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죽음만이 세상의 유일한 진실이다.” 폭력과 죽음 앞에 선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 「타임」 선정, 100대 영문소설 「뉴욕 타임스」 선정, 최근 25년간 출간된 최고의 미국소설 [글래디에이터], [델마와 루이스] 리들리 스콧 감독, 영화화 결정! 노벨문학상 시즌마다 주목받는 필립 로스, 토마스 핀천, 돈 드릴로와 함께 “미국 현대문학의 4대 작가”로 일컬어지는 코맥 매카시의 <핏빛 자오선>이 김시현의 번역으로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서부의 묵시록’으로도 불리는 <핏빛 자오선>은 매카시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묵시록적 세계관의 시원이자, 비평가들로부터 그의 소설 가운데 문체와 분위기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받고 있다. 1850년대 미국 서부 국경지대에서 빚어진 역사적 사건을 재구성한 이 작품은, 인간 내면에 숨겨진 잔혹함과 폭력성을 까발리고, 삶과 죽음, 도덕과 전쟁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서부 개척 신화에 철저히 가려진 미국 역사의 진실을 본격적으로 파헤치는 이 작품은 바로 매카시 문학의 기조가 된다. 국내 ‘매카시 열풍’을 이어갈 또 하나의 대표작 작가에게 본격적인 문학적 명성을 안겨준 화제작 한국 독자는 올해 코맥 매카시를 본격적으로 만났다. 연초, 코엔 형제의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원작자로 알려지면서 독특한 작품세계를 엿보였던 매카시는, 여름이 시작되면서 <로드>로 본격적인 열풍을 일으켰다. 성서에 비견되는 상징성과 묵직한 감동으로 평단과 독자를 뒤흔든 것이다. 가을에 접어들어서는 ‘국경 3부작’의 첫째 권 <모두 다 예쁜 말들>이 이러한 매카시 열풍을 이어갔다. 하지만 국내와 달리 전 세계적인 ‘매카시 열풍’은 매카시가 1985년에 발표한 <핏빛 자오선>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출간 당시 “<신곡>과 <일리아드>와 <백경>을 합쳐놓은 듯한…… 비범하고도 숨 막히는 걸작이다.”(존 밴빌) 또는 “폭력을 통한 거듭남을 다룬 미국의 고전. 매카시는 멜빌이나 포크너와 같은 거장과만 견줄 수 있으며, <핏빛 자오선>은 단연 걸작이다.”(마이클 허)와 같은 언론의 찬사를 받았다. 그중에서도 특히 “(<핏빛 자오선>은) 현존하는 미국 작가의 작품 중 가장 뛰어난 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는 해럴드 블룸의 평가가 뒷받침하듯, 매카시는 이 작품으로 본격적인 문학적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며, 그의 작품으로는 처음으로 평단뿐 아니라 대중들까지 매혹시켰다. 이 작품은 「타임」이 선정한 ‘100대 영문 소설’에 속하며, 「뉴욕 타임스」가 뽑은 최근 25년간 출간된 최고의 미국소설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리들리 스콧 감독이 차기작으로 선택한 영화의 원작소설로도 화제를 불러일으킨 바 있다. 이러한 화제작 <핏빛 자오선>으로 국내의 매카시 열풍은 다시 한 번 들끓어 올 한 해를 넘기고 새해를 맞게 될 것이다. 피로 얼룩진 인류 역사의 비극을 그린 “세기의 정전” 코맥 매카시의 초기 작품들은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한 고딕풍 소설들이다. 그런데 미국 서부 텍사스 주 엘패소로 이주한 후, 그의 작품 성향은 바뀌었다. <핏빛 자오선>을 시작으로 ‘국경 3부작’을 거쳐,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로드>에 이르기까지 이때부터 매카시의 작품은 모두 지독하게 스산한 미국 서부를 배경으로 폭력과 죽음 앞에 선 인간의 본성에 대해 파고든다. 