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성의 사내

Philip K. Dick · SF/Novel
48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6(153)
Rate
3.6
Average Rating
(153)
영화 <블레이드 러너> <토탈 리콜> <페이첵> <콘트롤러> 등의 원작자로 ‘할리우드가 가장 사랑한 작가’로 평가받는 필립 K. 딕. 그의 걸작 장편만을 모아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총 12권 완간을 목표로 하는 ‘필립 K. 딕 걸작선’의 네 번째 주자로 1963년 휴고상 수상작인 <높은 성의 사내>가 출간되었다. 책은 ‘2차 세계대전에서 만일 연합군이 패했다면?’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독일과 일본이 세계를 양분하여 지배하는 음울한 가상의 1960년대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이 빚어내는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마치 거울에 비춰본 세상처럼 지금 우리의 현실과 묘하게 닮았으면서도 판이한 세계,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높은 성의 사내’가 쓴 책을 정신적 위안으로 삼는다. 또한, 갖가지 망상증과 신경쇠약에 시달리고 평생 순탄치 못하게 살면서도 늘 그를 둘러싼 세상에 의문을 던지고 구원을 꿈꾸던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우리가 보지 못했을 우리의 모습을 절묘하게 비춰 보여준다.
Rating Graph
Avg3.6(153)

Author/Translator

Comment

10+

Description

“만일 그의 작품이 순수문학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싸구려 표지 대신 거창한 표지를 내세웠더라면 그렇게 비평가들에게 잊히지는 않았을 것이다.” _ 어슐러 르귄 1963년 휴고상 최우수 장편상 수상작! 대체 역사소설의 걸작! 소설가를 꿈꾼 철학자 필립 K. 딕. 지금 그가 가상의 역사를 그려 보인다! 영화 <블레이드 러너> <토탈 리콜> <페이첵> <콘트롤러> 등의 원작자로 ‘할리우드가 가장 사랑한 작가’로 평가받는 필립 K. 딕. 그의 걸작 장편만을 모아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총 12권 완간을 목표로 하는 ‘필립 K. 딕 걸작선’의 네 번째 주자로 1963년 휴고상 수상작인 <높은 성의 사내>가 출간되었다. <높은 성의 사내>는 ‘2차 세계대전에서 만일 연합군이 패했다면?’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독일과 일본이 세계를 양분하여 지배하는 음울한 가상의 1960년대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이 빚어내는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마치 거울에 비춰본 세상처럼 지금 우리의 현실과 묘하게 닮았으면서도 판이한 세계,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높은 성의 사내’가 쓴 책을 정신적 위안으로 삼는다. 갖가지 망상증과 신경쇠약에 시달리고 평생 순탄치 못하게 살면서도 늘 그를 둘러싼 세상에 의문을 던지고 구원을 꿈꾸던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우리가 보지 못했을 우리의 모습을 절묘하게 비춰 보여준다. 대체역사 소설의 효시, <높은 성의 사내> 필립 K. 딕은 이 작품으로 대체역사 소설이라는 장르를 처음 개척함과 동시에, 1963년에는 최고의 SF작품에게 주어지는 휴고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하지만 그 뒤로도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으며, 사후에야 재조명되는 불운을 겪기도 했다. 어슐러 르귄이 “만일 그의 작품이 순수문학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싸구려 표지 대신 거창한 표지를 내세웠더라면 그렇게 비평가들에게 잊히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안타까움과 찬사를 한데 모아 표현했듯, 필립 K. 딕은 과학소설의 보편적 소재를 이용해 진지한 메시지를 담는 작가로서 20세기 SF문학사를 대표하는 인물로 손꼽힌다. <높은 성의 사내>는 딕이 작품 활동 최전성기에 접어드는 1962년에 발표되었다. 이후 <화성의 타임슬립>,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유빅> 등 최고의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정체성의 혼란과 다중 현실, 그리고 불안감과 편집증 등 작가 특유의 코드는 이 작품에서 이미 발현되고 있다. ‘한 번쯤 생각해볼 만한 세상’, 그 안에 깃든 존재론적 의문 암울하고 그로테스크한 세계를 그린 딕의 작품에서는 ‘당신은 누구인가’를 비롯해 ‘당신이 보고 있는 현실은 진실인가’ 같은 존재론적인 질문이 거듭 등장한다. 이 작품도 다르지 않다. 여기서 등장하는 것은 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독일과 일본이 세계를 양분해 통치하고, 미국 역시 동부는 독일이, 서부는 일본이 지배하는 현실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익숙한 진짜 현실(연합군이 승리하고 미국이 팍스 아메리카나를 주도해가던 1962년)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책 속의 책 <메뚜기는 무겁게 짓누른다> 속에만 존재한다. 작가는 작품 속에서 동양문화를 숭배하며 일본인들의 우월함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백인들과 인종 청소라는 끔찍한 짓을 자행하는 나치의 만행을 효율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이는 바로 우리가 사는 세상 속에 만연한 백인 우월주의와 팔레스타인의 혼란을 야기한 유태인들을 모습과 다름 아니다. 그래서인지 <높은 성의 사내>에서 그려진 현실 혹은 그 세상은 그리 낯설지 않다. 혼란 속에서 21세기의 문명사회를 살아가는 지금 우리의 현실과도 흡사하기 때문이다. 필립 K. 딕 소설 속이 주는 철학적인 메시지들은 단순히 텍스트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새 현실적인 맥락과도 맞닿아 자리를 잡아간다. 그리고 이렇게 한 작가의 상상력은 시공을 뛰어넘어 우리의 현실을 뒤집어 다시 한 번 조망하게 해준다. ■‘필립 K. 딕 걸작선’ 출간의 의의 세상을 떠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필립 K. 딕은 여전히 그 문학적 가치가 새롭게 재평가되는 작가이다. 생전에 그는 주류 문학계에서는 ‘싸구려 장르 소설 작가’로 폄하되고, SF 문학계에서는 인간성을 탐구하는 특유의 주제의식 때문에 팬들에게 외면당한 불운한 작가였다. 하지만 지금 그의 작품은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와 시대를 초월한 상상력으로 세대를 뛰어넘는 감동을 주고 있다. 미국의 권위 있는 비영리 출판사인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는 미국문학 총서(마크 트웨인부터 헨리 제임스까지 미국 문학의 거장들의 작품을 수록한 방대한 작가 선집으로 미국문학 작품으로 인정받은 작가만이 그 이름을 올릴 수 있다)에 필립 K. 딕을 올려놓으며 재조명했다. 그 자체로, 그의 작가적 입지가 미국문학에서 얼마나 중대하게 다뤄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작품이 장르라는 이름으로만 한정지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필립 K. 딕 전문가인 조나단 레섬이 편집한 이 장편소설 선집에는 휴고상 수상작인 『높은 성의 사내』와 존 켐벨 기념상 수상작인 『흘러라 내 눈물, 하고 경관은 말했다』 , 그리고 말년의 걸작인 『발리스』 3부작 등 총 12편의 장편소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폴라북스에서 2013년 완간될 예정이다. 해외 거장의 경우 뚜렷한 방향성을 갖고 체계적으로 소개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이 걸작선은 국내에서 SF 거장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기념비적인 첫 출발이 될 것이다.

Collections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