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순정만화 작가사전

조영주
236p
Where to buy
content
Rate
3.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운영] <시네마 천국> 재개봉 개봉전_보드배너[운영] <시네마 천국> 재개봉 개봉전_보드배너

114명의 작가들을 통해 본 한국 순정만화사를 보여준다. 순정만화는 뭘까. 왜 여성/만화는 그냥 만화가 아니라 ‘순정’만화로 불릴까. 왜 순정만화는 ‘특집’ 형태로 기획될까. 그로써 왜 항상 ‘주류’ 만화와 금이 그어질까. 《한국 순정만화 작가 사전》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한국 만화사 초창기부터 있었고, 1990년대 한국 만화 르네상스를 견인한 여성, 만화가들을 중심으로 만화사를 새롭게 그려낸다. “만화가로 성공 못 할 팔자”라는 점괘를 무화시킨 신일숙, 호기심으로 만화 학원에 등록했던 게 진로가 된 김미영, 남들 다 부러워하는 대기업에 다니다가 만화가 그리고 싶어서 때려 치고 나온 문흥미 옆으로, 민애니가 박정희 군사정권의 폭압과 ‘여자만화’에 특히 가혹했던 검열을 폭로했다. 이정애는 설익은 정책과 플랫폼 사이에서 압사당한 창작자들을 대변했다. 최인선은 얄팍한 창작 저변과 어떠한 ‘다름’도 수용 못하는 사회를, 양여진은 호황기나 불황기나 꾸준히 열악했던 작가들의 고단한 지위를 드러냈다. 박무직은 그 자체로 한국 사회와 만화계의 서글픈 자화상이었다. 이밖에도 각각의 이름이 다 말해주지 못한 당대의 주요 정치사회적 사건들은 ‘공장만화’ ‘순정만화 잡지’ ‘청소년보호법’ 등 별책부록으로 설명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저자 소개들어가는 글차례1장 <ㄱ>강경옥 | 강모림 | 강미정 | 강은영 | 강현준 고유리 | 권교정 | 권현수 | 김강원 | 김기혜 | 김나경 | 김대원 | 김동화 | 김미림 | 김미영 | 김민희 | 김숙 | 김숙희 | 김언형 | 김연주 | 김영희 | 김우현 | 김윤이 | 김은정 | 김은희 김지윤 | 김지은 | 김진 | 김혜련 | 김혜린별책부록Ⅰ 공장만화2장 나예리 | 노경해 | 노명희 | 노유경 | 노이정 도짱 | 문계주 | 문흥미 | 민애니 | 박경은 | 박무직 | 박상선 | 박소희 | 박은아 | 박연 | 박희정 | 백상은 | 서문다미 | 서윤영 | 서은진 | 서현주 | 석동연 | 송채성 | 신시하 | 신일숙 | 신지상·지오 | 심수정 | 심혜진별책부록Ⅱ 순정만화 잡지3장 <ㅇ>양여진 | 어숙일 | 엄희자 | 여호경 | 오경아 | 우양숙 | 원수연 | 유시진 | 유진하 | 윤린 | 윤미경 | 윤지운 | 이강주 | 이경미 | 이경신 | 이명신 | 이미라 | 이빈 | 이상은 | 이선희 | 이소영 | 이시영 | 이애림 | 이영희 | 이유정 | 이은영 | 이은혜 | 이정애 | 이진경 | 이향우 | 이현숙 | 이혜순 | 이희정 | 임주연별책부록Ⅲ 청소년보호법4장 정혜나 | 조강연 | 조주희 | 지완 | 지혜안 | 차성진 | 채민 | 채안나 | 천계영 | 최경아 | 최인선 | 하성현 | 하시현 | 한미석 | 한승원 | 한승희 | 한혜연 | 함형숙 | 홍유진 | 황미나 | 황선나주석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