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여는 말 1부 자연의 새로운 상(像) 1장 ‘과학기술’의 탄생 1절 ‘외물(外物)’에의 지향 2절 ‘자연과학적 사유’의 탄생: 근대 역학의 존재론 2장 근대적 합리성의 탄생 1절 합리주의 인식론 2절 기계론적 자연철학 3장 과학혁명의 전개 1절 힘의 과학과 질의 과학 2절 새로운 과학혁명 2부 표현의 형이상학 4장 환원에서 표현으로 1절 스피노자의 신 - 즉 -자연 2절 정신과 신체 그리고 인식 3절 욕망과 감정의 철학 4절 예속된 삶과 자유로운 삶 5장 표현주의의 두 길 1절 모나드의 존재론 2절 모나드들의 상호 표현 3절 신(神)에 대한 변론 6장 기학적 표현주의 1절 ‘기’의 표현으로서의 세계 2절 사람의 마음 3절 역사의 의미 3부 경험적인 것과 선험적인 것 7장 실학의 시대 1절 경학과 경세학 2절 근대 기학의 전개 3절 민중사상과 민족사상 8장 계몽의 시대 1절 경험의 분석: ‘관념’의 이론 2절 계몽의 시대: 근대 문명의 향방 9장 선험적 주체의 철학 1절 과학과 형이상학: 새로운 정초 2절 도덕형이상학의 새로운 정초 3절 합목적성의 사유 4절 절대자의 사유 5절 이념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 4부 시민적 주체와 근대 정치철학 10장 시민적 주체의 탄생 1절 권력 배분의 새로운 논리: 계약 2절 계몽의 정치철학 3절 역사철학의 만개( 滿開) 11장 자유냐 평등이냐 1절 자본주의의 ‘진화’와 자유주의 2절 혁명의 시대와 공산주의 12장 왕조에서 국민국가로 1절 이슬람에서의 전통과 근대 2절 인도에서의 전통과 근대 3절 동북아에서의 전통과 근대 맺는 말 참고 문헌 인물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