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활동사진의 도래 그리고 한국영화의 탄생(1897~1923) 1.활동사진의 시대 2.활동사진의 흥행 공간,극장 3.연쇄극의 등장,<의리적 구토> 4.극영화의 탄생,<월하의 맹서> 2장 무성여화의 르네상스(1924~1934) 1.<춘향전> 대 <장화홍련> 2.나운규의 <아리랑> 3.무성영화 시대의 감독 4.카프KAPE 영화운동 3장 발성영화의 시대 그리고 국책영화(1935~1945) 1.발성영화의 등장 2.'조영','고영'의 스튜디오 시대 3.2세대 영화인의 등장 4.국책영화의 제작 4장 해방 그리고 6·25전쟁(1945~1953) 1.해방공간의 영화계 2.해방기의 한국영화 3.6·25전쟁 시기 영화 활동 4.전쟁 중의 영화제작 5장 한국영화의 성장과 중흥(1954~1961) 1.한국영화 성장기,그 다채로운 풍경 2.1950년대 후반 영화 스튜디오의 건립 3.중흥기의 형성 과정 4.중흥기의 장르 경향 6장 한국영화의 르네상스(1962~1969) 1.영화법 제정과 기업화 정책 2.다양한 장르의 만개 3.시네마스코프의 시대 4.김독계보 그리기-한국영화의 세대교체 7장 통제와 불황의 악순환,1970년대 한국영화(1970~1979) 1.저질영화 양산체계 2.1970년대 대표 장르들 3.청년영화/문화 그리고 '영상시대' 4.테크니스코프 영화 8장 암흑 속의 모색,1980년대 한국영화(1980~1989) 1.제작 자유화 그리고 할리우드 직배 저지 투쟁 2.1980년대 대표 장르 3.영화 문화의 변화 4.영화운동과 독립영화 5.1980년대 한국영화의 세대교체-코리안 뉴웨이브 9장 다시 르네상스,1990년대 한국영화(1990~1999) 1.대기업의 영화산업 진출 2.'기획영화'의 등장 3.1990년대 장르 공식,로맨틱코미디와 코믹 액션 4.1990년대 작가주의 5.영화청년의 시대 6.한국형 블록버스터 10장 2000년대의 한국영화(2000~) 1.체질 개선에 들어간 영화산업 2.'웰 메이드'영화 3.장르영화의 가능성 4.디지털 시네마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