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인간의 진실과 운명을 향한 도저한 사유, 그 쉼 없는 열정 한국 소설 문학의 큰 산, 소설가 이청준이 일궈놓은 40년 문학의 총체 지난 2008년 7월에 타계한 소설가 이청준 선생의 문학을 보전하고 재조명하고자 문학과지성사에서 새로운 구성과 장정으로 준비한 『이청준 전집』의 첫 결실이 독자들 앞에 선보인다. 2010년 7월 31일, 작가 이청준의 2주기에 즈음하여 출간된 『이청준 전집』의 첫 책은 그의 초기 중단편소설들을 발표순으로 모은 1권 『병신과 머저리』(2010)와 2권 『매잡이』(2010)이다. “소설은 언어의 질서를 통해 반성적으로 삶을 인식 해석하고, 창조적으로 사랑하며, 자유롭고 조화로운 새 세계를 꿈꾸는 담화 행위이다.” _이청준, 『말없음표의 속말들』에서 『서편제』 『눈길』 『당신들의 천국』 등 우리 시대의 한과 아픔을 사랑과 화해로 승화하려 한평생 고뇌한 작가 이청준. 그는 소설가로서 투철한 작가 의식, 지성인으로서 인격, 생활인으로서 겸손함, 남을 위한 배려 정신과 자신에 대한 엄격성 등 삶의 여러 본보기들을 소리 없이 실천하며 우리 곁에 머물다 간, 명실공히 한국 소설 문학사의 큰 표징이다. 말과 말의 질서를 통해 삶을 사랑하기를 문학의 궁극적 행위이자 가치로 놓았던 이청준의 작품 세계는 권력과 인간의 갈등, 집단과 개인의 불화, 언어와 사회의 길항 등 거시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부터 고난을 견디는 장소로서의 한국인의 집단 무의식과 그 밑바닥의 가장 복잡한 심사들의 뒤엉킴이라는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구조에까지 멀리 그리고 깊게 닿아 인간의 한 생을 파노라마로 엮는다. 다시 말해, 『당신들의 천국』이 완성한 지성의 정치학으로부터 『서편제』가 풀어낸 토속적 정한의 세계에 이르기까지 이청준 문학이 뻗어 있는 영역은 우리 삶의 전방위를 아우르고 있는 것이다. 이번에 무선과 양장, 두 가지 장정으로 마련된 『병신과 머저리』와 『매잡이』는 이청준 소설의 신호탄이 된 그의 등단작이자 『사상계』 신인상 당선작 「퇴원」을 필두로 1권에 12편, 2권에 9편의 중단편을 수록하고 있다. 2009년 7월 28일에 발족된 <이청준추모사업회>와 문학과지성사가 정본으로서의 새로운 『이청준 전집』 간행에 한뜻을 모으고, 문학평론가 권오룡 정과리 우찬제 이윤옥 홍정선, 소설가 이인성, 문학과지성사 대표이사 김수영 이상 7인으로 구성된 <이청준 전집 간행위원회>를 통해 이후 수차례의 논의와 협의를 거쳐 이청준 전 작품과 서지 자료 정리 및 전집기본 구성안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지난 2년여에 걸쳐 진행된 간행위원회의 정기회의를 통해 1) (발간과 미발간 작품 모두를 포함한) 이청준 작품 목록 정리, 2) 이청준 연보 정리, 3) 각 작품 연재 지면과 발행 출판사, 작품 분량에 대한 일차적인 세부 목록 조사와 정리가 이뤄졌고, 더불어 각권의 표지 그림과 제자는 생전의 이청준 선생의 절친이자 고향 후배인 김선두 화백이 맡기로 결정되었다. 역시 오랫동안 이청준 문학에 밀착하여 정통한 비평적 안목과 노력을 기울여온 문학평론가 이윤옥 씨가 각 개별 작품들의 텍스트의 변모와 상호 관계를 밝히는 상세한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해주었다. 이 주해는 이청준 작품 세계의 소재적, 주제적, 문체적 측면의 특장과 주요 변모를 연대기적 흐름과 출판사, 판면의 변화와 함께 보여줌으로써 이청준 문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더없이 귀한 자료가 될 것이다. (예시) 「퇴원」 | 발표 | 『사상계』 1965년 12월호. * 제7회 『사상계』 신인문학상 당선작(심사평 및 수상 소감→ 자료집 참조) | 최초 단행본 수록 | 『별을 보여드립니다』, 일지사, 1971. 1. 실증적 정보 이 작품은 작가의 육필 초고가 남아 있다. 발표작과 크게 다르지 않은 초고에는 광에 대한 삽화가 없다. 