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여 잘 있어라

Ernest Hemingway · Novel/War
544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8(2k)
Rate
3.8
Average Rating
(2k)
노벨 문학상, 퓰리처상 수상 작가, 20세기 미국 문학을 개척한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대표작. 미국 현대 문학의 개척자라 불리는 헤밍웨이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삶의 좌표를 잃어버린 '길 잃은 세대'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9권으로 출간된 <무기여 잘 있어라>는 그 스스로 "내가 쓴 <로미오와 줄리엣>"이라 밝힌 연애소설이자 깊은 존재론적 성찰을 담은 작품이다. 이탈리아 로마에서 건축을 공부하던 미국 청년 프레더릭 헨리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앰뷸런스 부대의 장교로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된다. 실제 전투와는 무관한 생활을 하던 프레더릭은 영국 출신의 간호사 캐서린 바클리를 알게 된다. 그는 처음에 위안소에서 여자를 만나는 것보다 낫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캐서린과 만난다. 그러다 부상을 입고 밀라노의 후방 병원에 입원해 그곳으로 온 캐서린의 간호를 받게 되면서 두 사람의 사랑은 급속도로 깊어진다. 대표적인 전쟁소설답게 전장과 후방의 대조적인 상황, 전쟁에 임하는 사람들의 각기 다른 생각 등을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전쟁에 대한 냉소와 비판이 작품 곳곳에 짙게 깔려 있다. 미국인이면서 이탈리아 부대에 소속되어 있고, 전투 부대가 아니라 앰뷸런스 부대에 소속된 프레더릭은 애초에 자신이 겪는 전쟁이 "영화 속의 전쟁만큼이나 위험해 보이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전투가 아닌 식사 중에 포탄을 맞아 부상을 입고도 훈장을 받고, 적군이 아닌 겁먹은 아군의 총에 후임병을 잃고, 퇴각 중 아군의 사기를 진작한다는 명목으로 헌병에게 붙잡혀 탈영 및 간첩 혐의를 뒤집어쓰고 처형될 위기에 놓이면서 비이성적이고 비인간적인 전쟁의 참상을 목도하고 스스로 단독 강화조약을 맺는다. 치열한 전투 대신 비참한 퇴각 상황과 개개인의 심리를 묘사해 더욱 효과적으로 반전(反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8(2k)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00+

