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서문 - 스페인 영화의 작가주의와 국가 정체성 스페인 내셔널 시네마와 민족/국가 정체성 스페인 영화의 작가주의 전통 제1부 스페인 작가주의 영화의 형성과 스페인적인 것의 재현 1장 스페인 내셔널 시네마의 대부 - 루이스 부뉴엘 스페인 내셔널 시네마 감독으로서 부뉴엘의 모호한 위치 스페인 현대사와 망명 지식인 영화적 규범의 전복과 작가로서의 호명 가톨리시즘에 대한 전복 부르주아 관객에 대한 공격 부뉴엘의 비관주의와 유머 그리고 스페인 예술 전통 2장 스페인 작가주의 영화의 진정한 출발 - 베를랑가와 바르뎀 스페인 예술의 국민-민중적 전통 베를랑가와 바르뎀 영화의 민중성과 네오리얼리즘 프랑코 시대의 정치적 상황과 이데올로기적 전복성 스페인성과 블랙 유머 제2부 정치적 억압과 저항의 정체성화 3장 독재에 대한 항거와 스페인성에의 고민 - 카를로스 사우라 (1) 프랑코 시대 ‘작가’ 모델로서의 사우라 내전의 트라우마와 사우라의 영화 전통 스페인과 새로운 문화 사이의 갈등 4장 역사적 트라우마의 영화적 재현 - 빅토르 에리세 고전적 의미의 작가감독, 빅토르 에리세 정령으로서의 트라우마 - 「벌집의 정령」 극복되지 못한 트라우마―「남쪽」 ‘프랑코의 아이들’ 제3부 민주화 시대의 도래와 새로운 감수성의 출현 5장 스페인 전환기의 정서와 감수성 - 호세 루이스 가르시 전환기의 정치적 상황과 스페인 영화 상실감과 환멸의 정서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6장 과격한 단절 - 페드로 알모도바르 ‘새로운 스페인’의 아이콘, 페드로 알모도바르 포스트모던 작가로서 알모도바르 과거의 스페인 문화 전통에 대한 반감과 가톨릭에 대한 공격 가부장적 남성성의 종언과 전통적 성 역할의 와해 알모도바르 영화의 과거 지시성 알모도바르 영화의 섹슈얼리티와 젠더-수행성 알모도바르와 스페인 영화의 새로운 스타일 제4부 스페인적인 것의 재협상과 작가주의의 갈등 7장 민주화 시대의 도래와 스페인적인 것의 재협상 - 카를로스 사우라 (2) 민주화 시대의 도래와 스페인성에 대한 성찰 확장된 민속성 해석의 작업 8장 스페인 문화 기표의 상품화 - 비가스 루나 스페인적 기질로서의 섹스 스페인의 문화적 토양과 ‘이베리아 마초’ 스페인 전통문화 기표의 상품화 제5부 세계화 시대의 스페인 영화와 새로운 작가주의 9장 민족영화와 세계 영화의 경계 - 훌리오 메뎀 새로운 세대의 등장과 국가적 특정성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작가주의 메뎀 영화의 바스크 정체성과 스페인 정체성 젊은 세대의 고독과 고통 메뎀 영화의 섹슈얼리티 10장 사회 문제를 향한 여성 감독의 시각 - 이시아르 보야인 10대, 이주자, 여성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11장 사회를 향한 젊은 세대의 시각 - 페르난도 레온 데 아라노아 도시 변두리의 10대 실직한 노동자 도시의 (이주) 성매매 여성 12장 국가성을 넘어선 새로운 작가주의 -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변화된 스페인 영화산업과 새로운 의미의 작가주의 할리우드 스타일의 스페인 영화 - 「논문」 꿈과 현실의 뒤섞임 - 스페인 예술 전통의 반영 국내적 이슈로의 복귀 에필로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