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_공부를 방해하는 두뇌의 명령을 넘어서다 인지심리학자가 ‘공부’를 연구하게 된 이유 | 왜 우리는 두뇌를 넘어서야 하는가 | 이 책의 활용법 1장 왜 수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까? 수업에서 체계를 뽑아내자 | 수업은 그냥 ‘듣는 게’ 아니다 | 수업 자료는 필기 노트를 대신할 수 없다 | 읽기 과제를 언제 해야 할지 판단하라 | 질문에 소극적인 태도를 극복하자 교사에게 _ 강의 개요를 반복 강조하며 학생의 이해 여부를 확인하자 2장 무엇을, 어떻게 필기해야 할까? 준비하는 것부터 공부다 | 이해와 필기 중 무엇이 더 중요할지 결정해라 | 노트북보다 손으로 적어라 | 필기를 그 자리에서 점검하자 | 유명한 필기 방법을 따라하지 마라 | 약자를 사용하면 더 많이 적을 수 있다 | 수업 녹음은 필기를 대체할 수 없다 교사에게 _ 학생들이 최대한 많이 필기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자 3장 체험 활동·실습의 핵심을 잡아내라 활동 학습이 왜 필요한가 | 무엇에 집중할지 정하라 | ‘지식의 저주’를 극복하라 | 무조건 참석하고 참여하라 | 비유 활동을 할 땐 수업 목적을 체크하라 | 스크립트에서 수업 목적을 캐내는 법 | 선택하고, 피드백 받고, 스스로 숙고하라 | 경험과 연습은 다르다 | 무엇을 관찰할지 미리 계획을 세워라 | 체험하는 동안 필기를 잊지 말자 |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보자 교사에게 _ 활동 수업의 목표를 제시하고 지침을 세분화하자 4장 배운 것을 뇌에 새기는 노트 필기법 잘 정리하면 잘 기억난다 | 필기 사이에 연결 고리를 찾아라 | 노트에서 논리적 허점을 찾아라 | 필기도 팀 스포츠다 | 교사에게 구체적인 질문을 던져 필기를 보강하자 | 노트 꾸미기는 옵션이다 교사에게 _ 노트 필기가 불완전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자 5장 어려운 글을 읽는 전략은 따로 있다 밑줄 그으며 읽지 마라 | 읽기 전 목적을 반드시 떠올려라 | 교과서를 읽으며 요약·필기하는 기술 | 교과서를 읽는 데 시간을 투자하라 교사에게 _ 깊이 있게 읽히려면, 그에 걸맞는 과제를 제시하라 6장 성적을 끌어올리는 초효율 시험 공부법 일반적인 기억술은 잊어라 | 공부 준비가 곧 공부다 | 학습 가이드를 통해 기억을 끄집어내자 | 기성 자료를 보지 마라 | 의미를 부여하면 더 잘 기억된다 | 의미 없는 내용을 외울 수 있는 세 가지 기억술 | 학습 가이드를 활용해 공부의 질을 높여라 | 스스로의 학습법을 불신하지 마라 | 빈손으로 스터디에 가지 마라 | 벼락치기가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 | 응용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사례를 비교하라 | 변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하위 목표를 설정하라 교사에게 _ 학생들에게 공부 방법을 미리 알려주자 7장 시험 직전, 마지막으로 지켜야 하는 것들 당신은 안다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모른다 | ‘안다’는 말은 무슨 뜻인가 | 다시 읽을 때 우리는 안다고 착각한다 | 셀프 테스트를 해보자 | 기출 문제로 얼마나 알고 있는지 확인하지 마라 | 115퍼센트로 과잉 학습하라 교사에게 _ 학생들이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알려주자 8장 시험 볼 때, 뇌에서 정답을 이끌어내는 방법 실수로 아는 것을 틀리지 마라 | 시험 불안을 대처하는 법을 배우자 | 교실을 내 방이라고 상상하자 | 시험 문제에서 답을 길어 올려라 | 답을 쓰고 난 후에도 계속 다시 보자 | 바로 떠오르는 ‘팝 지식’을 의심하라 | 문제가 애매하다면 교사에게 물어봐라 | 과하게 생각하지 마라 | 논술 문제를 풀 때는 3단계 계획을 세워라 교사에게 _ 학생이 도저히 풀 수 없는 문제를 내지 마라 9장 반드시 망친 시험지를 들여다봐라 왜 틀렸는지 원인을 분류하라 | 논술에서 감점되는 다섯 가지 이유 | 교묘한 질문에 속지 마라 | 자신이 잘한 것도 인정하라 | 좌절하고 포기하지 마라 교사에게 _ 좌절한 학생들의 고민을 과소평가하지 마라 10장 공부 계획을 세우는 것부터 공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