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001. [문화와 생활양식] 002. 문학예술의 사회적 생산 003. 생활양식과 계급적 취향:사회적 불평등의 상징적재생산에 관하여 004. 일상적 활동과 생활양식:사회불평등 연구의 문화이론적 전환 005. [새로운 사회비판이론] 006. 아비튀스와 상징폭력의 사회비판 이론 007. 아비튀스와 상징질서의 새로운 사회이론 008. 사회질서의 재생산과 상징구너력 부르디의 계급이론 009. [부르디외와 푸코] 010. 부르디외와 푸코의 권력개념 비교:새로운 주체와의 전략

Description

이 책에서 편자인 현 교수는 부르디외의 문학예술과 사회비판이론을 소개하며, 정선기 박사(충남대 강사)는 생활양식의 불평등적 재생산 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호 고려대 강사는 아비튀스와 상징권력의 사회이론 분석을, 홍성민 박사(서울대 강사) 부르디외와 푸코의 권력개념 비교연구를 각각 시도하고 있다. 물론 이 책의 한계점도 눈에 띄는 것이 사실이다. 편자 현택수 교수도 인정하듯이, 저마다의 글에서 개념 설명이 다소 중복되고 있으며 부르디외의 최근 저작들에 대한 연구가 빠져 있다. 가령 도시빈민들의 세계를 다룬《세계의 빈곤》, 미디어 메카니즘을 비판적으로 분석한《텔레비전에 대하여》, 신자유주의자들과 유럽 통합의 기만성, 세계화(Mondialization)의 폐해를 고발하는 내용과 노동파업의 현장에 나서 행한 대중연설을 포함하는《맞불》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편자 현 교수는 부르디외 연구팀을 만들어 지속적인 연구와 번역을 할 것이라고 말한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