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생겨나면서 손상된다 1 청소 아저씨 2 속성을 상실한 것들의 필요성 3 인간계와 자연계의 틈새에서 4 파손된 것의 이념: 나폴리의 기술 5 기능에서 단절된 기관 1장 ‘제국’의 형태 - 네그리와 하트의 ‘부패’ 개념에 대하여 1 숨겨지는 부패 2 토양 쪽에서 사유하기 3 ‘제국’을 그리다 4 부패를 사유하다 5 분해자로서의 다중 6 역사에서 배우기 2장 나무블럭의 철학 - 프뢰벨의 유치원에 대하여 1 무너뜨리는 장난감 2 프뢰벨의 유치원 3 프뢰벨의 나무블럭 철학 4 나무블럭의 무한성 5 인간과 식물은 자라는 존재 6 노래와 소리 7 먹는 분해자들 3장 인류의 임계 - 차페크의 미래소설에 대하여 1 ‘분해 세계’와 ‘분해에 저항하는 세계’ 2 『마크로풀로스 사건』 3 더 이상 신의 미숙아가 아니라 4 메치니코프의 요구르트 5 인류는 언제까지 지속할까 6 인류의 임계로: 로봇의 반란 7 로봇과 인류의 혼교 8 노동 해방에 의한 인류의 멸망: 『도롱뇽과의 전쟁』 9 너무 부서진다고 하는 문제: 『압솔루트노 공장』과 『크라카티트』 10 로봇의 후예들 11 아마추어 원예가의 생태학 12 차페크의 임계에서 도약을 4장 넝마주이의 마리아 - 법과 일상의 틈새에서 1 넝마주이, 어떤 분해자 2 메이지의 ‘넝마주이’ 3 쓰레기 세계의 치안과 위생 4 양아치와 룸펜 프롤레타리아트 5 폴란드에서 개미촌으로 6 만주에서 개미촌으로 7 ‘개미촌’이라는 무대에서 8 부끄러움과 유쾌함 9 쓰레기를 먹는다 5장 떠들썩한 장례식 - 생태학사 속의 ‘분해자’ 1 생태계라는 개념 2 생산자와 소비자와 분해자 3 ‘분해자’란 무엇인가 4 ‘분해자’ 개념의 탄생 5 장의사와 재활용 업체 6 얼룩말과 연어와 고래의 ‘장례’ 7 인간의 ‘장례’ 8 똥 속의 보석 9 파브르의 소똥구리 10 분해 세계로서의 번데기 6장 수리의 미학 - 수선한다, 푼다, 베푼다 1 계획적 진부화 2 감축 3 쟁기를 유지 보수한다 4 유지 보수와 애착 5 금수선 6 그릇의 ‘경치’ 7 ‘푼다/풀린다’와 ‘맺는다’ 8 ‘푼다/풀린다’와 ‘때’ 에필로그: 분해의 향연 1 장치를 발효시킨다 2 식(食) 현상의 확장적 고찰 3 물어 죽이는 축제 후기를 대신하여 주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