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시작하며 어떻게 하면 좋은 느낌의 대화를 나눌 수 있을까? 제1장_큰일 났다! 이 사람과 무슨 이야기를 하지? : 대화의 어색함을 단번에 해결하는 법 “푸하하”보다 “ㅋㅋㅋ”를 유발하는 이야기를 찾자 _대화의 소재를 발굴하는 가장 쉬운 방법 관심 없는 이야기가 나오면 ‘감정’을 자극하는 질문을 하자 _단 무의식적으로 내뱉기 쉬운 부정적인 표현은 주의! ‘난 그런 뜻이 아니었는데…’ 오해는 원래 자주 생긴다 _오해의 소지는 빠른 스피드로 정정할 것 단체 대화는 ‘과자 따먹기 시합’과 비슷하다 _대화 속도에 따라가기 힘들 때는 후반부를 노려라 대화 소재가 고갈되면 상대방의 말꼬리를 잡아라 _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위키피디아 질문법’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는데”로 시작하는 것은 금물! _이야기를 ‘용두사미’로 전락시키는 위험한 전략 말실수를 피하는 가장 안정한 방법은 ‘복창’ _말의 의도를 알 수 없을 때 실수를 피하는 비결 지루한 대화를 일단락 짓는 비장의 무기, ‘자기표현’ _상대방과 각을 세우지 않고 자기 뜻을 관철하는 법 좀 더 가까워지고 싶다면 ‘샌드위치 질문법’을 사용하라 _자기도 모르게 속내를 털어놓게 되는 대화 유도 갑작스럽고 개인적인 질문을 피하는 방법 _어색한 사람과 마주쳤을 때는 먼저 선수를 쳐라 긴장감에 목이 탈 때는 몸을 틀어라 _5센티미터만 비껴 앉아도 긴장이 풀린다 5~6시간 전의 일을 떠올리면 침묵을 깰 수 있다 _대화의 물꼬를 트는 ‘중얼거리기’ 기술 ※알아두면 유용한 대화법_조리 있게 말하고 싶을 때는 ‘3×3 법칙 제2장_이 사람과 더 가까워질 수 있을까? : 상대방과의 거리를 좁히는 궁극의 대화법 눈을 맞추는 시간은 1~3초면 충분하다 _들을 때는 30~50퍼센트, 말할 때는 20퍼센트로 즐거운 대화를 위한 흥은 딱 20퍼센트까지만! _과한 액션이나 반응은 불신을 만든다 부정적인 입버릇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_부정의 말을 긍정의 말로 변환하자 음식, 건강, 날씨, 여행은 대화를 소생하는 단어 _영화, 독서, 스포츠보다 좋은 대화 소재가 되는 이유 30초 동안 내 이야기를 하면 과묵한 사람의 입도 열 수 있다 _첫 만남에서 자연스럽게 경계심을 푸는 방법 질문에 길게 답변하기 힘들다면 어미를 ‘~아서/어서’로 바꿔라 _마음속으로 ‘그리고’를 중얼거리는 것도 효과 만점! ‘열린 질문’으로 대화의 선택권을 넘겨라 _상대방이 스스로 이야기를 꺼내게 만들기 ※알아두면 유용한 대화법_모르는 분야의 이야기가 나올 때 화제를 돌리는 법 제3장_나도 말이 잘 통하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 어디서든 이야기꽃을 피우는 9가지 대화 기술 질문을 하되 취조하지 않는다 _‘듣기가 9할’이라는 말은 도시괴담 수준의 거짓말 ‘5W 질문’으로 대화의 물꼬를 튼다 _말수가 적은 상대방에게 더욱 효과적인 대화 기술 대화 중반에는 ‘감정 질문’으로 분위기를 돋운다 _시의적절하게 질문 내용을 전환하는 법 ‘모방 목창’을 남용하지 않는다 _좋은 것도 여러 번 반복하면 지루해진다 ‘환언 복창’으로 자연스럽게 반응한다 _신뢰를 얻을 수 있는 ‘바꿔 말하기 법칙’ ‘절반 질문’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낸다 _상대방을 압박하지 않는 질문법 이야깃거리가 떨어지면 5분 전 이야기로 돌아간다 _‘화제 전환 기술’로 대화의 막다른 골목을 벗어나라 질문에 답할 때는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