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론?11 1. 문제의 제기 11 | 2. 라 로셸에서의 체류 14 | 3. 의사소통적 윤리모델 22 | 4. 방법론과 구성 38 1부 사르트르의 관점에서 본 폭력의 기원과 정의?43 1장_폭력의 기원에 대한 존재론적 관점?46 ‘신’이 되고자 하는 욕망?46 ‘백지 상태’로서의 인간 46 | ‘신’이 되고자 하는 실현 불가능한 욕망 47 타자, 존재의 제3영역?54 시선 54 | 타자의 상반된 지위 57 타자와의 구체적 관계들?66 제1태도와 사랑, 언어, 마조히즘 66 | 제2태도와 무관심, 성적 욕망, 사디즘, 증오 79 2장_폭력의 기원에 대한 인간학적 관점?100 욕구에서 폭력으로?100 욕구에서 실천으로 100 | 다수의 인간들과 희소성 108 실천적-타성태: 가공된 물질의 ‘반(反)실천적’ 특징?114 가공된 물질과 물질적 인간의 사회성 114 | 물질적 인간과 가공된 물질과의 관계 118 | ‘계급-존재’의 물질성 127 집렬체: 실천적-타성태의 일상성?133 버스 승객들의 예 133 | 직접적 군집과 간접적 군집 140 | 계급의 이중 지위 153 집렬체에서 융화집단으로?162 묵시록적 순간 162 | 이중의 매개 173 | 공포, 희망, 자유 및 폭력 179 융화집단에서 서약집단으로?185 서약 185 | 공포와 형제애 193 조직화된 집단과 제도화된 집단?200 서약집단에서 조직화된 집단으로 200 | 조직화된 집단에서 제도화된 집단으로 204 3장_폭력에 대한 사르트르의 정의?226 폭력에 대한 정의의 일반 문제?226 난점들 226 폭력의 기본 구성요소들?233 폭력의 일차적 의미 233 | 폭력의 네 가지 구성요소 234 폭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251 정의들 251 | 사르트르의 정의 258 2부 팡데모니움 또는 악의 소굴: 폭력이 난무하는 사르트르의 문학 세계?263 1장_타자에 대한 폭력?266 낙태 또는 생명 선택의 권리?266 낙태방지법 266 | 불발로 끝난 낙태 271 | 기존폭력에 대한 폭력 311 억압적인 아버지들?317 아버지의 상반된 지위 317 | 그 아버지의 그 자식(들) 322 | 제2의 아버지 421 시선에 의한 객체화와 절도?439 시선에 의한 객체화 439 | 절도 465 사디즘?476 빗나간 사디즘 476 | 성적 사디즘 483 | 불발로 끝난 사디즘 490 살인?517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살인 517 | 오레스테스의 살인 521 2장_자기에 대한 폭력?542 마조히즘?542 존재론적 힘의 불균형 542 | 마조히즘의 사례들 544 자살적 타살?567 공포와 동지애 567 | 소르비에의 강요된 자살 568 | 프랑수아의 죽음 573 | 자살적 타살의 또 다른 경우 588 3부 폭력에 대한 대안: 의사소통적 윤리모델로서의‘작가-독자’ 관계?599 쓰기 행위 또는 대항폭력?602 순수폭력에 대한 두 가지 대안 602 | 상호보완적 경쟁관계 606 작가와 독자의 공동 행진을 향하여?609 쓰기 행위의 동기 609 | 이중의 환원: ‘함-가짐’과 ‘가짐-있음’ 618 작가와 독자의 공동 행진?632 작가의 불가능한 구원 632 | 쓰기 행위와 읽기 행위의 결합 640 | 독자의 자유에 대한 호소로서의 쓰기 행위 651 결론?677 저자 후기?693 참고문헌?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