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당신도 들었으면 하는 음악이 있다_06
지구 반대편으로 떠나는 음악 여행
‘월드 뮤직’이라는 녀석의 묘한 성격_14
월드 뮤직의 시대_23
‘대중음악은 곧 상업음악’이라는 주박呪縛_27
남미 음악으로의 초대_32
브라질을 듣다
음악의 정체성과 연속성의 문제, 브라질의 경우_44
기타로는 알아주는 파울리뇨_56
삼바와 카니발_70
‘에스타성 프리메이라 지 망게이라’의 시인들_76
브라질의 악기들_81
보사노바의 원점_91
보사노바에 관한 몇 가지 생각들_97
Bossa nova in U.S.A._102
조앙 질베르토와 보사노바의 유토피아적 계획_109
조앙 질베르토를 ‘만나다’_129
다시 한 번 조앙 질베르토를 만나다_143
곤자기냐를 소개합니다 1_150
곤자기냐를 소개합니다 2_158
조빔의 집에서 들려오는 멜로디_167
그 남자의 이름은 카를리뇨스 브라운_176
브라질의 뮤직 패밀리_183
조빔을 이야기한다는 것의 곤혹스러움_195
브라질 앨범 가이드_202
아르헨티나를 듣다
탕고와 반도네온_236
피아솔라를 듣는 사람들을 위한 힌트_245
피아솔라와 6중주단_254
피아솔라의 만년: 피아솔라 6중주단 앨범 이야기_261
피아솔라를 들어라: 피아솔라 추천 앨범_273
앨범으로 살펴보는 피아솔라의 역사_287
피토 파에스와 아르헨티나 록음악에 대하여_301
아르헨티나 앨범 가이드_308
쿠바를 듣다
쿠바와 쿠바 음악에 대해 알고 있는 몇 가지_326
쿠바 음악의 역사에 관한 짧은 글_334
누에바 칸시온과 누에바 트로바_340
쿠바 앨범 가이드_346
못 다한 이야기들
어느 날 찾아낸 획기적인 CD 보관법, P의 경우_362
‘동네’ 도서관이라는 이름의 낙원_372
사전을 이야기할 때 가장 중요한 것_381
월드 뮤직 관련 사이트를 찾아서_391
눈으로 읽는 음악-가사 모음_397
그 밖의 앨범 가이드_426
나오며_ 좋아하는 음악을 마음껏 들으며 사는 것_436
추천의 말: 김혜리, 윤상, 김동률, 성기완_440
《라틴 소울》 인명 찾아보기_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