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선험적 현상학의 이념을 줄곧 추구한 길│이종훈 제 1 부 데카르트적 성찰 서 론 1 철학적 자기성찰의 원형인 데카르트의 성찰 2 철학을 철저하게 새롭게 시작할 필요성 제1성찰 선험적 자아로의 길 3 데카르트적 전복과 학문을 절대적으로 정초하려는 주도적 목적의 이념 4 인식대상의 현상인 학문으로 들어가 체험함으로써 학문의 목적의 이념을 천명하는 일 5 명증성과 진정한 학문의 이념 6 명증성을 구별하는 일. 필증적이며 그 자체로 최초의 명증성에 대한 철학적 요구 7 세계의 현존재에 대한 명증성은 필증적이 아니다. 이것은 데카르트적 전복에 포함되어야 한다 8 선험적 주관성인 ‘나는 생각한다’(ego cogito) 9 ‘나는 존재한다’(Ich bin)의 필증적 명증성의 효력범위 10 여론: 데카르트의 선험적 전회의 실패 11 심리학적 자아와 선험적 자아. 세계의 초월성 제2성찰 선험적 경험의 장을 보편적 구조에서 해명하는 일 12 인식을 선험적으로 정초하려는 이념 13 선험적 인식의 유효범위에 관한 문제들을 우선 배제해야 할 필요성 14 사유작용의 흐름. 사유작용과 사유된 대상 15 자연적 반성과 선험적 반성 16 여론: 선험적 반성처럼 ‘순수심리학적’ 반성도 ‘나는 생각한다’에서 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17 상관적 문제제기인 의식을 탐구하는 양면성. 기술하는 방향들. 의식의 근원적 형식인 종합 18 종합의 근본적 형식인 동일화. 선험적 시간의 보편적 종합 19 지향적 삶의 현실성과 잠재성 20 지향적 분석의 특성 21 ‘선험적 실마리’인 지향적 대상 22 모든 대상을 보편적으로 통일하는 이념과 그것을 구성적으로 해명하는 과제 제3성찰 구성의 문제제기. 진리와 실제성 23 ‘이성’과 ‘비이성’이라는 명칭에서 더 명확한 개념인 선험적구성 24 스스로 주어진 것으로서의 명증성과 그 변경들 25 실제성과 유사-실제성 26 명증적 확증의 상관자인 실제성 27 ‘존재하는 대상’이라는 의미에 대해 구성적으로 기능하는 습득적이고 잠재적인 명증성 28 세계에 대한 경험의 추정적 명증성. 경험의 완전한 명증성의 상관적 이념인 세계 29 명증성에 관한 선험적 체계들의 지표인 실질적 존재론의 영역과 형식적 존재론의 영역 제4성찰 선험적 자아 자체를 구성하는 문제의 전개 30 선험적 자아는 그 체험들에서 분리될 수 없다 31 체험들의 동일한 극(Pol)인 자아 32 습득성의 기체인 자아 33 모나드인 자아의 완전한 구체화와 그 자아의 자기 구성의 문제 34 현상학적 방법의 원리적 형성. 형상적 분석인 선험적 분석 35 형상적 내적 심리학에서의 여론 36 가능한 체험의 형식들의 우주인 선험적 자아. 공존과 계기 속에 체험들이 공존할 수 있는 본질법칙적 규칙 37 모든 자아론적 발생의 보편적 형식인 시간 38 능동적 발생과 수동적 발생 39 수동적 발생의 원리인 연상 40 선험적 관념론의 문제로 이행 41 ‘선험적 관념론’으로서 ‘나는 생각한다’의 진정한 현상학적 자기 해명 제5성찰 모나드론적 상호주관성인 선험적 존재영역의 해명 42 독아론이라는 반론에 대립해 타자경험의 문제를 제시하는 일 43 타자경험을 구성하는 이론에 대한 선험적 실마리인 타자가 인식대상적-존재적으로 주어지는 방식 44 선험적 경험을 고유한 영역으로 환원하는 일 45 선험적 자아 그리고 심리물리적 인간으로 고유하게 환원된 자기 통각 46 체험의 흐름의 현실성과 잠재성의 영역인 고유한 영역 47 지향적 대상은 완전한 모나드의 구체화에 함께 속한다. 내재적 초월과 원초적 세계 48 원초적 초월에 대립한 더 높은 단계인 객관적 세계의 초월 49 타자경험을 지향적으로 해명하는 진행을 미리 지시하는일 51 타자경험을 연상적으로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짝짓기’ 52 그 자신의 확증하는 양식을 지닌 경험하는 방식인 간접적 제시 53 원초적 영역의 잠재성과 타인의 통각 속에 이것의 구성적 기능 54 타자를 경험하는 간접적 제시의 의미를 해명하는 일 55 모나드들의 공동체화와 객관성의 최초의 형식인 상호주관적 자연 56 높은 단계의 상호 모나드론적 공동체의 구성 57 내적 심리학적 해명과 자아론적-선험적 해명의 평행관계에 대한 설명 58 더 높은 단계의 상호주관적 공동체를 지향적으로 분석하는 문제들을 나누는 일. 자아와 환경세계 59 존재론적 해명과 구성적인 선험적 현상학 전체 속의 위치 60 우리가 타자경험을 해명한 형이상학적 성과 61 ‘심리학적 근원’에 관한 전통적 문제와 이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 62 타자경험을 지향적으로 해명하는 개괄적 특성 결 론 63 선험적 경험과 인식을 비판하는 과제 64 맺는말 제2부 제6 데카르트적 성찰 머리말의 구상 교수자격 취득 논문의 머리말 제6 데카르트적 성찰 1 이제까지 성찰의 방법적 한계 2 선험적 방법론의 주제 3 현상학의 ‘자기 관련성’ 4 선험적 방법론의 문제와 구분 5 환원하는 것인 현상학을 함 6 소급적으로 분석하는 것인 현상학을 함 7 ‘구축적’ 현상학에서 현상학을 함 8 이론적 경험작용인 현상학을 함 9 이념화하는 작용인 현상학을 함 10 술어화작용인 현상학을 함 11 ‘학문화하는 것’인 현상학을 함 a. 현상학을 함의 학문성의 문제 b. 현상학을 하는 것을 세계화하는 것 c. ‘학문’의 개념 12 선험적 관념론인 ‘현상학’ 부록과 삽입(1933년 여름부터 1934년 1월까지) 부록 1 판단중지를 수행한 성과와 의의 부록 2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