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인문학

싯다르타 히베이루
568p
Where to buy
Rate
3.5
Average Rating
(3)
우리는 모두 매일 밤 꿈을 꾼다. 꿈은 화들짝 놀라서 깰 만큼 사실적일 때도 있지만, 때로는 수수께끼 가득한 상징으로 가득하여 꿈에서 깬 이후에도 한참을 곱씹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는 왜 꿈을 꿀까? 꿈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꿈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꿈의 인문학》은 브라질 히우 그란지 두 노르치 연방대학교의 뇌 연구소 설립자이자 라틴 아메리카 교육, 인지 및 신경 과학 대학의 운영 위원이기도 한 세계적 신경과학자인 싯다르타 히베이루 교수가 19년 동안 과학뿐만 아니라 역사와 예술을 넘나들며 꿈과 수면이 인간의 인지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여 집대성한 것이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장 왜 우리는 꿈을 꾸는가 2장 조상들의 꿈 3장 살아 있는 신부터 정신분석학에 이르기까지 4장 꿈의 해석 5장 최초의 이미지 6장 꿈의 진화 7장 꿈의 생화학 8장 정신이상은 혼자 꾸는 꿈이다 9장 수면과 기억 10장 기억의 반향 11장 유전자와 밈 12장 창조를 위한 수면 13장 렘수면 중에는 꿈을 꾸고 있지 않다? 14장 욕망, 감정 그리고 악몽 15장 확률론적 예언 16장 죽은 자에 대한 그리움 17장 꿈에 미래가 있을까 18장 꿈과 운명 에필로그 참고문헌

Description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지금까지의 꿈과 뇌과학 이론에서 한발 더 나아가 미래의 시대상까지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식의 깊은 역사와 꿈과 뇌과학을 통해 자기 자신을 더 자세히 알고 싶거나 꿈에 대한 최근 지식과 가설이 궁금한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 박문호(《박문호 박사의 뇌과학 공부》 저자 ★ 박문호 박사, 궤도의 강력 추천! ★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베스트셀러 “전 세계의 역사, 문학, 생물학, 인류학, 신경과학, 사회학, 심리학 모두를 섭렵한 놀라운 책.” - 뉴욕타임스 “동굴 벽화와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화,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이르기까지 역사 속으로 맹렬한 여정을 떠난다.” - 월스트리트저널 인류의 진화와 문명의 건설을 가능하게 한 지혜의 원천 꿈의 세계에서 인문, 역사, 예술, 과학을 발견하다 우리는 모두 매일 밤 꿈을 꾼다. 꿈은 화들짝 놀라서 깰 만큼 사실적일 때도 있지만, 때로는 수수께끼 가득한 상징으로 가득하여 꿈에서 깬 이후에도 한참을 곱씹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는 왜 꿈을 꿀까? 꿈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꿈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을까? 《꿈의 인문학》은 브라질 히우 그란지 두 노르치 연방대학교의 뇌 연구소 설립자이자 라틴 아메리카 교육, 인지 및 신경 과학 대학의 운영 위원이기도 한 세계적 신경과학자인 싯다르타 히베이루 교수가 19년 동안 과학뿐만 아니라 역사와 예술을 넘나들며 꿈과 수면이 인간의 인지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여 집대성한 것이다. 꿈과 수면은 인간이 영장류에서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하는 데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밤이 오면 사람들은 모닥불 주위로 모여들어 잠에 들었고, 아침이 되면 지난밤의 꿈을 나눴다. 꿈에 나타난 상징들로 인간은 상상의 나래를 펼쳤고, 그 이야기를 바탕으로 신전을 세우고 도시를 만들었다. 도구가 복잡해질수록 인간의 정신도 복잡해졌는데, 이때 꿈은 인류의 인지적 도약을 가능케 했다. 뉴런과 시냅스의 기억에 대한 선택적 연결 강화에 대한 ‘신경 다윈주의’와 자신의 주체적 선택에 의한 의식 강화를 설명하는 ‘이차 의식’이 지금까지 뇌의 정신 기능과 관련된 주류 이론이었다. 히베이루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갔다. 예지몽으로 나타나는 시뮬레이션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폭발적으로 상승시키고, 자각몽은 꿈이라는 가능성이 무한한 공간에서 의식을 깨움으로써 사고의 저변을 확장시킨다. 따라서 인간의 의식은 꿈속에서 다음 진화의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이 책은 지금까지 꿈과 의식에 대해 연구된 이론들을 모아 인간의식의 다음 단계를 탐색한다. 고대의 벽화, 점토판, 성경, 베다, 각 대륙의 부족들 사이에 전해져 내려오는 신화 등에서부터 최신 뇌과학과 꿈 연구자료까지 세계의 많은 사료를 통해 인간의식의 진화 단계를 살펴봄으로써 꿈의 주관성을 보편적 특징으로 전환하여 꿈을 개인의 경험에서 인류 전체가 공유하는 경험으로 인식을 변화시킨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꿈이 인류의 역사와 문화에 영향을 미친 결정적 순간들을 살펴보며 꿈이 가진 놀라운 능력과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다. 320만 년 전 별들의 세계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인류는 줄곧 꿈을 꾸는 존재였다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달리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상상할 수 있는 능력 때문이었다. 