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 아닌 물살이 도감

김민선 and other · Essay/Humanities/Social Science
14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4(7)
0.5
3
5
Rate
3.4
Average Rating
(7)
Comment
More

생명에 대한 애도와 사랑으로 가득한 책 『물고기 아닌 물살이 도감』은 '물고기'라는 표현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나는 세태에 문제를 제기하며 바닷속 생명들의 죽음을 차근차근 기록해 나간다. 넙치, 고등어, 노랑가오리, 살오징어, 자주복, 뱀장어, 대게, 전복, 감성돔, 그리고 대하까지⋯. 이 책에서 전국 횟집과 수산시장, 어촌 축제, 아쿠아리움을 다니며 죽음의 현장을 기록한 김민선 작가와 생명에 대한 따뜻한 공명으로 그림을 그리는 김희라 작가는 '물에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뜻의 '물살이'라는 단어를 되뇌며 바닷속 생명들의 찬란하고 자유로운 모습을 찾아간다. 우리가 그들을 고기로 대하지 않고 생명 대 생명으로서 마주하는 순간, 우리의 관계는 어떻게 변할 수 있을까? 이 책은 그동안 동물권과 동물복지 담론에서도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물속 동물들에 관한 기록이자 전환을 향한 선언이다. ※ 이 도서는 "이다 생명문화 출판 콘텐츠 지원사업 2024"의 출판 창작 지원금으로 제작되었습니다.

Rating Graph
Avg 3.4(7)
0.5
3
5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_ 6 물살이 옆에 선 행인의 고백 _ 17 넙치 _ 26 고등어 _ 36 노랑가오리 _ 46 살오징어 _ 56 자주복 _ 66 뱀장어 _ 76 대게 _ 86 참전복 _ 96 감성돔 _ 106 대하 _ 116 물고기 아닌 물살이 선언 _ 127 이어지는 행인의 기록들 _ 134 감사의 말 _ 141

Description

물에서 난 고기, '물고기'? 우리는 언제부터 생명이 고기가 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 온 것일까? 횟집 앞 수조에서 숱하게 마주치지만 정작 이름이 무엇이고 바다에서는 어떻게 사는지 관심 가지는 이는 없다. 인터넷에 검색해 보아도 횟감이 되거나 낚시로 잡은 기념사진은 많지만 바다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사진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생명에 대한 애도와 사랑으로 가득한 책 『물고기 아닌 물살이 도감』은 '물고기'라는 표현에서 상징적으로 드러나는 세태에 문제를 제기하며 바닷속 생명들의 죽음을 차근차근 기록해 나간다. 넙치, 고등어, 노랑가오리, 살오징어, 자주복, 뱀장어, 대게, 전복, 감성돔, 그리고 대하까지⋯. 이 책에서 전국 횟집과 수산시장, 어촌 축제, 아쿠아리움을 다니며 죽음의 현장을 기록한 김민선 작가와 생명에 대한 따뜻한 공명으로 그림을 그리는 김희라 작가는 '물에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뜻의 '물살이'라는 단어를 되뇌며 바닷속 생명들의 찬란하고 자유로운 모습을 찾아간다. 우리가 그들을 고기로 대하지 않고 생명 대 생명으로서 마주하는 순간, 우리의 관계는 어떻게 변할 수 있을까? 이 책은 그동안 동물권과 동물복지 담론에서도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물속 동물들에 관한 기록이자 전환을 향한 선언이다. "식재료도, 전시물도, 어획량이나 수출량, 가격표의 대상도 아닌 그들의 삶 자체로 돌아가는 것. 그들의 죽음을 기억하고 한때 바닷속에서 살아 숨 쉬던 그들의 찬란한 생애를 아는 것에서 새롭게 쌓아가야만 했다." (들어가며 중에서) ※ 이 도서는 "이다 생명문화 출판 콘텐츠 지원사업 2024"의 출판 창작 지원금으로 제작되었습니다.

Collections

2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