Table of Contents

1부 2부 3부 4부 5부 작품 해설 작가 연보

Description

노벨 문학상, 퓰리처상 수상 작가 20세기 미국 문학을 개척한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1954) 미국의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대표작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를 비롯하여 『무기여 잘 있어라(A Farewell to Arms)』,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The Sun Also Rises)』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으로 출간되었다. 미국 현대 문학의 개척자라 불리는 헤밍웨이는 제1차 세계대전 후 삶의 좌표를 잃어버린 ‘길 잃은 세대’(une g?n?ration perdue, lost generation)’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러나 그동안 저작권 계약이 어려워, 국내에는 제대로 소개되지 못하다가 이번에 대표작 세 권을 동시에 선보이게 되었다. 헤밍웨이의 마지막 소설로, 작가 고유의 소설 수법과 실존 철학이 짧은 분량 안에 집약돼 있는 『노인과 바다』, 그 스스로 “내가 쓴 『로미오와 줄리엣』”이라 밝힌 연애소설이자 깊은 존재론적 성찰을 담은 『무기여 잘 있어라』, 세계대전 후 삶의 방향을 상실한 사람들을 그린 첫 번째 장편소설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 세 권이다. 이는 또한 영문학자이자 번역가인 김욱동(한국외대 영어 통번역학과) 교수가 지난 3년간 준비해 온 결과이기도 하다. 헤밍웨이는 자신의 작품이 “바다 위에 떠 있는 빙산과 같아서 8분의 1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수면에 떠 있고 나머지 8분의 7은 수면 아래 가라앉아 있다.”라고 말한 바 있는데, 김욱동 교수는 2009년부터 번역을 해 오면서 이러한 문체적 특성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하드보일드 스타일’이라 불리는 간결한 표현 속에 다양한 의미를 숨겨 둔 헤밍웨이의 문장 하나하나를 여러 각도로 고민하여 그 어감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번역하려고 애썼다. 또한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를 그대로 노출해 지역적 특징을 드러낸 부분도 원문 그대로, 그러나 그 의도와 느낌은 해치지 않도록 하는 데도 노력했다. 쿠바나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지명과 어업, 전쟁, 투우 등에 사용되는 용어들도 하나하나 조사하여 실어 주었다. 김욱동 교수는 “이 번역서들에서 헤밍웨이의 육체뿐만 아니라 그 영혼을 살려 내고 싶었다. 지시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함축적 의미까지 옮기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다시 말해 행간의 숨은 뜻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썼다.”라고 헤밍웨이 번역 과정의 마음가짐을 밝히기도 했다. ■ 『무기여 잘 있어라』 전쟁의 허무 속에서 삶과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아 가는 청년의 이야기 전쟁소설과 연애소설의 한계를 넘어 존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아낸 명작 이탈리아 로마에서 건축을 공부하던 미국 청년 프레더릭 헨리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앰뷸런스 부대의 장교로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된다. 실제 전투와는 무관한 생활을 하던 프레더릭은 영국 출신의 간호사 캐서린 바클리를 알게 된다. 그는 처음에 위안소에서 여자를 만나는 것보다 낫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캐서린과 만난다. 그러다 부상을 입고 밀라노의 후방 병원에 입원해 그곳으로 온 캐서린의 간호를 받게 되면서 두 사람의 사랑은 급속도로 깊어진다. 프레더릭은 자신의 아이를 가진 캐서린과 함께 삼 주간 요양 휴가를 떠날 생각이었으나, 평소 그를 못마땅하게 여기던 수간호사에게 약점을 잡혀 다시 전선으로 차출된다. 전투에서 연합군이 대패해 퇴각하던 중 탈영과 간첩 혐의로 아군에게 총살당할 위기에 처하자, 프레더릭은 강물에 뛰어들어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다. 이후 그는 밀라노로 돌아가 캐서린과 재회하고, 국경을 넘어 스위스에서 출산을 기다리며 잠깐 동안 평온한 행복을 누리지만, 결국 비극적인 이별을 맞게 된다. 『무기여 잘 있어라』는 대표적인 전쟁소설답게 전장과 후방의 대조적인 상황, 전쟁에 임하는 사람들의 각기 다른 생각 등을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전쟁에 대한 냉소와 비판이 작품 곳곳에 짙게 깔려 있다. 미국인이면서 이탈리아 부대에 소속되어 있고, 전투 부대가 아니라 앰뷸런스 부대에 소속된 프레더릭은 애초에 자신이 겪는 전쟁이 “영화 속의 전쟁만큼이나 위험해 보이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전투가 아닌 식사 중에 포탄을 맞아 부상을 입고도 훈장을 받고, 적군이 아닌 겁먹은 아군의 총에 후임병을 잃고, 퇴각 중 아군의 사기를 진작한다는 명목으로 헌병에게 붙잡혀 탈영 및 간첩 혐의를 뒤집어쓰고 처형될 위기에 놓이면서 비이성적이고 비인간적인 전쟁의 참상을 목도하고 스스로 단독 강화조약을 맺는다. 치열한 전투 대신 비참한 퇴각 상황과 개개인의 심리를 묘사해 더욱 효과적으로 반전(反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이 작품은 헤밍웨이 스스로 “내가 쓴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할 만큼 애잔한 사랑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저 놀이처럼 시작된 프레더릭과 캐서린의 관계는 시련 속에서 진정한 사랑으로 발전하지만 고전적인 비극에서처럼 피할 수 없는 운명으로 이별을 맞게 된다. 애틋한 만남과 이별을 반복하는 가운데 사랑을 믿지 않던 프레더릭은 삶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고백할 만큼 캐서린을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이 작품은 단순한 전쟁소설이나 연애소설에서 그치지 않고, 깊은 존재론적 성찰을 다룬다. 자기 삶에 무지하고 무관심하던 프레더릭은 비참한 전장에서 진정한 사랑을 경험하며 추상적인 관념의 공허함과 세상에 내던져져 죽음으로 향할 수밖에 없는 인간 조건을 깨닫게 된다. 사람들이 이 세상에 너무 많은 용기를 갖고 오면 세상은 그런 사람들을 꺾기 위해 죽여야 하고, 그래서 결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 세상은 모든 사람을 부러뜨리지만 많은 사람은 그 부러진 곳에서 더욱 강해진다. 그러나 세상은 부러지지 않으려 하는 사람들을 죽이고 만다. 아주 선량한 사람들이든, 아주 부드러운 사람들이든, 아주 용감한 사람들이든 아무런 차별을 두지 않고 공평하게 죽인다.(『무기여 잘 있어라』 중에서) 원제 ‘A Farewell to Arms’의 ‘Arms’는 무기를 뜻하기도 하고, 두 팔을 뜻하기도 한다. 결국 주인공은 단독 강화조약으로 전쟁(무기)에 안녕을 고하는 동시에 사랑하는 여인의 두 팔에도 안녕을 고함으로써 삶의 본질과 사랑의 가치를 통감하는 것이다. 전쟁의 허무 속에서 삶과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아 가는 한 청년의 애절하고 감동적인 이야기는 지금도 연극, 영화, 드라마 등으로 거듭 제작되고 있으며, 전 세계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무기여 잘 있거라’로 표기해 온 제목을 현행 맞춤법에 따라 ‘무기여 잘 있어라’로 바로잡았다.

Collections

79

Similar Tit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