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을 시작하며 제1장 기본소득의 개념과 요건 _기본소득, 어떻게 알려졌나? _기본소득의 개념과 주요 원칙 기본소득의 보편성 원칙|기본소득의 무조건성 원칙|기본소득의 정기성 원칙|기본소득의 개별성 원칙| 기본소득의 현금성 원칙|기본소득의 충분성 원칙 제2장 아류 혹은 가짜 기본소득 _기본소득의 요건을 벗어난 아류와 가짜 _아동기본소득과 노인기본소득 _청년기본소득 _재난기본소득과 농민기본소득 _푼돈기본소득 _생애선택기간 기본소득 _안심소득 _참여소득 _기본자산 제3장 기본소득의 역사 _토머스 페인과 토머스 스펜스 _조제프 샤를리에와 푸리에주의 _헨리 조지의 토지가치세와 기본소득 철학 _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기본소득 논쟁 _밀턴 프리드먼과 우파 기본소득 _미국 진보주의자들과 좌파 기본소득 _자연적 공유 재산과 알래스카 배당금 _각국의 기본소득 실험과 핀란드의 사례 제4장 기본소득을 반대하는 이유 _최근 수년 동안 기본소득이 자주 거론된 이유 _보편적 복지와 기본소득, 작동 원리의 본질적 차이 _기본소득, 소득보장 사각지대의 해법이 될 수 있을까? ‘전 국민 고용보험’ 제도의 실현 방안|공공부조의 확대·강화 방안 _기본소득,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의 해법이 될 수 있을까? _기본소득,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일자리 대책이 될 수 있을까? _기본소득, 경제의 활성화 및 선순환에 기여할까? _기본소득, 재정적으로 실현 가능할까? 제5장 재난지원금 정책과 기본소득 포퓰리즘 _재난지원금 정책의 올바른 원칙과 방향 _기본소득법안과 포퓰리즘 정치 _기본소득이 아닌 역동적 복지국가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