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와 관련하여 내 관심의 지향점은 그가 펼쳐 보인 위반의 제스처도 니체적 메시지도 아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글쓰기의 문제이며, 글쓰기를 통해 극단적인 에로티슴의 구조를 완성한 한 작가이자 인간의 집요한 작업이다. 그런 점에서 사드는 에로티슴의 수식을 다루는 위대한 수사학자다." - 롤랑 바르트
"사드의 꿈은 실제 행위보다 텍스트 작성을 통해 그 정점에 도달했음이 틀림없어 보인다. 작가는 자신이 창조한 세계만이 실재한다는 것을 안다. 나를 둘러싼 세계를 비틀고 해체하고 파괴하는 것이야말로 모든 문학의 출발점이다. 에로티슴은 자식을 낳지 않는다. 에로티슴은 정신의 순수한 운동이며, 세상을 가로지르면서 아무 흔적도 남기지 않는 순수한 창조적 움직임이다." - 알랭 로브그리예
사드를 텍스트로 바라보고 사드의 글쓰기에 주목하는 '사드 전집' 3권 『알린과 발쿠르 혹은 철학소설』(성귀수 옮김)은 한국어로 처음 소개되는 작품이다. 주인공 알린과 발쿠르 및 그들 주변의 인물들이 주고받은 편지 형식의 장편소설로, 인물들의 뒤얽힌 정념과 사연이 겹겹의 여행기 속에서 철학적 견해들과 뒤섞이며 "비장한 철학적 드라마"(해설)를 그려 간다. 책의 자료로는 작가 알랭 로브그리예가 사드의 "문학이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 주는 글 「문학의 역설」과, "여행과 낯선 세계"에 대한 사드의 해석을 인류학적으로 읽어 내는 민족학자 파스칼 디비의 글 「민족학적 직관」을 수록했다. 표지 그림은 사드 전집 1권과 2권에 (월터 와튼이라는 이름으로) 함께했던 카를 나브로의 작품으로, 서신 교환과 여행기가 뒤섞인 글의 특징뿐만 아니라 다른 생각을 반영해 나가는 언어 자체를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서간체와 여행기
사드가 『소돔 120일 혹은 방탕주의 학교』 집필 이후 역시 감옥에 수감된 채 완성한 『알린과 발쿠르 혹은 철학소설』은 총 72통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다. 친구 데테르빌이 남자 주인공 발쿠르에게 보내는 편지는 여러 사람의 서신 교환을 거쳐 발쿠르가 데테르빌에게 보내는 편지로 맺어진다. 작가는 가상의 편집자를 내세워 권두에 '편집자의 말'과 '일러두기'를 싣는 한편, 권말의 '편집자 주'를 통해 등장인물들의 이후 행보를 정리해 둔다.
편지글은 대개 수신자를 특정하며, 답장이 예비된다. 나의 생각과 글에 대한 상대방의 생각과 글을 기대하게 되는 틀 아래, 작가는 인물마다의 관점과 감정을 다각도로 드러내고 때로는 숨기며 이야기를 세밀히 직조해 나간다. 여자 주인공 알린의 아버지를 위시한 복잡한 가족 관계, 알린과 발쿠르로 대표되는 연인들의 사랑을 훼방하는 적나라하고 뒤틀린 욕망과 그에 따른 조작, 그러면서 거듭되는 삶의 역경이 서서히 비극으로 향한다. 한편 지난한 역경 속에서 인물들이 직간접적으로 겪게 된 우여곡절이 편지 속 여행기로 삽입되어 펼쳐지는데, 특히 남편 생빌과 아내 레오노르의 엇갈린 여정은 적잖은 분량으로 기술되면서 소설의 구성상 중요한 두 축이 된다. 인간의 욕정에 무방비로 노출된 인물들은 예기치 않게 방랑하는 가운데 세계의 다종다양한 면모를 두루 접하게 되고, 여러 방향의 견해에 눈뜨게 되면서 철학적 인간으로 성장해 간다.
철학소설
"사드는 시대의 혼란과 광기의 중심에서 눈을 뜨고 글을 썼다." - 성귀수
『알린과 발쿠르 혹은 철학소설』은 사드가 처음으로 자신의 이름을 명기하고 발표한 작품이다. 이 소설이 출간된 1795년은 프랑스대혁명 시기와 맞물린다. 조판 과정 중 (사형 제도에 반발하는 등의 이유로) 혁명 반동 세력의 혐의를 뒤집어쓴 사드는 출판업자와 함께 구속되었고, 출판업자는 처형된다. 이후 구사일생으로 풀려나 출판업자 부인의 도움을 받아 소설을 출판하기까지, 사드는 작가로서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명분을 잃은 혁명의 살육극 속에서 가까스로 잠시 빛을 보았다가 몇 년 후 사드의 정신병원 강제 수용과 함께 유통이 금지되고 사드 사후에는 폐기 처분 조치에 처해진 이 책을 두고, 한국어판 번역가 성귀수는 "윤리적 문제를 떠나 사회체제와 관련한 전복적 주장과 과격한 이론을 담고 있다는 점이야말로 주된 단죄의 원인이 아니었나 추정"하며, "격동의 시대 기류를 내면화하여 인간 본성을 가혹하리만치 파고드는 언어의 진도(震度)가 느껴진다"고 쓴다.
서로를 찾는 과정 속에서 의도치 않게 세계 곳곳을 누비게 되는 인물들은 우연히 만나게 되는 사람들 각자의 기준과 논리에, 또한 생존 투쟁의 한가운데에 거듭해 놓인다. 종교, 법과 처벌, 결혼 제도, 식습관 등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논하는 논쟁은 그동안 선악을 가르고 금기를 구분해 온 일반적인 편견과 습관에 질문을 던지고, 가치의 상대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게끔 한다.
한편 인간의 행동 양식을 둘러싼 이러한 상대성에 천착하면서 영혼이 육체라는 물질에 종속하며 영혼을 원소들의 결합이 낳은 결과물로 여기는 18세기 기계론적 유물론과 극단적으로 대비되는 여자 주인공 알린은, 사랑과 영혼을 두고 초자연적이고 절대적인 신념을 끝까지 지켜 가며 영적인 존재로 남는다. 그리고 사드는 이 영적인 존재를 철저히 희생자로 그려 내며 "사드적"인 세계를 이루어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