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 비극적 마키아벨리 7
서문 21
1부. 진리의 역사
1장. “참 내에 존재하기?”: 조르주 캉길렘 철학에서 과학과 진리 51
2장. 프랑스 철학 내의 알랭 바디우 79
3장. “교회의 역사는 진리의 역사라 고유하게 불려야 한다” 115
2부. 이단점들
4장. 군주가 된다는 것, 인민이 된다는 것: 마키아벨리의 갈등적 인식론 141
5장. 푸코와 ‘이단점’ 171
6장. 하나의 역경점: 미셸 푸코의 반마르크스 227
3부. 현행성들
7장. 철학과 현행성: 사건을 넘어서? 261
8장. 구조주의: 사회과학의 방법인가 전복인가? 297
9장. 이론은 무엇이 되는가? 논쟁적 상승들 313
다시 여는 글. 개념의 개념 333
부록 1. 구조주의: 주체의 파면? 363
부록 2. 지식인들의 폭력: 반역과 지성 393
부록 3. 바깥의 사유? 블랑쇼와 함께 푸코를 415
옮긴이 후기. 부서진 개념에, 하나의 정념을 445
찾아보기 455