상상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꿈을 꿨기 때문이다. 오직 인간만이 꿈에서 겪은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기록으로 남겼다. 프랑스 피레네 산맥의 레 트루아 프레르(Les Trois Freres) 동굴에는 구석기 시대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 들소의 머리에 인간의 다리를 하고 피리를 부는 그림이 있다. 1만 1000년 전 아나톨리아 고원에 지어진 괴베클리 테페(Gobekli Tepe)는 일상생활과 무관한 종교적 기능을 제공한 성소로 추정된다. 이런 역사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우리 조상들에게 현실 세계와는 다른 세계에 대한 개념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세계는 곧 꿈의 공간이다. 조상들의 꿈을 합리적으로 추측해 보려면 그들과 우리의 정신 사이에 상당한 연속성이 있다고 가정해야 한다. 어쨌든 호모 사피엔스는 적어도 31만 5000년 동안 해부학적으로 동일했다. 게다가 몇몇 증거에 따르면, 그들과 유전적으로 가까운 대표 아종인 유럽 및 후기 서아시아의 네안데르탈인과 시베리아의 데니소바인은 문화적 공통점도 갖고 있다. 따라서 가장 오래된 조상들 역시 우리처럼 자는 동안 꿈을 꾸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 2장 <조상들의 꿈> 중에서 도파민에 의한 보상체계로 꿈에 관한 과학 이론의 빈틈을 메우다 그동안 알려진 꿈과 수면에 관한 연구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카를 융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주로 심층심리학 관점에서 꿈을 해석한 것이었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이론은 꿈과 정신이 분명하게 관찰하기 어려우며 주관적이고 모호한 영역일 뿐만 아니라 성욕을 기반으로 한 해석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 되곤 했다. 정신적‧신체적 증상이 한낱 생각에서 기인할 수 있으며 꼭 뇌 병변의 결과일 필요는 없다는 발상은 실질적인 데이터를 중요시하는 신경학자들의 구미에 맞지 않았다. 그래도 어린아이들에게 성욕이 있다는 주장만큼 충격적이지는 않았다. 오늘날 꿈이 기억의 처리 과정에서 수면의 역할을 넘어 그 꿈을 꾼 사람에게 특별한 의미라는 것은 더 이상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것은 자신의 꿈에 관심을 가져본 사람에게는 너무 명백한 사실이지만, 프로이트의 견해에 반대하며 렘수면이 꿈의 무의미함을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라고 주장하는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은 이를 별의별 방식으로 부정했다. 최소한의 장비를 잘 갖춘 진지한 연구자들이 손을 뻗으면 닿을 만한 거리에 측정 가능한 생리학적 상태가 있는데, 뭐 하러 밤의 환각에 관한 주관적 이야기를 조사하면서 시간을 낭비하겠는가? - 13장 <렘수면 중에는 꿈을 꾸고 있지 않다?> 중에서 렘수면과 꿈의 상관관계를 과학적으로 밝히려는 노력은 남아프리카의 신경학자 마크 솜즈에 의해 물꼬를 트게 되었다. 솜즈는 도파민과 보상체계가 꿈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도파민의 양이 적을수록 꿈을 적게 꾸고, 도파민의 양이 늘어나면 꿈꾸는 시간도 늘어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꿈이 단지 무작위의 이미지가 아니라 도파민으로 활성화되는 보상 체계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이며 이는 뇌가 인체를 위험 상황에서 보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과정임을 새롭게 알 수 있게 되었다. 뇌 깊숙이 있는 자그마한 복측피개영역(VTA, ventral tegmental area)에서는 도파민을 생성하는 뉴런의 축삭돌기 또는 세포체가 존재한다. 이 영역의 도파민 작동성 뉴런은 축삭돌기를 뇌 전역에 널리 분포시키며, 주로 동물이 고통을 피하고 쾌락을 추구하게 하는 신경화학적 신호 전달을 담당한다. VTA가 손상되거나 축삭돌기가 돌출되지 않으면 렘수면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꿈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이 손상은 깨어 있는 삶의 동기와 즐거움의 상실, 계획성의 감소로 이어진다. 그 이유는 VTA가 뇌의 처벌과 보상 체계에 필수적이고, 이러한 뇌 구조를 통해 우리는 목표를 추구하고 유해 자극을 회피하며 성욕(libido)을 충족시키고 긍정적‧부정적 경험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체계는 실제로 우리에게 기대와 만족과 좌절을 안겨주며,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생존을 위해 온 힘을 다해 싸우려는 본능을 표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13장 <렘수면 중에는 꿈을 꾸고 있지 않다?> 중에서 히베이루는 뇌신경의 발달을 진화론으로 바라본 ‘신경 다윈주의’와 의식을 뉴런과 시냅스 같은 뇌신경 단위를 연구하는 분자생물학 수준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을 뒷받침하여 꿈의 반복성과 예측성을 설명한다. 강렬한 경험은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