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 딕

허먼 멜빌 · Novel
80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4(24)
0.5
5
Rate
4.4
Average Rating
(24)
Comment
More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모비 딕』 완역본을 번역, 소개하는 데 시초가 된 김석희 번역가가 전면적으로 원고를 대조·수정하여 개고한 것으로, 기존판에서 150여 개의 역주를 추가하는 등 ‘결정판’으로서 손색이 없도록 보완했다. 이와 더불어 등장인물 소개, 작가 연보, 역자 해설 및 대담 등을 통해 소설에 담긴 심오한 함의를 파악할 수 있게 도왔으며, 항해 지도는 물론 포경선 일러스트와 사진, 포경선 선체 및 갑판 구조 등 포경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지식이 없는 독자들을 위한 관련 자료들도 풍성하게 수록했다. 이번 개역판은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모비 딕』의 깊고 넓은 세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4.4(24)
0.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6

Table of Contents

어원 21 발췌록 23 제1장 어렴풋이 보이는 것들 43 제2장 여행 가방 51 제3장 물보라 여관 57 제4장 이불 76 제5장 아침식사 81 제6장 거리 83 제7장 예배당 87 제8장 설교단 91 제9장 설교 94 제10장 진정한 친구 107 제11장 잠옷 112 제12장 간추린 생애 114 제13장 외바퀴 손수레 117 제14장 낸터컷 123 제15장 차우더 126 제16장 배 130 제17장 라마단 148 제18장 퀴퀘그의 표시 155 제19장 예언자 160 제20장 출항 준비 165 제21장 승선 168 제22장 메리 크리스마스 172 제23장 바람이 불어가는 쪽 해안 178 제24장 변호 179 제25장 덧붙임 185 제26장 기사들과 종자들 186 제27장 기사들과 종자들(계속) 191 제28장 에이해브 선장 197 제29장 에이해브 등장, 이어서 스터브 등장 202 제30장 파이프 205 제31장 매브 여왕 207 제32장 고래학 209 제33장 작살잡이장 226 제34장 선장실의 식탁 229 제35장 돛대 망루 237 제36장 뒷갑판 245 제37장 저물녘 256 제38장 황혼 258 제39장 첫 번째 밤번 260 제40장 한밤중, 앞갑판 261 제41장 모비 딕 271 제42장 고래의 흰색 283 제43장 잘 들어봐! 295 제44장 해도 296 제45장 진술서 303 제46장 추측 314 제47장 거적 짜기 317 제48장 최초의 추적 320 제49장 하이에나 333 제50장 에이해브의 보트와 부하들 그리고 페달라 336 제51장 유령의 물보라 339 제52장 ‘앨버트로스’호 344 제53장 사교 방문 347 제54장 ‘타운호’호의 이야기 352 제55장 괴상한 고래 그림들 378 제56장 덜 잘못된 고래 그림들과 제대로 된 포경 장면 그림들 384 제57장 그림・이빨・나무・철판・돌・산・별 등에 나타난 고래들 389 제58장 크릴 392 제59장 오징어 395 제60장 작살줄 399 제61장 스터브, 고래를 죽이다 403 제62장 작살 던지기 410 제63장 작살 받침대 412 제64장 스터브의 저녁식사 413 제65장 고래고기 요리 423 제66장 상어 학살 426 제67장 고래 해체 428 제68장 담요 430 제69장 장례 434 제70장 스핑크스 436 제71장 ‘제러보엄’호의 이야기 439 제72장 원숭이 밧줄 447 제73장 스터브와 플래스크, 참고래를 잡은 뒤 이야기를 나누다 452 제74장 향유고래의 머리—비교 연구 459 제75장 참고래의 머리—비교 연구 464 제76장 파성퇴 468 제77장 거대한 하이델베르크 술통 471 제78장 기름통과 들통 473 제79장 대초원 478 제80장 머리 482 제81장 ‘피쿼드’호, ‘융프라우’호를 만나다 484 제82장 포경업의 명예와 영광 498 제83장 역사적으로 고찰한 요나 502 제84장 창던지기 504 제85장 물보라 507 제86장 꼬리 513 제87장 무적함대 520 제88장 학교와 교사들 535 제89장 잡힌 고래와 놓친 고래 539 제90장 머리냐 꼬리냐 544 제91장 ‘피쿼드’호, ‘로즈버드’호를 만나다 548 제92장 용연향 556 제93장 조난자 559 제94장 손으로 쥐어짜기 565 제95장 사제복 569 제96장 정유 화덕 571 제97장 램프 577 제98장 쌓기와 치우기 578 제99장 도블론 금화 581