그중에서 <핏빛 자오선>이야말로 매카시 문학의 시원에 해당하는 수작이다. <핏빛 자오선>에서 작가가 그려내는 피비린내 나는 살육과 폭력의 세계는 감히 인간의 상상을 초월한다. “산 자나 죽은 자나 가릴 것 없이 머리채를 움켜쥐고 두개골에 칼날을 박아 피투성이 머리 가죽을 하늘 높이 쳐들고”, “벌거벗은 몸을 조각조각 썰어 팔다리와 머리를 떼어 내”거나 “벌거벗은 아기 발꿈치를 차례로 쥐고 머리를 돌덩이로 짓이겨…… 아기의 정수리 숨구멍으로 시뻘건 구토물 같은 뇌수가 콸콸 쏟아”지게 하는 등 작품이 보여 주는 살육과 폭력은 “마치 1999년 코소보의 폭력에 대한 유엔 보고서와도 같다.” 놀라운 것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학살이 과장된 허구가 아니라, 1846년 미국 멕시코 전쟁이 끝난 뒤 벌어졌던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한 것이라는 점이다. 당시 영토 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났으나, 일부 미국의 불법 군대들은 전쟁에서 멕시코를 정복하지 못한 것에 분이 안 풀려 황무지를 몰려다니며 폭력을 휘둘렀다. 다른 일부 미국인 용병들은 멕시코 정부에 고용되어 아파치 머리 가죽을 벗겨 내어 현상금을 받았다. 그러나 용병들은 인종을 가리지 않고 머리 가죽을 벗겨 멕시코 정부의 돈을 뜯어 가곤 했다. 이렇게 두 무리의 무법 행위가 판을 치는 세계에서 주인공 소년이 합류했던 글랜턴 원정대도 실재했던 팀이고, 소설 속에서 악을 지배하는 인물인 홀든 판사는 물론 그린 목사, 화이트 대위도 사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이름들이다. 소설은 열네 살의 이름 없는 소년이 인디언이 도륙당하고 그 머리 가죽이 성황리에 팔리는 지옥 같은 세계로 들어가서 겪은 30여 년의 삶을 처연하게 그려내고 있다. 소설은 시종일관 소년의 시선을 따라 인간 내면에 숨겨진 잔혹함과 폭력성을 까발리고, 삶과 죽음, 선과 악, 도덕과 전쟁에 대해 진지한 성찰을 불러일으킨다. 소설 속 홀든 판사의 말을 빌리자면, 역사의 고비마다 전쟁이 도덕을 누르고 폭력이 이성을 마비시키고 인간 존재는 그 자체로 전쟁과 죽음을 위한 것이다. 하지만 동료들과 함께 아파치 머리 가죽을 벗겨 내던 소년은 불혹을 넘긴 나이에 이르러 홀든 판사에게 대적할 정도로 성숙하게 된다. 소년은 끝까지 홀든 판사가 지배하는 끝없는 암흑 속으로 편입되지는 않았던 것이다. 매카시는 이 작품을 통해 서부 개척의 신화는 결국 피로 얻어낸 백인들만의 승리였음을 보여 줌으로써, 스스로 숭고하다고 자부하는 미국인들의 역사를 처절하게 뒤엎어 버린다. 그리고 희미하나마 인류의 한 줄기 희망을 상징하던 주인공마저 작품 마지막 장면에서는 죽여 버림으로써, 세상의 본질은 결국 죽음과 악에 다름 아니고, 인류의 역사는 그렇게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영혼을 압도하는 매혹적인 문체와 분위기로 말하는 작가 한편 <핏빛 자오선>이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최악의 악몽 같은 세계를 현실감 있게 그려 냈을 뿐 아니라, “최면을 걸듯 리듬감 있는 초현실적인 문장들”로 대단히 시적으로 표현해 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문체의 절대적인 아름다움과 미묘함으로 널리 알려진 작품으로, 고어, 은어, 조어가 만들어 내는 시적이면서 미묘한 상징성을 통해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놓았기 때문에, 해설서까지 여럿 나와 있다. 거의 초현실에 가까운 듯 보이는 살육과 폭력의 세계는 때로는 쉼 없이 줄줄 이어지는 만연체로, 때로는 감정이 최대한 절제되고 강력한 건조체로 그려진다. 주로 피로 물든 사막의 풍경이나 살육의 묘사가 만연체이고, 인물들의 대화는 건조체이다. 그러나 이질적으로 보이는 두 문체는 ‘문장부호의 생략’이라는 매카시 특유의 스타일을 통해 잘 어우러지면서 특이한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문장부호 없는 대화들로 인해 마치 소설 전체가 한 내레이터의 독백 같은 느낌을 자아내고, 구체적인 서사가 없는 데다가 살육과 폭력이 자행되는 유사한 장면들이 계속 반복됨으로써 소설의 몽환적인 느낌과 묵시록적 분위기가 페이지를 넘길수록 짙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