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장 태평양 너머에선 한국이 보일까 남의 판단에 기댄 믿음 나를 살피는 음악학 우리를 바라보는 그들 찾아가기 2장 타인을 보는 음악학 한국을 연구하는 서양학자들 동아시아음악연구의 오리엔탈리즘 서구학계와 현지학자들 어설픈 번역을 넘어서 3장 음악인류학이라는 삶, 그 반성의 역사 비교음악학/종족음악학/음악인류학 음악학과 음악인류학 19세기 문화진화론과 문화전파론 보편성과 특수성 객관성: 타인과 본인 관찰과 설명으로부터 이해와 해석으로 4장 공연연구 돋보기 음악을 연구한다는 것 공연, 생물학적?문화적으로 한정된 양식 공연, 사회극 안의 의식(ritual) 음악학의 새로운 대상, 한국음악 5장 문화의 세계화, 우리의 식민 상처 지우기 세계적인 문화상품: 민족주의와 자본주의의 제휴 탈식민연구(Postcolonial Studies) 장소의 이동과 문화적 의미 한국의 세계화? 세계의 한국화? 한국음악의 탈식민연구 6장 한국인을 닮은 다른 나라의 음악가들 인도네시아의 김민기, 로마 이라마 우리는 모두 음악가, 스위트 허니 인 더 록 7장 나를 공부하는 음악학 나는 누구인가 개인과 경험의 연구 사람 연구의 열린 방법 접근법의 다원화 장르로부터의 자유 새로이 보이는 세계 속의 한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