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여기서만 가능한

이연숙 · Essay
456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2(51)
Rate
4.2
Average Rating
(51)
닉네임 리타, 비평가 이연숙의 산문 『여기서는 여기서만 가능한』이 출간되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작가 이연숙/리타가 블로그와 메모장에 쓴 일기를 편집하고 제목을 달아 총 182편의 글을 실었다. 예술가, 여성, 퀴어, 가난, 섹슈얼리티, 글쓰기… 이 다양한 키워드들이 교차하며 직조해내는 텍스트들은 커다란 몸을 보존하고선 통과할 수 없는 촘촘한 그물과 같다. 이연숙의 쓰기는 ‘굿 걸’(233쪽)로서 삼킬 수 없었던 덩어리진 경험들을 더 부수고 깨어 완전히 작아져 가루가 되기를, 나아가 끓는점을 모르고 진동하는 혈액이 되기를 요구하는 힘을 지녔다. 지나칠 정도로 살아 있는 경험, 어떤 말도 충분치 않은 이야기들, 탈진한 몸 안에서 폭발해버릴 것처럼 활발하게 운동하는 정신, 육체를 초과하려고 피부 안에서 지진계처럼 진동하는 뜨거운 피가 흐르는(329쪽) 이 책은 이연숙이 작가로서 세상에 선보이는 첫 산문집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그 안에 실린 다양한 퀴어한 존재들과 함께 사방으로 팽창하는 풍성한 인류학적 텍스트로도 읽을 수 있다. 이 안에서 독자들은 연숙이라는 하나의 문제적 인물, 그와 연루된 무수한 상황들과 마주하게 된다. “항복한 채로 지껄이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무력함을 가까스로 인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마지막까지 내게 남는 것이 무엇이 될지 정말로 알고 싶기 때문이다.”(59쪽) 이 집요하고도 성실한 쓰기의 근육은 “폭발 직전까지 진동하는 바깥”(324쪽)으로 독자를 초대한다. 그곳에서 독자들은 “나는 살기 위해서 일기를 썼다. 일기가 나를 살렸다”라는 작가의 말을 곱씹어보게 될 것이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4.2(51)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0+

Table of Contents

2016 토하지 않고 잤다 • 013 요 며칠간 일기를 쓰려다가 세 번 정도 실패했다 • 020 진료비는 십만칠천 원이 나왔다 • 025 엄마는 내가 본 최초의 우는 사람이었다 • 029 아빠가 중환자실로 옮겨졌다 • 033 아무것도 아니고 싶지 않다 • 036 그것은 고발처럼 보이기도 한다 • 041 견뎌야 한다는 진실만은 명백하다 • 044 언니의 손에는 있다 • 046 안 죽으려고 짜장면을 먹었다 • 049 아빠의 얼굴을 찍었다 • 052 뜨거운 물이 하는 일 • 057 세계화를 닥치게 하고 싶은 사람 • 063 거기서 엄마를 만났다 • 065 집세를 제때 낼 돈이 없다 • 066 좆된 경우 • 068 나는 속수무책으로 바라보는 사람이다 • 072 그럼에도 나는 돈이 필요한 사람 • 074 제적이 뜰지도 모른다 • 077 나는 하루종일 언니의 이름을 품고 있었다 • 079 근심이 빚처럼 쌓여 있다 • 082 사소한 우정의 순간들이 나를 구한다 • 084 목소리로는 숨길 수 없는 것들 • 087 제발 졸업을 하고 싶다 • 089 토가 나오려고 했다 • 091 거지가 거지를 키우는 게임 • 093 동생과 나는 이야기하지 않는다 • 097 나는 나를 너무 사랑해서 그러고도 남는다 • 100 거짓말을 멈출 수 없을 것이다 • 102 사랑한다는 문자를 보냈다 • 105 2017 그렇게 하면 안 되는데 무성의했던 순간들 • 109 엄마에게 연민과 죄책감을 느낀다 • 111 나의 악몽에는 언제나 가족들이 나온다 • 112 아빠의 시신과 단둘이 누워 있던 두 시간 • 115 그는 충분히 죽지 않았습니다 • 119 아빠는 날 위해서 모든 걸 했다고 말했다 • 121 우리가 잠들었을 때 일어난 일 • 122 말은 날 더럽게 만든다 • 124 살아 있으면 그럴 수 있을 것이다 • 126 저는 찍었고, 그래서 존재했습니다 • 128 언니와 섹스를 이전처럼 할 수 있을까? • 132 왜 이런 좆같은 작업을 하시나요? • 137 나를 정당화할 수 있을까? • 141 좀더 모서리로 • 143 요즘 말이랑 울음이 경쟁하듯이 쏟아져나온다 • 145 말하지 않으면 모를까? • 146 아빠 이제 오지 마세요, 라고 말해보라고 했다 • 147 여기는 김해 • 148 겨울에 대한 어떤 장면들 • 151 연민도 동정도 피로도 유머도 없었다 • 154 나만이 아빠를 기억한다 • 157 계속 이렇게 살 수 있어? • 160 그래서 내가 너랑 대화를 안 하는 거라고 대답해줬다 • 162 결심한 건 두 개였다 • 163 짠지돌 정도의 무게인데… • 164 살아남기란 쉬운 일이 아닐 것 같다 • 166 신경과를 삼십 분 동안 걸어서 갔다 • 168 쓰지 않으면 잃어버리는 것들 • 170 서점에 갔다 • 171 문 좀 열어주세요 • 172 처음 보는 사람과 밥을 먹는다 • 173 하나씩 떠오른다 그렇지만 • 174 아빠는 사라지지 않는다 • 175 그것과는 별개로 • 177 거의 매일이 그렇다 • 178 오늘은 젤리 말고 아무것도 못 먹었다 • 180 느린 섹스를 하는 꿈 • 182 2018 언니가 만들고 내가 먹었다 • 185 조건을 했던 것 같다 • 186 일을 하러 가기 전에 조건을 했다 • 187 조건을 시도했지만 • 188 아구찜은 맛있었다 • 189 첫 레즈 조건을 하기 위해서였다 • 191 두번째 레즈 조건을 했다 •

