들을 짚어보면서 두 분야가 계속해서 서로를 탐구함으로써 찾을 수 있는 인간 고통의 궁극적 해법을 제시한다. 저자들은 동과 서, 정신분석과 인본주의 철학으로 양분되는 그릇된 장벽에 의문을 던진다. 또한 정신과 심리에 관한 동서양을 관통하는 통찰을 통해 인간 존재의 중심에서 고동치는 고뇌에 대한 깨우침을 명쾌하게 정리한다. “정신분석과 불교는 모두 일상의 고난이라는 입구를 통해 고통의 소멸로 나아가려 한다. 두 가지 모두 고통의 중심에 있는 비밀의 영역에 발을 들여놓으라고 요구한다. 정신분석은 불교에게 다차원의 로드맵을 보여준다. 이 로드맵은 아픈 마음의 고민거리들, 마음의 방어적 생각과 느낌들, 그 관계의 맥락과 반복되는 패턴들을 보여준다. 또, 고장 난 마음의 도면을 보여준다. 임상 현장에서 정신분석은 중립적 입장을 옹호한다. 어떤 자아상태(self-states)에도 들어가지 않고, 그들 사이의 ‘공간에서’ 자신의 고통을 바라보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불교는 불교명상으로부터 가장 효과적으로 집중하고 현상을 깊이 있게 관찰할 수 있는, 어쩌면 정신분석이 인식하는 것보다 현상을 더 넓게 바라볼 수 있도록 고도의 훈련방식을 전수받을 수 있다. 불교는 또 철학적 입장을 제시하기도 한다.” (217-218쪽) 프로이트와 붓다는 어떻게 서로를 풍요롭게 하는가? 불교와 정신분석 간의 대화는 이전보다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다. 그리고 이 대화는 박제된 이론에 머물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통섭하고 직접적으로 경험하면서 실제적이고 뜨거운 쟁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프로이트의 의자와 붓다의 방석』은 이러한 통섭에 중심축이 될 만한 핵심적인 내용과 논쟁거리들을 담고 있다. “불교에서 어떤 정서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그 정서가 건전함에서 불건전함까지를 표시한 막대 위 어디쯤 위치하는지를 가늠함으로써 그 정서를 이해한다. 이것은 윤리를 재는 잣대 위 어디쯤 위치하는지를 표시하는 것과 같다. ‘옳고’ ‘그름’의 기준에 의거한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다. 어떤 정서는 이로운 효과가 있어서, 괴로움으로부터 우리를 멀리 이끌고, 사물을 밝게 보게 하는 반면 어떤 정서는 그 반대의 효과가 있다. 반면, 정신분석의 목표는 무의식과 무의식의 영향을 정서적으로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고통의 경감은 정신분석을 통해 자신을 통찰함으로써 가능하다. 정신분석은 정서나 느낌보다 마음의 지적인 면에 치중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불교는 이해가 아니라 경험에 더 집중한다. 특히 다른 개인, 다른 공동체 또는 다른 세계와 공유하는 경험이 중요하다.” (306-307쪽) 이 책은 정신분석과 불교심리학의 교차점과 갈림길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나침반과 같다. 그리고 단순히 정신분석과 불교의 방법론만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분석과 변화를 추구한다. 이 책은 현재 진행 중인 정신분석과 불교 사이의 대화를 풍요롭게 하고 의미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