초고에서 의사 이름은 ‘준’이 아니라 ‘걸’이었고, 누워 있다 죽는 ‘남자’는 ‘수수께끼 씨’였다. 2. 텍스트의 변모 1)『사상계』(1965년 12월호)에서 『별을 보여드립니다』(일지사, 1971)로 - 12쪽 2행, 5행: 율동 → 율동감 - 23쪽 16행: 그렇게 물었다. → 필요도 없는 시간을 묻고 있었다. - 28쪽 17행: 일어나 앉았다. → 벌떡 자리를 차고 일어났다. - 29쪽 19행: 가슴 속으로 [삽입] - 30쪽 15행: 자기망각증이라든가 → 자기망각증 환자라든지 2)『별을 보여드립니다』(일지사, 1971)에서 『별을 보여드립니다』(중원사, 1992)로 - 10쪽 22행: 예(禮)까지 → 짐짓 사양기까지 - 27쪽 19행: 하나 → 하날 새로 만들어 - 28쪽 11행: 고기는 → 살집은 - 30쪽 15행: 자기망각증 환자라구요? → 자아망실 무어라구요? - 32쪽 5행: 무슨 뜻 → 좀더 특별한 뜻 3)『별을 보여드립니다』(중원사, 1992)에서 『소문의 벽』(열림원, 1998)으로 - 10쪽 8행: 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선택한 셈이었다. 3. 인물형 1) 준: 이 이름은 「퇴원」뿐 아니라 「공범」(고준),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이준), 「소문의 벽」(박준)에도 나온다. 당선 소식을 듣고 쓴 일기를 볼 때 ‘준’은 작가 자신을 말한다. 초고에서 작가가 투영된 인물이 ‘나’ 하나였다면, 완성작에서는 ‘걸’이 ‘준’으로 바뀌면서 ‘준’과 ‘나,’ 둘이 된다. 2) 미스 윤: 「퇴원」의 미스 윤처럼, 「조만득 씨」에서 조만득을 돌보며 그의 처지에 공감하는 간호사도 미스 윤이다. 4. 소재 및 주제 1) 환부를 알지 못하는 환자, 어디에도 자신의 소재가 없는 존재: 자기 얼굴이 없는 자기망각증은 「아벨의 뎃쌍」 「줄광대」 「병신과 머저리」 등 습작을 포함해 초기작을 지배하는 정서다. 이후 다른 작품에 나타나는 가면 역시 자기 얼굴 없음과 동일한 뜻을 지닌다(30쪽 15행). - 습작 「아벨의 뎃쌍」: i) 생활이란 아마 그런 자기망각 속에서나 이루어지는 것인 모양이었다. ii) 어느 한 번도 그는 자신을 던져 넣어 그것들과 맞서보았던 기억이 없었다. 조바심만 설치던 초라한 젊음에는 어느 구석에도 자신의 소재가 없었다. -「줄광대」: 나는 적합지가 않다. 좀더 확실한 목소리로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여길 왔어야 했다. 그 이야기를 들었어야 했다. 나는 그럴 수가 없다. 더욱이 그것을 여자에게 물을 수는 없었다. 이 혼돈 속에서 나의 소재를 확인해볼 수 있는 방법을 영영 찾을 수 없을 것 같은 두려운 생각이 들었다. -「병신과 머저리」 : i) 혜인은 아픔이 오는 곳이 없으면 아픔도 없어야 할 것처럼 말했지만, 그렇다면 지금 나는 엄살을 부리고 있다는 것인가. ii) 어쩌면 그것은 나의 힘으로는 영영 찾아내지 못하고 말 얼굴일지도 몰랐다. 나의 아픔 가운데에는 형에게서처럼 명료한 얼굴이 없었다. 2) 거울과 얼굴 보기: 자아망실 상태의 인물이 자아회복으로 나아가는 것을 보여준다(26쪽 3행, 21행). -『조율사』: i) 지훈은 전번의 어항을 어디로 치워 버렸는지, 그 대신 조그만 면경으로 자기 얼굴을 열심히 비춰 보다가는… ii) 나는 그 물구멍 위로 몸을 굽혔다. 그러다 거기서 문득 이상한 것을 보았다. 그건 물론 내 얼굴이었다. 내 얼굴이 물에 비친 것이었다. 그런데 그때 내 얼굴이 전혀 딴 사람의 그것처럼 낯설어 보였다. 그것은 내가 오랫동안 거울을 보지 않고 지내온 탓만은 아니었다. -「여름의 추상」: 하지만 녀석들이 그렇게 서로 남의 얼굴을 제 얼굴로 삼고 지내게 된 것은 뭐니뭐니 해도 놈들에겐 아직 거울을 보는 지혜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3) 광에 대한 삽화: 김현은 <이청준에 대한 세 편의 글> 중 ‘욕망과 금기’(『문학과 유토피아』)에서 이 삽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