Description

“세상에서 가장 위험하고 긴 항해가 끝나면, 두 번째 항해가 시작된다……” 출간 13주년 기념, 새롭게 만나는 전면 개역판! 국내 최고의 김석희 번역으로 읽는 『모비 딕』 완역본 “『모비 딕』 번역에는 내 혼이 담겼다는 말을 감히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_김석희(번역가) 거대한 우주의 신비를 닮은 지구상에서 가장 커다란 포유동물에게 바치는 외경의 찬가이자, 고래에 관한 방대하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모비 딕』. 『리어 왕』, 『폭풍의 언덕』과 함께 영어로 쓰인 3대 비극으로 일컬어지는 『모비딕』의 전면 개역판이 출간되었다. 허먼 멜빌이 격조 높은 서사시적 산문체로 써내려간 『모비 딕』은 서두에서부터 고래에 대한 ‘어원’ 탐구와 ‘발췌록’ 문헌이 등장하고, 포경선을 탄 이력이 있는 작가의 체험과 도서관에서 조사하고 연구한 고래와 포경에 대한 갖가지 지식이 총망라된 독특한 소설이다. 출간 당시에는 어렵고 낯설다는 이유로 외면당했지만 작가가 죽고 30여 년 후에 재평가되기 시작했고 오늘날 미국문학을 대표하는 걸작이 되었다. 『모비 딕』은 공포와 외경을 불러일으키는 거대한 흰색 고래 ‘모비 딕’에게 한쪽 다리를 빼앗긴 뒤 복수를 위해 대서양으로 인도양으로 태평양으로 추적을 거듭하는 에이해브 선장과 그와 한배에 올라탄 선원들의 처절한 결투와 종말을 그린 작품이다. ‘피쿼드’ 호의 선원들은 지구상의 모든 바다로 이어질 이 놀라운 추격을 시작할 때부터 그 거대한 ‘흰색의 공포’에, 원시적인 자연에 이미 지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들은 아름답고도 무서운 항해를 통해 천신만고 끝에 겨우 ‘모비 딕’과 만나지만 복수의 순간은 파멸의 순간이었고, 무수한 질문들을 집어삼키는 바닷속으로 조용히 가라앉고 만다. 고래와 포경업에 관해 인류가 탐색하고 축적해온 지식들, 우주와 인간에 대한 철학적 명상들로 가득한 이 소설은 부정적이고 우울한 세계관에 영혼이 마비되어버린 에이해브의 비극을 통해 인간 영혼의 다의적인 패배와 승리, 파괴의 충동, 선과 악의 갈등, 그리고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해 다시금 되돌아보게 한다. 대양에서 펼쳐지는 에이해브와 모비 딕의 대결은 자연의 의지에, 우주의 힘에 대항하는 인간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고, 그때 그 바다는 우주의 섭리와 삶의 비극을 가르치는 장場이 된다. 이 책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모비 딕』 완역본을 번역, 소개하는 데 시초가 된 김석희 번역가가 전면적으로 원고를 대조·수정하여 개고한 것으로, 기존판에서 150여 개의 역주를 추가하는 등 ‘결정판’으로서 손색이 없도록 보완했다. 이와 더불어 등장인물 소개, 작가 연보, 역자 해설 및 대담 등을 통해 소설에 담긴 심오한 함의를 파악할 수 있게 도왔으며, 항해 지도는 물론 포경선 일러스트와 사진, 포경선 선체 및 갑판 구조 등 포경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지식이 없는 독자들을 위한 관련 자료들도 풍성하게 수록했다. 이번 개역판은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모비 딕』의 깊고 넓은 세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나는 사악한 책을 썼습니다”(허먼 멜빌) 다양한 암시와 상징으로 오늘날까지도 무수한 해석과 평가를 양산하고 있는 문제작 집착과 광기에 사로잡힌 한 인간의 투쟁과 파멸을 그린 전율적인 모험소설이자 최고의 해양문학, 미스터리와 공포가 충만한 고딕소설이자 뛰어난 상징주의 문학 또는 자연주의 문학. 이처럼 다양한 각도로 해석되고 평가되는 『모비 딕』의 화자는 방랑벽을 타고난 허먼 멜빌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존재인 ‘이슈메일’이다. 이슈메일은 육지 생활에 염증을 느끼고 경이롭고 신비로운 괴물, 거대한 고래를 직접 만나기 위해 뉴욕 맨해튼을 떠나 뉴베드퍼드에 도착한다. 그리고 이곳 여인숙에서 만난, 문신을 한 괴기한 야만인 퀴퀘그에게 기독교도에게서 좀처럼 발견할 수 없었던 진정한 인간애를 느끼게 되고, 그와 함께 낸터컷으로 향한다. 