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 입문

이명천 and other · Social Science
23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3(8)
0.5
3
5
Rate
3.3
Average Rating
(8)
Comment
More

단순한 언론홍보만으로는 기업과 제품을 알리고 좋은 이미지를 얻기가 어렵다. 이 책은 최신 국내 사례를 통해 다양한 PR 수단을 소개한다. 언론, 정부, 지역사회, 직원, 투자자, 소비자와 우호적 관계를 맺는 방법을 알려 준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나 스폰서십, PPL, 홍보대사 등 새로운 PR 활동도 살펴본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3(8)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PR이란? 1. PR과 홍보의 차이 2. PR의 정의 3. PR 시스템 2장 현대 PR의 발전 1. 언론대행/퍼블리시티 모형 2. 공공 정보 모형 3. 쌍방향 모형 3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정의와 대두 배경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 3.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유형 4장 언론매체 관계 1. 언론매체 관계의 정의와 중요성 2. 언론 관계의 효율화를 위한 필수 사항 5장 정부 관계 1. 정부 관계의 정의 2. 정부 관계의 중요성 3. 정부 관계 프로그램 6장 지역사회 관계 1. 지역사회 관계의 정의 2. 지역사회의 규정 3. 지역사회 관계 프로그램 7장 직원 관계 1. 직원 관계의 정의 2. 직원 관계의 중요성 3. 사내 조직 커뮤니케이션 4. 직원 관계 프로그램 8장 투자자 관계 1. 투자자 관계의 정의 2. 투자자 관계의 중요성 3. 투자자 관계 공중 4. 투자자 관계 담당자의 요건 5. 투자자 관계의 목표 6. 투자자 관계 프로그램 7. 투자자 관계 활동의 평가 8. 사례: ‘SK텔레콤’의 IR 활동 9장 MPR 1. CPR과 MPR 2. MPR의 등장과 성장 배경 3. MPR 프로그램 10장 퍼블리시티 1. 퍼블리시티의 정의 2. 퍼블리시티 과정 3. 퍼블리시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 4. 퍼블리시티의 특징 5. 효과적인 보도자료 작성법 6. 퍼블리시티 유형 7. 퍼블리시티 사례 11장 스폰서십 1. 스폰서십의 정의 2. 스폰서십의 유형 3. 스폰서십과 유사 개념의 비교 4. 스폰서십의 효과 5. 스포츠 스폰서십 6. 메세나 12장 PPL 1. PPL의 정의 2. PPL의 유형 3. PPL의 효과 4. PPL 효과의 이론적 근거 5. PPL에 대한 비판 13장 기업 광고 1. 기업 광고의 정의 2. 기업 광고의 등장 배경과 경향 3. 기업 광고의 장점 4. 기업 광고의 타깃 5. 기업 광고의 효과 14장 홍보대사 1. 홍보대사의 정의 2. 홍보대사 활용 사례 3. 홍보대사로서 유명인의 효과 4. 홍보대사로서 유명인이 부적합한 경우

Description

PR을 이해하는 가장 빠른 방법 이 책은 PR을 공부하는 대학 1, 2학년생이나 PR 업무를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책이다. PR의 개념과 유형, 프로그램을 알기 쉽게 정리했다. 삼성, SK텔레콤, 현대모비스, 유한킴벌리, 제일모직 등 국내 기업의 최신 사례를 통해 PR의 방법과 효과를 명쾌하게 설명했다.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나 스폰서십, PPL, 홍보대사 등 새로운 PR 수단도 소개했다. 이 책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PR과 홍보의 차이를 밝히고 PR 정의와 PR 시스템을 설명했다. 2장에서는 언론대행/퍼블리티 모형, 공공 정보 모형, 쌍방향 모형을 통해 PR 개념의 발전 단계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대두하게 된 배경과 활동의 유형을 설명했다. 4장부터 9장까지는 기업 PR의 주요 타깃 공중인 언론, 정부, 지역사회, 직원, 투자자, 소비자 등과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과 그 효과를 정리했다. 10장부터 14장까지는 주요 PR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폰서십, PPL, 홍보대사를 자세히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