Description

“그 여자는 왜 미쳤을까? 왜 나였을까?” 닉네임 리타, 비평가 이연숙의 연민도 동정도 피로도 유머도 다 있는, 존나 고독하고 막막한 일기의 표정들! 이사 견적을 내기 위해 집에 방문한 업체 대표는 이런 집에서는 사람이 살 수 없다고 말했다. 나는 그 말에 얼굴이 벌겋게 달아올랐는데 그것은 내가 ‘이런 집’이 아니라 ‘이런 삶’을 사는 것에 대한 부끄러움 때문이었다. _「해머와 있으면서 그 어느 때보다 여자들을 자주」 1. 닉네임 리타, 비평가 이연숙의 산문 『여기서는 여기서만 가능한』이 출판사 난다에서 출간되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작가 이연숙/리타가 블로그와 메모장에 쓴 일기를 편집하고 제목을 달아 총 182편의 글을 실었다. 예술가, 여성, 퀴어, 가난, 섹슈얼리티, 글쓰기… 이 다양한 키워드들이 교차하며 직조해내는 텍스트들은 커다란 몸을 보존하고선 통과할 수 없는 촘촘한 그물과 같다. 이연숙의 쓰기는 ‘굿 걸’(233쪽)로서 삼킬 수 없었던 덩어리진 경험들을 더 부수고 깨어 완전히 작아져 가루가 되기를, 나아가 끓는점을 모르고 진동하는 혈액이 되기를 요구하는 힘을 지녔다. 지나칠 정도로 살아 있는 경험, 어떤 말도 충분치 않은 이야기들, 탈진한 몸 안에서 폭발해버릴 것처럼 활발하게 운동하는 정신, 육체를 초과하려고 피부 안에서 지진계처럼 진동하는 뜨거운 피가 흐르는(329쪽) 이 책은 이연숙이 작가로서 세상에 선보이는 첫 산문집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그 안에 실린 다양한 퀴어한 존재들과 함께 사방으로 팽창하는 풍성한 인류학적 텍스트로도 읽을 수 있다. 이 안에서 독자들은 연숙이라는 하나의 문제적 인물, 그와 연루된 무수한 상황들과 마주하게 된다. “항복한 채로 지껄이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무력함을 가까스로 인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마지막까지 내게 남는 것이 무엇이 될지 정말로 알고 싶기 때문이다.”(59쪽) 이 집요하고도 성실한 쓰기의 근육은 “폭발 직전까지 진동하는 바깥”(324쪽)으로 독자를 초대한다. 그곳에서 독자들은 “나는 살기 위해서 일기를 썼다. 일기가 나를 살렸다”라는 작가의 말을 곱씹어보게 될 것이다. ‘기록해두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374쪽) 이연숙의 일기에서 하루는 하나하나의 구멍을 통해 들여다본 공간, ‘여기’가 된다. “언젠가는 산 채로 여기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러고 나면 멋진 무용담을 쓸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본 것들에 대해 말할 수 있을 것이다.”(293쪽) 2. 이연숙 작가는 2013년부터 팟캐스트 퀴어방송을 100회 이상 진행하였으며 2015년부터 대중문화와 시각예술에 대한 글을 다양한 지면에 발표해왔다. 또한 기획/출판 콜렉티브 ‘아그라파 소사이어티(Agrafa Society)’의 일원으로서 웹진 ‘세미나’(www.zineseminar.com)를 공동으로 기획, 편집했고, 프로젝트 ‘OFF’라는 이름으로 페미니즘 강연과 비평을 공동 기획했다. 2021년 이연숙은 ‘SeMA-하나 평론상’을 받으며 한국 미술계의 발전을 견인할 젊은 미술평론가로 선정된 바 있다. 이는 서울시립미술관이 하나금융그룹의 후원으로 격년제로 시행하는 국공립미술관 최초 평론상으로서 자격제한 없는 공모제와 공정한 블라인드 심사를 원칙으로 한다. 