그들은 포경선 ‘피쿼드’호에 승선하게 되고 크리스마스날 운명적인 항해에 나서는데, 배에 오르기 직전 일라이저라는 광인에게 파멸적인 운명에 대한 경고를 듣게 된다. ‘바다에 도전하는 자는 영혼을 잃게 될 것’이라는 신부의 경고를 듣지 않고 포경선 ‘피쿼드’호에 오른 이슈메일은 출항한 지 며칠이 지나서야 모습을 드러낸 선장 에이해브를 보고 놀란다. 한쪽 다리가 없는 그는 고래뼈로 만든 의족을 하고 있었고, ‘모비 딕’을 찾아 복수하기 위해 이 배에 타고 있었다. 에이해브는 무리한 항해를 말리는 일등항해사이자 독실한 기독교도인 스타벅의 충고도 뿌리치고 모비 딕을 쫓아 대서양에서 희망봉을 돌아 인도양으로, 또 태평양으로 항해를 계속한다. 그리고 마침내 오랜 항해 끝에 그동안 여러 포경선에서 던져진 작살이 무수히 꽂혀 있는 흰 고래를 발견하게 된다. “도서관을 누비고 대양을 편력한 결과의 소산” 24만 단어, 전체 135장으로 구성된 고래에 대한 방대하고도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전서 19세기 미국의 포경업계는 큰 번영을 구가했다. 포경선 수는 전 유럽의 포경선을 다 합친 수의 세 배나 많았다. 당시 미국의 고래잡이들을 오랫동안 괴롭히던 거대하고 흉포한 고래 ‘모카 딕Mocha Dick’에 대한 이야기가 1839년 5월 《니커보커 매거진》에 실렸는데, 이보다 앞선 1820년에 일등항해사 출신의 오언 체이스는 『포경선 ‘에식스’호의 놀랍고도 비참한 침몰기』를 펴내면서 ‘모비 딕’이란 흉포한 고래가 적도 바로 남쪽에서 ‘에식스’호를 침몰시켰다고 쓰기도 했다. 1941년, 젊은 포경 선원이었던 멜빌은 ‘애커시넷’호를 타고 고래잡이를 나갈 때 이 책을 읽었고 나중에 『모비 딕』을 쓰기 전 오언 체이스의 아들과 만나서 정보를 얻기도 했다. 『모비 딕』의 모티브는 바로 이 『포경선 ‘에식스’호의 놀랍고도 비참한 침몰기』였다. 『모비 딕』은 거대한 흰 고래를 죽이려는 집념에 사로잡혀 바다를 헤매는 에이해브의 추적에 얽힌 이야기지만 본문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고래학’이다. 고래의 생태와 활동, 포경 기술과 포획한 고래의 처리 및 가공에 대한 설명은 너무도 상세하여 마치 교과서 같은 느낌을 준다. 그런 이유로 지난 세기 초까지 이 소설은 도서관의 문학 서가보다 오히려 수산업 서가에 꽂혀 있곤 했다. 멜빌은 마르키즈 제도의 식인종 마을에 살았던 경험을 그린 『타이피』를 쓸 때도 남태평양에 관한 모든 문헌을 샅샅이 뒤진 끝에야 작품을 완성했는데, 특히 이 『모비 딕』을 쓸 때는 그 과학적 정확성에 완벽을 기하고자 했다. 24만 단어, 전체 135장으로 구성된 이 소설은 우선 고래에 대한 어원 탐구에서부터 시작된다. 이어지는 문헌 발췌 부분에는 『성경』에서 플리니우스의 『박물지』를 거쳐 셰익스피어, 몽테뉴, 존 밀턴의 『실락원』, 제임스 쿡의 『항해기』, 너새니얼 호손, 찰스 다윈까지, 거대한 괴물 또는 힘센 거인 ‘고래’에 대해 거론한 글들이 폭넓게 소개된다. 놀랍도록 꼼꼼한 이 기록들은 도서관의 책들을 통해 얻어낸 것이며, 멜빌은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자신의 이 소설을 “도서관을 누비고 대양을 편력한” 결과의 소산이라고 말했다. “지나간 내 생애의 거센 파도여, 내 죽음의 물결을 더욱 높게 일게 하라!” 방랑자 이슈메일이 지켜본 바다, 그리고 인간의 비극 비극적인 서사시 『모비 딕』은 소설의 화자 이슈메일이 포경선에 올라 이 항해의 목적을 알게 되기까지를 그린 부분, 대서양에서 희망봉을 돌아 태평양까지 이어지는 항해 부분, 마지막으로 모비 딕과의 결투와 ‘피쿼드’호의 침몰을 그린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이야기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이끌고 가는 것은 에이해브가 아닌 화자 ‘이슈메일’이다. 그는 에이해브 선장이 이끄는 포경선 ‘피쿼드’호에 승선하여 흰 고래 ‘모비 딕’을 쫓는 항해를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본다. 엄혹한 삶의 현실을 밑바닥까지 체험한

Collections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