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붉고 푸른 자연의 날빛으로 물들고 물결치는 삶의 기쁨 1965년 등단 이후 40여 년이 넘도록 지칠 줄 모르는 시 창조의 에너지를 과시하면서, 한국의 “재래적인 서정시의 전통을 혁신”하고 현대시에 새로운 호흡과 육체를 만들어내온 말 그대로 “한국 현대시가 이룬 가장 중요한 성취” 중 하나인 정현종 시인이 아홉번째 시집 <광휘의 속삭임>(문학과지성사, 2008)을 상자했다. 제1회 미당문학상 수상작을 표제로 한 시집 <견딜 수 없네>(2003) 이후 최근까지 발표해온 시 가운데 60편을 추려 묶은 것이다. 등단 초기, 전후의 허무주의적 포즈와 재래적인 서정시의 미학을 극복한 자리에서 출발했던 정현종의 시는, 오랫동안 시인의 상상적 꿈과 사물의 꿈의 긴장관계 속에서, 현실의 고통을 넘어설 수 있는 초월의 가능성을 탐구해왔다. 그의 시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고통’과 ‘축제,’ ‘무거움’과 ‘가벼움’ 같은 상반된 정서와 이미지들이 미학적으로 어우러지면서 분출되는 시적 상상력의 에너지와 역동적인 노래는 그의 시편 어디에서고 익숙한 풍경이 되었다. 이후 그의 시는 생명현상과의 내적인 교감, 자연의 경이로움, 생명의 우주적 황홀감 등을 노래하면서 보다 큰 생명의 세계로 시적 자장을 넓혀왔다. 주목할 것은, 그의 시 속에 등장하는 자연과 생명체가, 생명 존중이란 의식이 지향하는 관념적 공간 속에서가 아니라, “눈부신 관능을 보유한 탄력의 세계” 속에서 읽힌다는 데 있다. 꾸밈이 없는 맨몸, 그 헐벗음을 좋아하고, 늘 자연과 생명의 편에 서서 혹은 그 안에 들어가 흠씬 도취하고, 춤추듯 가벼운 걸음걸이로 노래하는 시인 정현종이 한국 현대시에 두른 그늘은, 단순히 시력 43년이란 세월의 더께에서 연원하는 것이 아니다. 평자와 독자들의 성급한 기념과 정리의 포즈를 무색하게 만드는 그의 존재감은, 생명력으로 충만한 시어, 창조적 위반을 산뜻하게 감행하는 말의 진연이 여전히 그의 시의 ‘오늘’이라는 데서 비롯한다. 때문에 정현종의 시들은 삶 자체의 근원을 탐색하려는 의욕과 열정으로, 때로는 지극한 찬탄으로 때로는 유머러스한 능청스러움으로 독자를 즐겁게 한다. 이번 시집 <광휘의 속삭임> 역시, 의식세계를 가득 채우고 있는 복잡한 의미의 거미줄을 걷어내고, 사물의 있음 그 자체, 움직임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시적 화자의 자세에 주목하게 된다. 시인은 이제 사물의 바깥에서 사물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복잡한 의미의 얼개를 부여하는 대신, 사물들과 한 몸으로 움직이는 시를 갈망한다. “파동이나 숨결로 시인에게 무언의 전언을 보내오는 사물들의 숨겨진 비의를 받아들이기 위해 자신의 몸 전체를 텅 비워”내고 있다는 평론가 박혜경의 지적대로, 정현종 시인은 사물에 의미를 들씌우려는 해석적 권위를 버리고, 사물의 천진한 유희자가 되어 사물들 속으로 잠입하고 있다. 시집 전편에 걸쳐 ‘파동, 물결, 날빛, 무한, 푸르른, 넘친다, 바람결, 샘솟는’ 등의 어휘가 자주 등장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마디로 시집 <광휘의 속삭임>은 “날빛의 무한파동을 꿈꾸는 시”들의 집합이다. 온몸의 힘을 풀고, 무언가를 움켜쥐고 있는 의식 너머의 무한, 그 파동치는 무의 율동으로 나아가는 정현종의 시는 그래서 가볍고 또한 간명한 형태를 지향하나, 그 곱씹어 읽는 맛은 깊고 그윽하기 그지없다. 정현종의 시에는 사물과 생명의 숨과 꿈이 들끓고 있다. 그것은 사물과의 우주적 교감에 대한 열망이며, 동시에 그것을 억압하는 현실에 대한 예리한 저항의 문맥을 함유한다. 그의 시는 사물과 생명의 탄력을 관념적인 명제로 응고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시 언어의 탄력으로 드러낸다. 그 언어는 현대세계의 상처받은 사물의 꿈을 되돌려주는 원초적인 에너지이며, 인간의 고통과 절망을 공중에 띄워 그것을 순수하게 살게 만드는 힘을 가진다. 그의 에로스적인 상상력은 인간과 물질과 생명이 서로에게 몸을 여는 우주적 황홀의 경지에 이르고 있다. _이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