이연숙은 SeMA-하나 평론상 4회 만에 나온 첫 단독 수상자로서 글 자체에 내재된 정동과 감각적 생동감, 분석 대상에 깊이 파고드는 힘과 글맛을 자유자재로 내는 문장력이 장점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세상의 내장을 두루 어루만지는 촉수가 되기를 기원한다(김영민)는 심사평과 함께 학제 간 경계를 가로지르는 전방위적 비평가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문혜진)를 한몸에 받았다. 이후 비평가 이연숙은 SeMA 비평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펴낸 첫 책 『진격하는 저급들』에서 퀴어한 삶에서 서로 경합하는 저급한 것들이 어떻게 정치적이고 급진적일 수 있는지 물었다. 이연숙은 해당 책에서 ‘퀴어’라는 개념이 최소한 문화예술계에서 ‘킨키한kinky’ 같은 용례 혹은 ‘성적 소수자’와 동의어로 사용되는 문제를 지적하며 퀴어는 다양한 성적 정체성을 아우르는 우산 개념으로서의 의미를 초과함을 이야기한다. ‘그런 식으로 살지 않을 수 없는’ 스스로 실패하기도 전에 ‘실패가 당신을 선택하는’ 패배자, ‘정상 사회’라고 하는 내부를 구성하기 위한 ‘평균 미만에 존재하는 실패자로서의 퀴어’들과 정답 없는 질문들을 나눈 소중한 비평적 지향점을 첫 책에 담은 셈이다. 3. 『여기서는 여기서만 가능한』은 그러한 반복되는 ‘실패’의 생채기가 혼란스럽게 쌓여 있는 수다스러운 더미들로 보인다. 그것들은 바라보는 눈을 믿을 수 없게 만드는 표면이면서 내부인 것들이자 추해지는 것에도 실패한 분해되다가 만 것들, 뒤집히고도 또 뒤집혀서 완전히 알아볼 수 없게 된, 그러나 여전히 나를 거슬리게 하고 동시에 매혹하는 침묵에 가까운 거짓말들(180쪽)이다. 이연숙은 일기가 허용하는 순진함을 극한까지 밀어붙여 이용하는 동시에 공들여 닦아낸 비평적 렌즈로 자신이 처한 상황과 위치, 조건을 쓰기라는 행위로 물질화하는 데 성공한다. “그런 거는 저를 한 번도 도와준 적 없었(266쪽)던 ‘희망’”. “희망 없이 대가 없이 자신만의 왕국을 건설하고 또 파괴하는 일을 반복”(341쪽)할 뿐인 이 일기라는 운동장에서 무엇이 적혀져야 하는 것이며 써야만 하는 것인가. 작가가 본문에서 언급하는 감독 보리스 레만의 작업 방식이 어쩌면 이 빽빽한 밀도의 일기 작업에 대한 힌트가 될지도 모르겠다. 작가에게 ‘오늘’은 시나리오도 스크립트도 준비하지 않고 찍기 시작한 영화와 같다(「저는 찍었고, 그래서 존재했습니다」). 이연숙은 감독이자 배우로 매일 주어지는 하루라는 스크린에 출연하는 셈이다. 동시에 그는 자신이 보고 있는 장면에서 의미를 찾아내야 하는 관객들의 시선을 통해 스크린에서 탈출하려 한다. 그 과정에서 발휘되는 것은 작가 이연숙의 고도로 훈련된 문장력이다. 시라고 불러도 무방할 독창적인 리듬감, 맥락 사이로 미끄러지는 몸을 언어의 표면에 붙들어내려는 영리한 시도들은 저자와 독자 사이에 우스꽝스러운 ‘창상創傷’을 만든다. “마치 조금만 더 바짝 끌어안는다면 우리가 서로에게 흡수될 것처럼”(440쪽) 어느새 읽는 이의 자리에서 내 구멍을 응시하는 발화자의 자리로 슬쩍 이동하게 되는 이 놀라운 텍스트의 멜랑콜리에 당신의 이름을 기입할 차례다. “이렇게 쓰면서, 쓰는 동안에, 나는 이런 일들이 글자로 적힐 수 있을 만큼의 일, 아무것도 아닌 일이라는 걸 확인한다. 그러고는 안심한다.”(449쪽)

Collections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